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3월 13일 서울 대학로에서의 공연 모습.
이 연극의 클라이막스, 관객에게 물 끼얹기(...)
Publikumsbeschimpfung (독일어)
Offending the Audience (영어)
대본 다운로드(한글 파일)[1][2]
PDF 버전[3]
1. 개요
오스트리아 출신 극작가 페터 한트케(Peter Handke)[4]가 만든 희곡 작품으로 1966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초연하였다. 한국에서는 1978년 극단76에서 초연.기존 연극의 틀에서 탈피한 실험극의 일종으로, 말로만 진행하는 언어극(혹은 구변극)이라는 장르의 새 지평을 열었다고 평가된다.
2. 내용
4명의 배우가 의자에 앉아서 한 명씩 돌아가며 즉흥적으로 말을 쏟아내며, 그 말들은 전부 언어유희나 모순 등으로 떡칠되어 배배 꼬여있다. 시간이 지나면서 말의 수위가 점점 과격해지는 게 특징. 말하는 대상이 사회, 문화 등에서 관객으로 옮겨가고, 제목 그대로 관객들을 모욕한다. 갈수록 관객에게 욕하는 수위가 높아지다가 나중에는 관객들에게 물을 끼얹는다.이게 끝. 세부적인 내용과 비판 대상은 그때그때 따라 달라지며, 굳이 대사라고 할 만한 것들이 배우들이 즉흥적으로 말을 쏟아내는 것이기 때문에 스토리가 없다. 다만 전체적인 방향은 위에 써 있는 대로 지켜져야 한다.
일단 원래 대본의 내용은 삶의 주체가 될 수 있었음에도 수동적으로 살아가며, 무대 위에서 주체가 되는 배우들을 구경하러 온 관객들을 비난하는 내용이다.
3. 기획의도 및 평가
한트케는 언어의 의미가 아닌 그 형태 자체에 집중하였다. 한트케는 배우들의 모든 언어와 행동들이 한 사람을 향하는 것이 아닌 관객 전체를 향하게 해야 한다고 써 두기도 했다. 말하자면 무의미한 언어의 흐름 속에 관객들을 빨려들어가게 한다는 것.기존 연극과 달리 관객들이 감정이입을 하지 않고, 정치/사회/문화 등을 비판하는 것을 들으며 카타르시스를 느끼고 특유의 낯선 분위기를 통해 현실에 대해 인식하고 성찰하게 된다.
평론가들에게는 대체로 호평을 받았다. 언어극의 새 지평을 열었다는 것과, 제4의 벽을 깼지만 서사극 방식을 채용해 관객이 낄 틈이 없게 한 점[5] 등 전체적으로 강렬하게 보이는 참신함이 호평을 받는 요인이 되었다.
하지만 초연 당시 관객들은 매우 황당해했는데, 확실히 그게 정상이다. 모처럼 휴일이라 비싼 돈 주고 연극을 보러 왔는데 내용도 없고 그나마 말하는 것도 꽤나 이상하고, 나중에는 자기들에게 욕지거리를 하지를 않나... 때문에 초연 당시에는 관객들이 분노해서 무대를 향해 의자를 집어던지는 등의 해프닝이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사회나 문화를 비판할 때 카타르시스를 느낀 관객들도 꽤 많았던 모양. 이후로도 이 연극은 세계 각국으로 퍼져나가 지금도 여러 군데에서 인기리에 공연되고 있다. 요즘은 이 연극을 미리 찾아봐서 이해하고 보러 가는 이들도 꽤 많은 모양. 사실 이 연극은 미리 이해하고 보러 가는 게 멘붕을 방지할 수 있어서 좋다. 정보 없이 보러 가면 이해도 안 되고, 욕설과 물을 그대로 받아들여서 기분이 상할 수 있다.
4. 기타
- 연극 시작 전에 관계자가 객석을 돌면서 노약자들을 정면 앞쪽 좌석에서 빼내서 뒤로 보내기도 한다. 대신 그 자리 들어가는 사람은 정면 앞쪽 좌석을 받았으니 이게 웬 떡이냐 하며 좋아하겠지만 현실은 마지막에 물 맞는 자리... 사실 관객들은 무슨 연극인지 알고 갔을 확률이 매우 크므로 앞 자리를 준다고 1차원적으로 좋아하지는 않을 것이다.
- 의외로 재미 포인트가 많이 있다. 가장 많이 꼽는 포인트는 배우들이 말하는 뭔가 배배 꼬인 말들. 그 외에 욕하는 게 시원하다는 사람들도 많고, 물 맞는 게 기분 좋다는(...) 사람도 간혹 보인다.
- 지금이야 줄어들었지만, 옛날에는 이 연극의 기행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빡친 사람이 매우 많았던 모양이다. 초연 때만 해도 관객들이 의자를 집어던지질 않나, 이후로도 공연 때마다 관객들이 욕설과 야유를 퍼붓거나 비난하는 등의 일이 자주 있었다. 1966년에 프랑크푸르트에서 이뤄진 공연 영상.
애초에 제목을 보고 이런 사태를 미리 예상했어야 한다
- 초대 맹구로 유명한 코미디언 이창훈은 국내에서 관객모독을 초연한 배우들 중 한 명이었고, 당시 이 연극을 관람하고 이창훈의 연기력에 감명받은 최양락이 그를 당시 최고의 코미디 프로그램 유머 1번지의 PD였던 김웅래 PD에게 그를 추천했다고 한다. 이를 계기로 코미디계의 전설적인 캐릭터 맹구가 탄생할 수 있었다.
- 원작자 페터 한트케는 2019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
- 정해진 대본이 없이 틀만 짜여진 채 진행되는 것이 관객모독만의 특징은 아니다. 이를 "즉흥극"이라고 하며 현대에는 한 장르로 자리잡아 있다. 한국에서는 <오늘 처음 만드는 뮤지컬> 같은 작품이 유명하다. 관객모독의 특징은 위에도 써 있듯 고정되지 않은 언어의 서사로 클라이막스를 향해 간다는 점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