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color=#ffffff,#1c1d1f> {{{#!wiki style="min-height: 28px;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ffffff> 정부 | 연도 | 민주화운동 | 지역 |
제1공화국 [[이승만 정부| 이승만 정부 ]] | 1959년 | 보안법 파동 | 대구 | |
1960년 | 2.28 학생민주의거 | 대구 | ||
3.8 민주의거 | 대전 | |||
3.15 의거 | 경남 | |||
3·17 민주의거 | 서울 | |||
4.19 혁명U | 전국 | |||
제2공화국 [[장면 내각| 장면 내각 ]] | 1961년 | 2대악법 반대투쟁 | 전국 | |
제3공화국 [[박정희 정부| 박정희 정부 ]] | 1964년 | 6.3 항쟁 | 서울 | |
1965년 | 한일협정 반대투쟁 | |||
1969년 | 3선 개헌 반대운동 | 전국 | ||
제4공화국 [[박정희 정부| 박정희 정부 ]] | 1973년 | 유신헌법 반대운동 | 전국 | |
1976년 | 3.1 민주구국선언 | 서울 | ||
1979년 | 부마민주항쟁 | 부산·경남 | ||
제4공화국 [[최규하 정부| 최규하 정부 ]] | 서울의 봄 | 서울 | ||
1980년 | 5.18 민주화운동U | 광주·전남 | ||
제5공화국 [[전두환 정부| 전두환 정부 ]] | 1984년 | 민정당사 점거투쟁 | 서울 | |
1985년 | 지하학생운동 | 서울 | ||
1986년 | 인천 5.3 민주항쟁 | 인천 | ||
10.28 건국대학교 항쟁 | 서울 | |||
1987년 | 6월 항쟁 | 전국 | ||
노동자 대투쟁 | 전국 | |||
제6공화국 [[노태우 정부| 노태우 정부 ]] | 1991년 | 분신정국 | 전국 | |
U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 }}}}}}}}} |
1. 개요
1958년 12월 대구에서 이승만 정부의 국가보안법 개정 시도에 반대하며 일어난 시위.2. 배경
이승만 정부는 국가보안법 3차 개정안을 만들어 발의하게 된다. 개정될 법의 진짜 목적은 언론을 막고, 반대하는 사람들을 체포하려 하는 것이 있었다.3. 전개
당연히 사람들은 이것이 자유를 억압하는 악법이라고 생각했고, 특히 대구에서는 민주당 경북도당과 임문석이 중심이 되어 이에 반대하는 모임인 ‘국가보안법 개악 반대 경북투쟁위원회’를 조직한다.시위대는 1958년 12월 21일, 대구국립극장에서 강연회를 연 후, 참가자들은 완장을 차고 거리로 나가 “국가보안법 개악 반대!”를 외쳤다. 2.4 파동으로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한 다음날인 12월 25일에는 비가 왔지만 시민극장 앞에서 “보안법은 악법이다! 즉시 철회하라! 아니면 죽음을 달라!”라고 외치며 시위를 이어나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