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3 21:11:52

경일대학교/학부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경일대학교
1. 학부2. SMART콘텐츠대학3. SMART스포츠대학4. SMART라이프대학5. SMART엔지니어링대학6. 간호대학7. 후지오네칼리지8. 기업인재대학9. 미래융합대학10. 경북미래라이프대학11. SMART글로벌대학

1. 학부

경일대학교는 공업고등전문학교와 산업대학을 전신으로 두고 있다는 역사만 보아도 공학계열 학과들을 근본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1] 1963년 설립 당시 토목, 건축, 기계, 섬유, 화공 5개 학과가 설치되어 있었고, 전기, 공업경영, 전자계산 등의 학과가 80년대 이전에 설치되어 수업하였다. 이중 2020년대까지 이어져 내려오는 학과는 건축토목공학과, 건축디자인과, 기계자동차전공, 전기에너지전공 등으로 이름과 학제는 조금씩 변했지만 60년 넘게 역사를 이어 오고 있다.

80년대 산업대학 시절부터는 조금씩 공학계열 일색에서 벗어나기 시작해 행정학과, 회계학과, 경제학과, 사진영상학과, 산업공예학과 등을 설치했고, 종합대학 승격 후 1994년부터 공과대학, 인문사회과학대학, 조형대학 3개 단과대를 운영했다. 2000년대 이후 성장세를 타면서 학과를 점점 늘려와 2009년에는 32개 학과를 개설하였다.

학생들이 꼽는 경일대 네임드 학과는 4개 정도로 압축된다. 가장 입결 높고 공부량 많은 간호학과, 지역 최대, 최고 인프라 소방관련 학과인 소방방재학부, 대경권 최초 응급구조학과, 경일대 전국구 간판 사진영상학부가 그것이다. 네 학과 모두 1년 입학정원이 100명씩 될 정도로 대형 학과이기도 하고, 지역 내에서 역사 깊고 취업 잘 되는 학과로 알려져 있다.

더불어 철도운전시스템학부 또한 대구.부산.경남권 유일한 철도관련 학과로 경일대학교의 대표학과 중 하나이다. [2]

2010년대 후반부터는 입학자원 감소를 대비하고 대학 경쟁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대대적인 수술에 들어갔다. 먼저 인문사회계열 학과들을 전격적으로 통폐합하면서 몸집 줄이기에 들어갔다. 인문사회계열 학과들은 기존부터 약세였기에 경일대 전반적으로 타 대학에 비해 양질의 교양수업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말이 있었는데, 통폐합을 통해 교양수업의 질이 곤두박질치는 것 아니냐는 반발도 있었다.
또한 스포츠단을 창단하고 스포츠 관련 전공들을 신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특히 스포츠단은 창단 초기부터 전국적으 유의미한 성적들을 내고 있어[3] 학생선수들의 커리어와 학교 위상에 기여하고 있다.

사진과, 만애과 등 네임드 학과들을 필두로 기존에 보건예체능계열로 묶여있던 예체능 관련 학과들도 2024년부터 콘텐츠대학으로 따로 분리해서 운영하고 있으며, 시대적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는 신기술 기반의 콘텐츠 제작 교육을 제공하고 신기술(AI, Big Data)수업을 바탕으로 사진영상, 웹툰, 애니메이션, 게임, 디자인, 건축디자인, 공연예술 등의 콘텐츠 제작 역량을 갖춘 신인재를 양성하고 있다고 한다.

청년 일자리 정책의 일환으로 조기취업형계약학과도 운영하고 있는데, 입학하면서부터 기업에 입사를 확정짓고[4] 2학년부터 학업과 일을 병행하면서 현장실무능력과 연구능력을 배양하는 과정이다. 학생은 대학입학과 취업을 동시에 해결하고 기업은 맞춤형 인재를 일찍이 확보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라고 한다.
전국적으로 입학자원이 줄어들고 있으나, 경일대학교는 이미 코로나 이전부터 실무 중심 학과로 개편이 끝난 상황이기 때문에 타 대학처럼 학과폐지 등과 관련한 문제는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2. SMART콘텐츠대학

SMART콘텐츠대학
파일:경일대학교 UI.svg
사진영상학부 사진영상전공
이미지&테크놀로지전공
만화애니메이션학부
게임콘텐츠학과
미디어크리에이터학과
디자인학부 시각영상디자인전공
패션디자인전공
건축디자인과 (5년제)

분명히 학교의 시작은 공학 계열로 시작했는데, 왜인지는 몰라도 이 학교는 예체능 계열의 사진영상학부가 가장 유명하다. 이 학교에서는 상당히 특화된 학과다.

한국 예술사진의 선구자인 구본창 석좌교수와 패션사진계 최고의 베테랑인 조선희 교수가 재직 중이고, 사진 바닥에서 경력과 실력을 보유한 젊은 교수들이 강의하고 있으며, 사진뿐만이 아닌 매체예술 작가들도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1988년 설립된 사진영상학부도 그 전통이 점점 생기면서 학부를 졸업한 학생들이 교수가 되어 돌아온 케이스들도 있다.[5] 학교의 이름을 수도권에 홍보하기 때문에, 은근히 재정적으로 지원을 많이 받고 있기도 하다.

실제로 국내 대학 중 경일대학교 사진영상학부의 입지는 상당한 편으로, 학부의 위상만 따지면 중앙대학교, 서울예술대학교와 함께 국내 정상급의 사진학과이고 이 중에서도 체급은 가장 크다. 전체 400명이 넘는 규모의 학생을 감당할 만큼의 기자재가 갖춰져 인프라가 훌륭한 수준이다. 전국 어느 사진학과도 경일대 사진학과만큼의 카메라, 조명 등 기자재와 스튜디오, 프린터 시설을 갖추지 못했기 때문에 학부 재학생 중 2/3 이상이 서울특별시, 수도권 멀리에서 경산시 하양읍까지 내려오는 선택을 하고 있다. 매주 금요일 저녁마다 서울로 가는 셔틀버스를 계속 운행하고 이유도 이러한 이유이다.

여담으로 2003년 중국 산둥성 옌타이시에서 탈북자와 관련된 일로 억류되었다가 풀려났던 사진작가 석재현 씨도 사건 당시 모교인 경일대학교에서 강사로 일하고 있었다. 귀국한 후인 2004년에 모교의 사진영상학과에 정식 임용되어 2018년 2월까지 교수로 재직했으며, 교수직을 사임한 이후 남구 이천동 건들바위네거리 남쪽에 아트스페이스 루모스라는 갤러리를 열었다.

3. SMART스포츠대학

SMART스포츠대학
파일:경일대학교 UI.svg
스포츠재활의학과
노인체육복지학과
축구학과
태권도학과
스포츠융합학부 스포츠마케팅전공
스포츠멘탈코칭전공
피트니스산업학부 주짓수전공
피트니스·필라테스전공
KIU스포츠단 축구부
야구부
수영부
컬링부
태권도부
여자배구부
남자배구부
미식축구부
주짓수부
e-스포츠부

4. SMART라이프대학

SMART라이프대학
파일:경일대학교 UI.svg
응급구조학과
사회복지학과
경찰행정학과
부동산지적학과
뷰티학과
항공서비스학과

5. SMART엔지니어링대학

SMART엔지니어링대학
파일:경일대학교 UI.svg
기계전기융합학부 기계자동차전공
전기에너지전공
AI·자율주행전공
건축토목공학과
소방방재학부
철도운전시스템학부 철도차량운전전공
철도인프라전공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철도아카데미에 대한 내용은 경일대학교 KIU철도아카데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철도아카데미:
경일대학교 KIU철도아카데미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6. 간호대학

간호대학
파일:경일대학교 UI.svg
간호학과

7. 후지오네칼리지

후지오네칼리지
파일:경일대학교 UI.svg
교양학부
자율전공학부

8. 기업인재대학

기업인재대학
파일:경일대학교 UI.svg
조기취업형계약학부 스마트팩토리융합학과
스마트전력인프라학과
스마트푸드테크학과
스마트경영공학과
방위산업시스템학과
에너지솔루션학과

9. 미래융합대학

미래융합대학
파일:경일대학교 UI.svg
스마트산업학부 원자력에너지융합학과
스마트테크전공
산업환경안전(EHS)전공
스마트경영학부 사회복지실무학과
창업경영전공
스포츠레저경영전공
부동산재테크학부 부동산투자전공
금융투자전공
평생교육학부 평생교육학과
재활심리치료전공
보육학과
평생KIUM학부

10. 경북미래라이프대학

경북미래라이프대학
파일:경일대학교 UI.svg
스마트농산업학부 미래식품개발전공
첨단영농전공
지역특화산업학부 지역특화상품산업전공
농촌리디자인전공
첨단산업학부 에너지부품소재전공
미래자동차부품전공

11. SMART글로벌대학

SMART글로벌대학
파일:경일대학교 UI.svg
글로벌비즈니스학과

[1] 총장과 부총장들이 모두 공학계열 출신이다.[2] 계명대학교도 철도관련 과를 만들고 싶어하지만 가장 중요한 철도아카데미를 국토부에서 승인을 안해줘서 못만들고 있다.[3] 여자배구부 창단 첫해 무우승, 미식축구부 대구경북리그 우승 등[4] 그래서 입시 때 학생이 원하는 회사의 담당자들과 면접을 보고 붙으면 입학을 하게 된다.[5] 대표적으로 용장관스튜디오의 대표인 최용빈 작가, 더써드마인드스튜디오의 김보하 작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74
, 4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7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