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 <tablebordercolor=#cc101f>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cc101f><tablebgcolor=#cc101f>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color: #ffcc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초대 신현준 | 2대 김석범 | 3대 김대식 | 4대 김성은 | 5대 김두찬 | |
6대 공정식 | 7대 강기천 | 8대 정광호 | 9대 이병문 | 10대 김연상 | |
11대 이동용 | 12대 정태석 | 13대 김정호 | 14대 최기덕 | 15대 박희재 | |
16대 성병문 | 17대 박구일 | 18대 최갑진 | 19대 조기엽 | 20대 임종린 | |
21대 이상무 | 22대 전도봉 | 23대 이갑진 | 24대 김명환 | 25대 이철우 | |
26대 김인식 | 27대 김명균 | 28대 이상로 | 29대 이홍희 | 30대 유낙준 | |
31대 이호연 | 32대 이영주 | 33대 이상훈 | 34대 전진구 | 35대 이승도 | |
36대 김태성 | 37대 김계환 | ||||
※ 10대~17대 : 해군 제2참모차장 / 초대~9대, 17대~현임 : 해병대사령관 / 30대~현임 : 서북도서방위사령관 겸임 | |||||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 |
<colbgcolor=#cc101f><colcolor=#ffcc00> 출생 | 1925년 9월 3일 | |
경상남도 밀양군 초동면 (現 경상남도 밀양시 초동면) | ||
사망 | 2019년 10월 25일 (향년 94세) | |
서울특별시 송파구 풍납동 서울아산병원 | ||
묘소 | 국립대전현충원 장군제2묘역-526호 | |
본관 | 곡부 공씨 | |
재임기간 | 제6대 해병대사령관 | |
1964년 7월 1일 ~ 1966년 7월 1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colbgcolor=#cc101f><colcolor=#ffcc00> 배우자 | 주영열 | |
자녀 | 3남 2녀 | |
학력 | 마산공립상업학교 (졸업 / 18회) | |
종교 | 기독교 | |
의원 선수 | 1 | |
의원 대수 | 7 | |
경력 | 제7대 국회의원 (밀양군 / 민주공화당) 해경상사 사장 해군사관학교 교수 한국해양대학교 교수 신민주공화당 국방외교안보행정특보위원 자유민주연합 국방외교안보행정특임고문 | |
호 | 해경(海耕) | |
군사 경력 | ||
임관 | 해군사관학교 (1기) | |
복무 | 대한민국 해군 | |
1946년 ~ 1951년 | ||
대한민국 해병대[1] | ||
1951년 ~ 1966년 | ||
최종 계급 | 중장 (대한민국 해병대) | |
주요 보직 | 해군 경주함 함장 해병대 제1대대장 해병대 제3전투단장 한미해병 연합상륙 여단장 해병 제1여단장 해병 제1해병사단장 | |
참전 | 몽금포 작전 6.25 전쟁 |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 제6대 해병대사령관을 역임하였다.2. 생애
1925년 9월 3일 경상남도 밀양군 초동면에서 태어났다. 마산공립상업고등학교(18회) 졸업 후 1946년에 해군사관학교(1기)에 입학했고 그해 12월에 임관했다. 동기로는 대한민국 해군참모총장을 지낸 이맹기, 함명수, 김영관, 장지수 제독이 있다. 해군 소위 임관 후 해군 항해장교로 근무했고 301정장, 302정장, 경주함장을 지내기도 했다. 1949년 8월 16일에 함명수, 김상길 등과 함께 해군 몽금포 작전에 참여해 특공대장인 함명수를 구출하고 해군 함정 4척 격파, 1척 나포의 전공을 세웠고 2015년 태극무공훈장을 받았다.그러다가 한국전쟁이 발발했고 인천상륙작전에 해군 704함 부장으로 참가한 것을 계기로 해병대와 인연을 맺게 된다. 공정식의 자질을 눈여겨 본 해병대 장교들의 설득으로 대위 때 해병대로 전과하여 해병대 제1대대장이 된다. 이후 6.25 전쟁에서 눈부신 성과를 올리며 승승장구하였고, 제3전투단장, 1여단장, 제1해병사단장, 부사령관을 거쳐 1964년에 해병대사령관에 올랐다.
5.16 때 해병대도 일부 병력이 서울에 투입되는 등 가담했는데, 당시 사단장이었던 본인은 몰랐다고 회고록을 통해 밝혔다. 당시 평시에도 유엔군 사령부 권한으로 국군 작전권을 행사한 주한미군측에서 쿠데타에 가담한 부대를 진압하라고 했는데, 해병대가 같은 해병대를 공격할 수 없다고 하며 거부하였다.[2]
초기에 해병대가 여러 부대에서 인원을 끌어오다보니 출신이 다양해서[3] 그가 전역한 1966년부터 1977년까지 해군사관학교 출신 사령관이 없다가 12대 정태석(해사3기) 중장이 취임했다. 그 후에는 해병간부후보생 출신인 정광호 대장, 이병문 대장, 이동용 중장, 김정호 중장, 전도봉 중장을 제외하면 전원이 해사 출신이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경상남도 밀양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처음에는 3선 개헌에 반대하다가 찬성으로 돌아섰다.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다가 신민당 박일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87년 해병대사령부 부활 당시 국방부 장관이었던 정호용에게 사의(謝意)를 표했다.1987년 해병대 사령부 재창설 비화
2015년 기준으로 해병대전략연구소장을 맡고 있었다. 작은 아들도 해병대 장교 출신이다.
'바다의 사나이 영원한 해병'이란 제목의 회고록을 집필하였다. 초창기 대한민국 해군과 해병대의 모습을 유추할 수 있는 아주 좋은 자료이다.[4]
2019년 10월 25일 향년 94세로 사망했다.
3. 선거이력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1967 | 제7대 국회의원 선거 | 경남 10[5] | [[민주공화당|]] | 48,315(63.67%) | 당선(1위) | 초선 |
1971 | 제8대 국회의원 선거 | 경남 13[6] | 34,944(48.32%) | 낙선(2위) | ||
1978 |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 경남 6[7]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6,663(19.83%) | 낙선(3위) |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마산 | 거제 | 진해·창원 | ||
공석 | 구태회 | 공석 | 김주인 | 공석 | |
삼천포·사천·하동 | 산청·합천 | 밀양 | |||
김용순 | 김창욱 | 성낙현 | 김삼상 | 공정식 | |
양산·동래 | 울산·울주 | 김해 | 남해 | 거창·함양 | |
노재필 | 설두하 | 김택수 | 최치환 | 민병권 | |
* 진해·창원 조창대 사망 (1969.8.22.) * 창녕 성낙현 자격 상실 (1969.9.8.) * 충무·통영·고성 최석림 자격 상실 (1970.5.1.) * 충무·통영·고성 최석림 자격 상실 (1971.2.24.) * 마산 한태일 자격 상실 (1971.5.4.) | |||||
◀ 제6대 제8대 ▶ | }}}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835B38><tablebgcolor=#835B38>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835B38><tablebgcolor=#835B38>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박준규 | 예춘호 | 최두고 | 임갑수 | 이병희 |
차지철 | 오치성 | 이백일 | 서상린 | 이윤용 | |
신윤창 | 김재소 | 오학진 | 최익규 | 이승춘 | |
장승태 | 김재순 | 김종호 | 이우현 | 김진만 | |
정태성 | 민기식 | 이종근 | 육인수 | 정직래 | |
오원선 | 김유택 | 김용태 | 양순직 | 김종익 | |
장영순 | 이상희 | 김두현 | 이민우 | 김종철 | |
길재호 | 김용진 | 차형근 | 김성철 | 류범수 | |
전휴상 | 한상준 | 류광현 | 박두선 | 신용남 | |
이병옥 | 장경순 | 김우경 | 고재필 | 길전식 | |
윤재명 | 정간용 | 김병순 | 배길도 | 이호범 | |
윤인식 | 이남준 | 이만섭 | 이원만 | 이효상 | |
김장섭 | 백남억 | 이상무 | 김성곤 | 김봉환 | |
김대진 | 문태준 | 오준석 | 이원우 | 박주현 | |
송한철 | 김천수 | 이동녕 | 정진동 | 김창근 | |
구태회 | 김주인 | 김용순 | 김창욱 | 성낙현 | |
김삼상 | 공정식 | 노재필 | 설두하 | 김택수 | |
최치환 | 민병권 | 양정규 | 현오봉 | 정구영 | |
윤치영 | 백두진 | 최희송 | 김정렬 | 윤천주 | |
양찬우 | 이동원 | 김동환 | 이영근 | 김성희 | |
이원엽 | 김유탁 | 박노선 | 김용호 | 김영복 | |
이정석 | 신동욱 | 김용채 | 이병주 | 이매리 | |
이성수 | 신동준 | 김익준 | 이원영 | 이영호 | |
김성용 | }}} }}}}}} |
[1] 군번 80125[2] 당시 육참총장이었던 장도영 역시 국군이 같은 국군을 공격할 수 없다며 이를 거부했다.[3] 해군에서 만주군이나 일본군 출신을 해병으로 몰아넣은 것도 있고 해군특교, 해병학교, 해병간부 등 임관루트의 변주가 심했다.[4] 2009년 출판. 전 2권으로 한권은 개인 사진집, 다른 한권은 딱 41세에 해병대에서 전역할 때 까지 다룬 회고록이다. 비매품인지 서점에서는 구입할 수 없는 책이니, 주변의 해병대 전우회 관계자에게 보유여부를 문의하거나 국립중앙도서관에서 e북 형태로 볼 수 있다.[5] 밀양군[6] 밀양군[7] 밀양군, 창녕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