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15 08:24:23

국가보안법 반대 가두시위



<bgcolor=#ffffff,#1c1d1f> {{{#!wiki style="min-height: 28px;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fff> 정부 연도 민주화운동 지역
제1공화국
[[이승만 정부|
이승만 정부
]]
1959년 보안법 파동 대구
1960년 2.28 학생민주의거 대구
3.8 민주의거 대전
3.15 의거 경남
3·17 민주의거 서울
4.19 혁명U 전국
제2공화국
[[장면 내각|
장면 내각
]]
1961년 2대악법 반대투쟁 전국
제3공화국
[[박정희 정부|
박정희 정부
]]
1964년 6.3 항쟁 서울
1965년 한일협정 반대투쟁
1969년 3선 개헌 반대운동 전국
제4공화국
[[박정희 정부|
박정희 정부
]]
1973년 유신헌법 반대운동 전국
1976년 3.1 민주구국선언 서울
1979년 부마민주항쟁 부산·경남
제4공화국
[[최규하 정부|
최규하 정부
]]
서울의 봄 서울
1980년 5.18 민주화운동U 광주·전남
제5공화국
[[전두환 정부|
전두환 정부
]]
1984년 민정당사 점거투쟁 서울
1985년 지하학생운동 서울
1986년 인천 5.3 민주항쟁 인천
10.28 건국대학교 항쟁 서울
1987년 6월 항쟁 전국
노동자 대투쟁 전국
제6공화국
[[노태우 정부|
노태우 정부
]]
1991년 분신정국 전국
U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

1. 개요2. 배경3. 전개4. 진압5. 관련 문서

1. 개요

1958년 12월 대구에서 이승만 정부국가보안법 개정 시도에 반대하며 일어난 시위.

2. 배경

이승만 정부는 국가보안법 3차 개정안을 만들어 발의하게 된다. 개정될 법의 진짜 목적은 언론을 막고, 반대하는 사람들을 체포하려 하는 것이 있었다.

3. 전개

당연히 사람들은 이것이 자유를 억압하는 악법이라고 생각했고, 특히 대구에서는 민주당 경북도당과 임문석이 중심이 되어 이에 반대하는 모임인 ‘국가보안법 개악 반대 경북투쟁위원회’를 조직한다.

시위대는 1958년 12월 21일, 대구국립극장에서 강연회를 연 후, 참가자들은 완장을 차고 거리로 나가 “국가보안법 개악 반대!”를 외쳤다. 2.4 파동으로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한 다음날인 12월 25일에는 비가 왔지만 시민극장 앞에서 “보안법은 악법이다! 즉시 철회하라! 아니면 죽음을 달라!”라고 외치며 시위를 이어나갔다.

4. 진압

1959년 1월 14일, 민주당 의원들과 대구 시민들은 더 큰 시위를 준비하였지만, 경찰이 강하게 막으면서 실패하고 말았다. 이때, 시위를 주도한 임문석 등 10명 넘는 사람들이 체포되어 감옥에 갇힌다.

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