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3 16:24:04

경기도 급행버스

굿모닝 급행버스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0px auto"<tablewidth=31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4097>
파일:경기도 휘장_청색바탕용.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기도지사 정책 브랜드
김문수 간선급행버스
경기순환버스
남경필 경기도 급행버스 (舊 굿모닝버스)
맞춤형버스 (舊 따복버스)
이재명 경기 프리미엄버스
경기도 공공버스
김동연 버스
}}}}}}}}} ||
파일:성남 G8110번 대우차량.webp
성남 버스 G8110

1. 개요2. 상세3. 폐지4. 규정5. 역대 노선 목록6. 관련 문서

1. 개요

경기도의 前 급행버스 브랜드.

경기도 前 도지사인 남경필의 교통정책으로, 국토교통부가 담당하고 있는 광역급행버스의 경기도판이라고 보면 된다.

2. 상세

기존 직행좌석버스는 집 앞 정류장에서 출발하여 도심 깊숙히까지 환승없이 이동시켜주던 노선이였다면(Door to Door), 경기도 급행버스는 경기도와 서울시내 외곽 지역에 각각 거점이 되는 환승 정류장를 마련하여 거점 정류장간의 빠른 이동을 위해 만들어지는 노선이다(Hub & Spoke). 서울역버스환승센터, 강남역, 사당역 등 서울시내 주요 정류장이 과포화되어 심각한 교통 체증으로 인해 서울특별시는 신규 경기도 직행좌석버스 노선 개통에 상당히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어 대안으로 굿모닝버스가 등장하였다.

쉽게 말해 기존 경기도에서 서울을 이동하려면 '집 - 직행좌석버스 - 목적지'였던 것을 '집 - 경기도 거점 정류장 - 경기도 급행버스 - 서울 거점 정류장 - 목적지'와 같은 동선으로 이동해야 한다는 것. 이용객 입장에서 불편하겠지만 기점부 구간 중복노선 정리가 가능하고[1] 서울시내 직행좌석버스로 인한 버스전용차로 및 정류장 과포화 현상도 일부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2] 교통 흐름 측면에서 기존 직행좌석버스 노선보다 더욱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두 도시간의 외곽과 외곽을 연결하므로 기종점부 시내구간(정체구간) 운행거리가 줄어들어 운행시간, 배차간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장기적으로는 이와 같은 허브 앤 스포크 방식의 노선 위주로 개통할 계획이라고.[3][4]

남경필 경기도지사 재임기에는 굿모닝버스라는 이름을 썼는데 당시 경기도의 슬로건 중 하나인 굿모닝 경기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이름은 굿모닝이지만 아침에만 운행하는 버스인 것은 아니었다. 도지사가 이재명으로 바뀐 이후에는 슬로건 교체의 영향인지 단순히 경기도 급행버스로 명칭이 바뀌었다.

3. 폐지

2021년 8월 1일부로 경기도 급행버스 브랜드가 폐지되었다. 현재 급행버스는 직행좌석버스 등급인 경기도 공공버스로 개통되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남은 노선들도 모두 공공버스로 전환되었기 때문이다.

다만 G6001번을 제외하고 모두 도색 변화 없이 운행중이나 신차는 공공버스 도색으로 출고하고 있다. 이와는 별개로 2020년 현재는 광역급행버스를 제외한 모든 디젤 2층버스 차량[5]에 무조건 굿모닝 도색을 적용하는 중이고 경기도 굿모닝2층버스라는 로고를 경기도 2층버스로 바꾸기만 하여 사실상 2층버스 전용 도색 겸 브랜드로 전환되었다가 2층 전기버스 의무화로 완전히 폐지되었다.

4. 규정

5. 역대 노선 목록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평일기준, 분)
운수회사
G1300 덕정차고지 덕정지구ㆍ옥정지구ㆍ고읍지구ㆍ의정부민락 잠실광역환승센터 8~15 진명여객
G5100 경희대 영통역청명역ㆍ청현마을ㆍ강남역양재역 신논현역 24~68 용남고속
G6000 고창마을 장기동ㆍ한강반도2차ㆍ운양역합정역홍대입구역신촌오거리 서강대학교 15~25 김포운수
G6001 고창마을 장기동ㆍ한강센트럴자이ㆍ전원마을1단지ㆍ당산역 여의도환승센터 20~30
G7111 신성교하차고지 산내마을6,8차ㆍ해솔마을6,7차ㆍDMC역연세대ㆍ광화문 숭례문 16~120
(1일 17회)
신성교통
G7426 가람마을3,4,6차 야당역ㆍ한빛마을3,4,6,8차ㆍ신사역논현역강남역 양재역 15~30 파주여객
G7625 가람마을3,4,6차 해솔마을2,5차ㆍ운정고ㆍ당산역국회의사당역 여의도역 20~30
G8110 오리역 수내역서현역판교역ㆍ순천향대병원ㆍ을지로2가ㆍ종로2가 서울백병원 10~20 대원버스

6. 관련 문서


[1] 집 앞에서 외곽 환승센터 구간을 폐지하고 지선 노선으로 이동하게끔 유도된다.[2] 굿모닝버스는 외곽 정류장에서 회차하고 서울 도심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로 환승해야한다.[3] 수원 7770번과 비슷한 방식이라고 볼 수 있는데, 버스가 서울 도심까지 진입하지 않고 외곽 지역인 사당역까지 운행하여 2호선(강남, 영등포 방면)/4호선(, 강북 방면) 환승을 통해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것과 비슷하다.[4] 위 내용만 읽다 보면 접근성이 낮아 실제로 이용하기 번거로운 애물단지 노설일 것 같지만, 실제로는 극단적으로 시 변두리에 위치한 외곽 정류장에서 출발하는 건 아니고, 입석이 시작되는 중간 지점 정류소를 기준으로 기종점을 설정한다고 한다. 기존 노선의 중간지점 출발 노선을 생각하면 될듯. 다만 차이는 기종점 모두 중간 지점까지만 운행한다는 것이다.[5] 전기버스의 경우 자체 도색을 적용한다.[6] 고급 좌석버스 도입과 CNG버스 의무 도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