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6 17:24:52

고지우

파일:삼천리그룹 로고.svg 골프단 소속 선수 명단
{{{#!wiki style="margin: 0 -11px; color: #034DA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고지우 마다솜 최가빈 유현조 전예성 박보겸
이재윤 이세희 서교림 고지원 정지현
}}}}}} ||
<colcolor=#C1C1C3> KLPGA 회원번호 No.1637
파일:20012122_315703_5527.jpg
<colbgcolor=#005daa> 이름 고지우
출생 2002년 8월 16일 ([age(2002-08-16)]세)
제주특별자치도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노형초등학교 (졸업)
중문중학교 (졸업)
제일방송통신고등학교 (졸업)
가족 부모님, 여동생 고지원 (2004년생), 남동생
종목 골프
데뷔 2021년 4월 KLPGA 입회
소속 에드가 (2022)
삼천리 (2023~ )
소속사 와우매니지먼트그룹
신체 165cm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소개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2.2. 2021년2.3. 2022년2.4. 2023년2.5. 2024년2.6. 2025년
3. 플레이 스타일4. 기록5. 우승 이력6. 상금 순위7. 여담

1. 소개

대한민국골프 선수.

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고등학교 2학년이던 2019년 전국대회인 제주특별자치도지사배 주니어 골프선수권대회와 드림파크배 아마추어 골프선수권대회에서 우승했다.

당시 아버지가 연습장을 지으시면서 주변에 도와주는 분들이 많이 생겼으며 처음에 아버지가 골프를 시키셨을 때 골프가 재밌지는 않은데 그래도 해야될 것 같은 느낌이 들었고 그래서 지금까지 하다 보니 이제서야 골프를 재밌게 하고 있고 이제는 골프가 좋다고 밝혔다.

2.2. 2021년

4월 KLPGA에 입회했다. 드림투어에서 한때 상금 26위로 밀리기도 했으나 시즌 막바지 연속 준우승으로 상금 13위로 2022 시즌 KLPGA 투어에 입성하게 되었다.

2.3. 2022년

시즌 초반 3대회 연속 컷탈락을 기록했으나 6월 들어 좋은 모습을 보였고 최종 상금 27위, 신인상포인트 2328점으로 2위를 기록했다. 이는 3001점을 기록한 이예원 다음으로 높은 기록.

드라이브 비거리 249야드로 전체 5위, 버디 부문 1위[1]를 기록하며 '버디폭격기'라는 별명이 붙여졌다.

시즌이 시작되기 전 이예원을 비롯해 윤이나, 마다솜, 권서연, 서어진, 손예빈 등이 주로 주목받았고 고지우는 다소 주목을 덜 받았으나 이예원 다음으로 좋은 모습을 보이며 다음 시즌을 기대하게 했다.

2.4. 2023년

넥센 세인트나인 마스터즈에서 아쉽게 준우승을 기록한 뒤 맥콜 모나 용평 오픈에서 데뷔 첫 우승을 거뒀다!

2.5. 2024년

하이원리조트 여자오픈에서 우승을 거두며 시즌 첫 승이자 통산 2승을 거뒀다. 3R 18번홀에서 보기를 기록하지 않았다면 KLPGA 투어 최초로 4R 대회 노보기 우승도 가능했었다.

2.6. 2025년

KLPGA 투어 개막을 앞두고 2월 27일~3월 2일 진행된 TLPGA 투어 폭스콘 플레이어스 챔피언십에 참가했으나 한국 선수들 가운데에서는 유일하게 컷탈락을 기록했다.[2]

3월 13~16일 진행된 KLPGA 투어 개막전 블루캐니언 레이디스 챔피언십 1R에서 공동 선두를 기록한 뒤 2R에서 3오버파로 흔들렸지만 3R에서 4타, FR에서 7타를 줄였고, 우승을 거둔 박보겸과 1타 차로 아쉽게 준우승을 거뒀다.

4월 3~6일 진행된 국내 개막전 두산건설 We've 챔피언십에서도 좋은 모습을 보이며 7위로 마무리했다.

3. 플레이 스타일

버디폭격기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데뷔 시즌에는 250야드에 육박하는 장타를 바탕으로 버디를 많이 잡아냈었다. 다만 고점은 높으나 그만큼 기복이 심한 편. 시즌이 지날수록 드라이브 비거리는 240야드까지 내려갔다.

유독 강원도 산지에서 성적이 좋다. 2승 모두 강원도 산지에서 기록한 것. 제주도 한라산 지대와 강원도 산지를 착각하신..

4. 기록

5. 우승 이력

KLPGA 투어 통산 2승

6. 상금 순위

7. 여담

파일:c_2023-03-29T095026_4997117_sports_5908452.jpg
왼쪽이 동생 고지원, 오른쪽이 언니 고지우

[1] 유해란과 동일한 336개를 기록하며 전체 버디수 공동 1위.[2] 이 외에도 이다연은 2R 도중 기권을 밝혀 한국 선수들 중에서는 고지우와 이다연만 3, FR에 참가할 수 없었다.[3] 2025년 4월 6일 기준.[4] 다만 고지우가 2승을 거뒀지만 고지원은 2023 시즌에 이어 2024 시즌 후에도 시드전으로 내려가는 등 성적은 그리 좋지는 못하다.[5] 다만 황유민은 제주도에서 태어나지는 않았다.[6] 차이점이라면 박현경은 데뷔 2년차인 KLPGA 챔피언십에서 우승한 반면, 유현조는 데뷔 시즌 KB금융 스타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