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9 23:55:05

국민과의 대화

1. 개요2. 목록3. 기타4. 참고 자료5. 같이 보기

1. 개요

#
1990년 6월 29일 시작된 대한민국 대통령과 국민들의 대화이다.

대통령에 따라 하는 대통령도, 하지 않는 대통령[1]도 있었고 소통 능력을 평가받는 잣대 중 하나가 되기도 한다. 그 시초가 제6공화국의 첫 정부인 노태우 정권 때부터 실시되다 보니 사실상 6공의 정부 운영 기조이기도 하다.

2. 목록

2.1. 노태우

파일:노태우국민과의대화.jpg
국민과의 대화를 처음 시작한 사람으로 당시에는 군인 출신 대통령의 이미지를 벗고 시민들과 가깝다는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하여 만들었으며 # 일회성 행사에 그치긴 했으나, 저런 국가 지도자와 국민간의 소통이라는 개념부터가 거의 없던 시대[2]에서 신선하다는 평가를 받았다.[3]

2.2. 김영삼

단 한 번도 진행하지 않았으며, 대국민 소통 창구도 기껏해야 신년 기자회견뿐이었다. 의외의 사실이지만 문민정부는 김영삼의 이미지와는 달리 상당히 폐쇄적인 국정운영 기조를 가졌다.[4]

문민정부의 지지율은 집권 초반 높았던 지지율과는 달리 집권 2년차부터는 지지율이 낮아졌는데, 이런 국정운영 기조도 여기에 한 몫을 했다. 한 마디로 말하자면, 대국민 소통에 있어선 군사정권과 별 차이가 없다는 실망감의 표현이었던 셈이다.

2.3. 김대중

파일:김대중국민과의대화.jpg
국민의 정부라는 정부명과 걸맞게 국민과의 대화도 가장 활발하게 했는데, 2001년까지 총 4번 했다. 당시 외환위기로 굉장히 시끄러웠던 탓에 주로 나오는 질문은 외환위기 관련 질문이었다. 심지어 남태평양 무인도에 간다면 가져가고 싶은 3가지가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을 받기도 했다. 사실 이 무인도 질문은 청와대와 계약한 광고대행사가 기획한 것이라는 얘기도 있다. # KBS쪽 진행은 봉두완과 정은아, MBC 쪽은 차인태와 김은주, 1999년 SBS 진행은 정범구와 김연주가 각각 맡았다.

당선인일 때 진행한 국민과의 대화에는 배우 유동근이 출연했는데 당시 최고 화제작 용의 눈물에서 맡은 역할에 맞게 친인척 관리에 대한 질문을 하였다.

2.4. 노무현

파일:노무현국민과의대화.jpg

그도 역시 진행했다. 전임 김대중과는 달리 대화는 잘 열지 않았으나 기자회견은 11번이나 할 정도로 나름 개방적이었다. 임기 첫 해에는 평검사들과 처음으로 소통을 시도했고, 권위주의적이지 않던 본인의 성격과 맞게 영화배우[5], 대학생들이 많이 나왔고 본인이 중요하지 않은 대화에는 농담도 던질 정도로 굉장히 밝고 유쾌했다는 듯했다. 특히 2006년에는 사상 최초로 인터넷을 통해 대국민 소통을 진행했으며 다음, 엠파스, 네이트, 파란, 야후코리아 등 5개 인터넷 포털사이트가 주관해줬다.

파일:노무현일본국민과의대화.jpg
2003년에는 일본 국민과의 대화도 진행한 적이 있다. 대한민국 대통령이 평범한 외국인들과 이 정도 규모의 간담회를 연 건 8.15 광복 이후 처음 있는 일이었다. KBS #

2.5. 이명박

파일:이명박국민과의대화.jpg
이명박 때도 진행되었다. 이때는 대통령과의 대화라고 하였는데[6], 국민의 입장으로 보면 ‘대통령과의 대화’로 칭하는 것이 옳다는 취지라고 밝혔다.# 분위기 자체는 그냥저냥 적당히 밝고 적당히 진지했다. 이때 조국 전 서울대 교수가 바로 옆에서 여러 가지 질문을 주고받기도 했다. 상단의 사진에서 이명박 바로 옆 단상에 서 있는 사람이 조국이다.

취임 후 2008년 방일 중에, 이명박 전 대통령도 노무현 전 대통령과 똑같이 일본 국민과의 대화를 위해 일본 방송에 출연하였다. 이때 사회자는 직전 노 전 대통령의 일본 국민과의 대화에서도 사회를 본 '초난강'으로 잘 알려진 쿠사나기 츠요시였다. SBS

2.6. 박근혜

박근혜 전 대통령 재임 시기에는 국민과의 대화가 열리지 않았다.

2.7. 문재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국민과의 대화/문재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8. 윤석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해당 방송의 리허설로 인해 촉발된 논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윤석열 정부 국정과제점검회의 리허설 논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22년 12월 15일, 윤석열 대통령은 청와대 춘추관에서 '제1차 국정과제 점검회의'라는 제목으로 국민과의 대화를 진행했다. 참석자는 윤석열 대통령과 각 부처 관계자 50명, 각 부처에서 엄선한 국민 패널 100명이었다. 진행 방식이 국민 패널이 질문을 하면 대통령이나 부처 관계자가 답변을 하는 방식이기에 사실상 국민과의 대화나 다름이 없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질문내용과 질문을 하는 사람은 각 부처에서 미리 엄선한 사람이다. 당초 100분 분량으로 계획했으나, 실제로는 160분 가량 진행되었다.

이 방송이 생방송으로 진행된 것은 맞지만, 완전 자유 문답식 토의로 진행된 것은 아니다. 질문자의 질문 순서, 질문 내용, 답변 내용은 미리 정해져 있었으며, 본 방송 진행 전 실제 질문자와 윤석열 대통령 대역이 리허설을 진행한 영상이 YTN에 의해 올려졌다가 삭제된 바 있다. 더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 한편 머니투데이의 관련 기사에서도 본래 "사전 리허설이 없었던 만큼 일부 국민패널들은 질문 도중 긴장해 말을 더듬는 장면도 여과없이 방영됐다."라고 썼으나, 이후 "일부 국민패널들은 질문 도중 긴장해 말을 더듬는 장면도 여과없이 방영됐다."로 수정 편집 되었다.

그래서 윤석열 정부에서 사전에 리허설을 진행했다는 점, 정부 부처에서 패널을 엄선하여 패널구성 자체가 편파적이라는 지적과 너무 친정부스러운 내용만 담겨 있었다는 비판이 뉴시스 기사에서 지적되었다. 야권 관계자 역시 친정부 목소리만 수용했다고 비판하였다.

반면 조선일보의 취재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대체적으로 행사에 대해 적기에 실시된 대통령의 첫 대국민 직접 소통이라는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돌발적인 실수가 없었다며 최근 상승세를 탄 지지율 상승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일부 전문가들은 패널 선정 단계부터 신경을 써야 하고 더욱더 적극적인 소통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문했다. #

시청률은 MBC 0.438%, SBS 0.641%, KBS1 0.957%, JTBC 0.271%, MBN 0.529%, 채널A 0.575%, TV 조선 1.892%으로, TV조선을 제외한 모든 방송국에서 1% 아래 시청률을 기록하였다.

3. 기타

4. 참고 자료

5. 같이 보기



[1] 김영삼, 박근혜. 한술 더 떠 박근혜는 기자회견조차 잘 열지 않고 대국민 담화를 주로 이용했다.[2] 박정희 전 대통령이 선거 운동을 할 때 당시로서는 매우 파격적으로 농민들과 막걸리를 마신 적이 있긴 있었다. 이 외에는 지방 순시 때 몰래 일반 버스에 타서 버스 승객들이랑 박정희 본인을 물고 뜯는다던지, 유신 전까지는 이렇게 특이한 행보를 간간히 보이곤 했다.[3] 다만 이승만 전 대통령 재임 시절에도 경무대에 국민들을 초청해 이야기를 경청하는 일도 있었다.[4] 완전히 설명할 수 있는 이유는 아니겠지만 김영삼은 민주화 운동을 한 시기 군사정권의 요주의 인물이었던지라 보안이 중요했기에 믿을 만한 일부 측근과 비밀리에 행동하는 스타일이 몸에 배었던 듯하다. 대통령이 된 이후에도 하나회 해체, 금융실명제 실시 등의 업적들을 이런 식으로 추진했다. 정부 공식 라인을 활용하기보단 신뢰할 수 있는 실세 몇 명과 철통 보안하에 일을 추진하고 마지막에 깜짝 공개하는 스타일. 신속하고 효율적이긴 했으나 지나치게 폐쇄적이었다.[5] 그 중 하나가 이준기. 2006년 인터넷 대화 '양극화, 함께 풀어갑시다' 때 스크린 쿼터제에 대한 질의응답을 진행했다.[6] 대통령과의 대화는 1990년에 노태우도 했었다.[7] 2001년부터 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