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164194>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nopad> 가평군 | ||||
가평 | 목동 | 설악 | 청평 | 현리 | |
<nopad> 고양시 | <nopad> 광명시 | <nopad> 광주시 | <nopad> 구리시 | <nopad> 군포시 | |
고양 | 광명 | 광주 | 구리 | 군포 | |
<nopad> 김포시 | <nopad> 부천시 | <nopad> 성남시 | <nopad> 수원시 | ||
김포 | 부천 | 성남 | 동수원 | 서수원 | |
<nopad> 수원시 | <nopad> 시흥시 | <nopad> 안산시 | |||
수원 | 우만동 | 아주대 | 시흥 | 안산 | |
<nopad> 안성시 | <nopad> 안양시 | ||||
안성 | 공도 | 안양 | 안양역 | 호계 | |
<nopad> 양평군 | <nopad> 여주시 | <nopad> 연천군 | |||
양평 | 용문 | 여주 | 연천 | 전곡 | |
<nopad> 오산시 | <nopad> 용인시 | ||||
오산역 | 용인 | 기흥역 | 신갈 | 양지 | |
<nopad> 용인시 | <nopad> 의왕시 | <nopad> 의정부시 | <nopad> 이천시 | ||
좌찬 | 백암 | 의왕고천 | 의정부 | 이천 | |
<nopad> 이천시 | <nopad> 파주시 | <nopad> 평택시 | <nopad> 포천시 | ||
장호원 | 문산 | 안중 | 평택 | 관인 | |
<nopad> 포천시 | |||||
도평리 | 송우리 | 이동 | 일동 | 포천시외 | |
<nopad> 하남시 | <nopad> 화성시 | ||||
하남 | 향남 | }}}}}}}}} |
매표소
정류장
1. 개요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위치한 시외버스 정류장.의정부버스터미널 및 상봉임시정류소에서 출발하는 노선들의 중간 승하차장이며, 사실상의 간이 매표소다.
인근에 롯데백화점 구리점 및 구리역이 있다.
2. 운행 노선
노선망 자체가 타 위성도시들 대비 썩 훌륭하다고 보기 힘들다. 그나마 영남권 노선들이 비교적 갖춰진 편이며, 호남권 노선은 20년 전 전주행[1]과 잠시 광주행[2]이 다녔던 거 외에는 없다. 동서울터미널이나 서울고속버스터미널로 가거나 용산역, 서울역, 수서역에서 고속철도 등을 이용하는 것이 훨씬 이롭다. 구리시외버스정류장 주변에서 동서울터미널로 가는 시내버스는 발에 채일 정도로 많다.[3]과거 부산과 경주ㆍ포항, 구미ㆍ대구 등지로 가는 노선들이 있어[4] 남부권으로 가는 노선망이 나쁘지 않았다. 하지만 코로나의 여파로 노선들이 갈려나가면서 현재는 하루에 2~3회 수준으로 배차가 확 줄어든 상황이다. 거기에 8호선이 개통하면서 수서역까지 도시철도로 40분 정도면 갈 수 있어 경쟁력이 더 하락했다.[5]
특기할만한 점은 구리·남양주 지역이 강원도 영서지역으로 향하는 주요 길목에 있음에도 여기서 강원도로 향하는 노선은 원주행 뿐이라는 것이다. 원래 춘천행이 상봉 착발과 고양 착발 등을 합해 20-30분 간격으로 자주 있었으나, 수도권 전철 경춘선 개통, 코로나 등의 여파로 수요가 주저앉아 버스가 더 이상 운행하지 않기 때문이다. 춘천으로 가려면 바로 옆에 있는 8호선 구리역으로 간 뒤 별내역으로 가거나, 버스를 타고 평내호평역으로 가서 경춘선을 이용해야 한다.
전회우등으로 운행 중인 노선은 볼드체 표시.
2.1. 강원권
행선지 | 경유지 | 소요시간 | 운임 | 운행 횟수 | 운행 회사 | 비고 |
원주 | ↓상봉임시정류장 출발 | |||||
문막 | 1:05 | ₩ 7,600 | 일 6회 | 금강고속 | ||
원주 | 1:45 | ₩ 9,300 |
2.2. 영남권
행선지 | 경유지 | 소요시간 | 운임 | 운행 횟수 | 운행 회사 | 비고 |
구미 동대구 | ↓의정부 출발 | |||||
구미 | 2:20 | ₩ 23,500 | 일 4회 | 대원고속, 금호고속 | [E-Pass] | |
동대구 | 3:10 | ₩ 29,000 |
[1] 호남고속 의정부-전주 노선이 신설 직후에는 구리를 경유[2] 광신고속 단독[3] 구리역 앞 버스정류장에서 아예 청량리 방면과 강변 방면을 나눠놓아 헷갈릴 일도 없다.[4] 기존 동두천 - 의정부 - 구미 시외노선의 동두천 - 의정부 구간 단축, 구미 - 동대구 구간 연장 및 구리 경유로 바뀐 것이다.[5] 서울역의 경우에도 이론상 소요시간은 40분 여 정도로 뜨나 경의중앙선의 고질적인 지연과 1호선 서울 도심구간의 느린 표정속도, 서울역의 복잡한 동선 등을 감안하면 실제로는 50~60분은 잡아야 한다. 반면 수서역의 경우 동선이 간단하고 8호선의 표정속도가 1호선보다는 빠르기 때문에 40분 안쪽이면 도착한다.[E-Pass] E-Pass 사용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