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000> 고속버스 | ↔서대구, 동대구 | ↔광주 | |
<colbgcolor=#009fe3><colcolor=#fff> 시외버스 | ||||
수도권 | ↔동서울 | ↔잠실역 | ↔김포공항, 인천공항 | |
↔안양,인천 | ↔성남 | ↔서울경부 | ||
↔수원 | ↔안산 | |||
강원 | ↔홍천, 횡성, 원주 | ↔원주(직통) | ↔사창리 | |
↔사창리, 동송(철원) | ↔화천 | ↔양양, 속초 | ||
↔속초 | ↔강릉 | ↔강릉, 동해, 삼척 | ||
대구/경북 | ↔대구북부, 대구서부 | ↔경주, 포항 | ||
대전/충청 | ↔대전복합 | ↔세종, 대전 | ↔청주, 대전 | |
↔천안 | ||||
부산/울산 | ↔부산 | ↔울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ef4123><colcolor=#ffffff> 고속버스 및 전환시외 (고속버스 전산망을 사용하는 노선) | ||||
수도권 | ↔서울호남 | ↔동서울 | ↔인천공항 | ↔인천 | |
↔성남 | ↔수원 | ↔용인 | ↔시흥,안산 | ||
↔의정부 | | | | ||
강원 | ↔원주 | ↔춘천 | |||
충청 | ↔대전복합 | ↔유성 | ↔천안 | ↔청주 | |
호남 | ↔전주 | ||||
대경 | ↔동대구 | ↔포항(고속) | |||
부울경 | ↔부산동부(노포) | ↔부산서부(사상) | ↔울산 | ↔진주 | |
↔마산,창원,진해 | ↔마산,창원,김해 | ↔김해공항 | |||
시외버스 (시외버스 전산망을 사용하는 노선) | |||||
수도권 | ↔김포공항 | ↔부천 | ↔이천 | ↔평택, 송탄,오산 | |
충청 | ↔공주, 세종 | ↔증평,충주 | ↔당진,서산 | ||
전남 | ↔목포(직통) | ↔함평,무안,남악 | ↔여수 | ↔순천 | |
↔보성 | ↔옥과,주암,목사동 | ↔무안공항 | ↔동광양 | ||
↔완도,해남 | ↔고금, 당목 | ↔곡성, 구례 | |||
전북 | ↔담양,순창,강천사 | ↔남원(직통) | ↔무주,장수,남원 | ↔정읍,내장산 | |
대경 | ↔대구서부 | ↔경주(고속),포항(시외) | ↔구미 | ||
부울경 | ↔함양,거창 | ↔통영,고현,장승포 | |||
강원 | ↔영월,고한,태백 | ↔강릉 |
|
1. 노선 정보
고속버스 춘천 ↔ 광주 | |||||
기점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온의동 (춘천고속버스터미널) | 종점 | 광주광역시 서구 광천동 (유스퀘어) | ||
종점행 | 14:10 | 기점행 | 08:10 | ||
배차간격 | 일 1회[1] | ||||
운수사명 | 대원고속 | 인가대수 | 1대[2] | ||
경로 | 춘천고속버스터미널 ↔ 영서로 ↔ 춘천IC ↔ 중앙고속도로 ↔ 만종JC ↔ 영동고속도로 ↔ 호법JC ↔ 중부고속도로 ↔ 남이JC ↔ 경부고속도로 ↔ 회덕JC ↔ 호남고속도로지선 ↔ 호남고속도로(→ 비아동 →) ↔ 동림IC ↔ 빛고을대로 ↔ 무진대로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
도로 상황에 따라 다른 경로로 우회할 수 있음. |
2. 개요
3. 역사
- 1992년에 광주측 터미널이 유스퀘어로 이전하였다.
- 2001년에 중앙고속도로 만종~홍천 개통으로 춘천부터 중앙고속도로로 다니기 시작했다.
- 2010년 07월에 동부고속이 춘천 ↔ 대구,
원주 ↔ 강릉[3],속초·강릉 ↔ 광명[4], 대전 ↔ 강릉 노선과 동시에 자사 운행분을 대원고속에 노선을 매각하면서 현재와 같은 공동 배차 운행이 이루어지고 있다.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금호고속이 이 구간에서 철수했다.
- 2024년 05월 07일 동년 03월부터 진행된 KD 운송그룹의 비수익 노선 감차로 인해 배차 차량과 운행 횟수가 1회 줄었다. 춘천고속버스터미널 시간표
- 시기의 미상으로 중고생의 할인이 시행되었다.
4. 특징
- 우등으로 운행된다.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이전에는 첫차와 막차는 금호고속, 그 외에는 대원고속이 고정 운행했고, 반대로 광주에서 출발할 때는 대원고속이 첫차와 막차를, 금호고속이 2, 3번째 시간을 담당했다.
- 사실은 논산JC 이후 논산천안고속도로-경부고속도로-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서울양양고속도로 경로가 정식 경로보다 20km 정도 짧지만 버스전용차로가 있는 경부고속도로를 제외하면 답이 없는 정체 구간이라 이쪽으로 가지 않는다.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가 완전 개통하면 경부고속도로에서 이 도로를 타다가 남양평IC에서 빠지는 경로로 바뀔 수도 있는데[7] 바뀐다면 정안알밤휴게소에 들어갈 가능성이 높다. 그러면 정안알밤휴게소에 들어가는 유일한 강원권 노선이 된다.
- KD 운송그룹에 최장거리의 고속버스 노선이다.
- 대원고속만 남은 만큼 민원을 넣을 때는 경기도로 민원을 넣자. 금호고속이 운행했을 때는 전라남도에 민원을 넣을 수 있지만 금호고속이 운행을 중지하면서 민원을 넣을 수 없게 되었다.
- 2020년에 춘천발 전주행과 순천행 노선이 폐지되어서 춘천과 호남권을 연결하는 유일한 노선으로 남게 되었다.
5. 주의사항
- 비아동의 전산 명이 없다 → 광주·유스퀘어로 발권 후 하차
- 프리패스를 통해 발권이 불가능하다.
6. 운임표
- 성인 42,300원(아동 21,200원 / 중고생 33,800원)
7. 연계 철도역
수도권 전철 경춘선: 남춘천역
일반 철도역: 남춘천역(ITX-청춘)
[1] 코로나 이전에는 일 4회 운행했다.[2] 코로나 이전에는 대원 2대, 금호 2대가 배차했었다.[3] 시외버스의 존재로 수요가 적었다는 특징이 있었는데 코로나19와 원주터미널이 통합되면서 운행이 중지되었다.[4] 수요 부족으로 폐선[5] 현재 대원고속만 운행중이며, 금호고속은 운행하지 않는다. 추후에 다시 운행한다고 밝혔지만 언제가 될지는 미지수. 사실상 철수한 것으로 파악된다.[6] 정안휴게소를 경유하면 굴곡 노선이 되어버리기 때문이다. 다만 일죽 나들목 - 천안 나들목 구간을 국도로 이동하면 현재 운행 코스보다 약간 짧아진다.[7] 현재의 정식 경로보다 37km나 짧으나 춘천에서 남양평IC까지 일반도로를 타기 때문에 고속도로 진입까지만 1시간 이상이 걸린다.[8] 동서울로 가는 고속버스나 서울고속버스터미널에서도 춘천행 시외버스가 있긴 하지만 둘 다 하루 10회 정도로 배차 횟수가 적다. 그러니 센트럴시티에서 동서울터미널로 가는 게 낫다. 센트럴시티행은 평시에 5~10분 배차로 운행하지만 성수기에는 1분 배차 간격으로 있다. 또한 동서울터미널에서는 춘천행 시외버스가 약 15분 간격 외 원주행 고속버스를 탈 수 있다면 원주에서 환승 등으로 대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