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5 16:40:23

경산경찰서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54a6><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0054a6>
파일:대한민국경찰참수리.svg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주경찰서 포항북부경찰서 포항남부경찰서 구미경찰서 경산경찰서
안동경찰서 김천경찰서 영주경찰서 영천경찰서 상주경찰서
문경경찰서 칠곡경찰서 의성경찰서 청도경찰서 영덕경찰서
울진경찰서 봉화경찰서 예천경찰서 성주경찰서 청송경찰서
영양경찰서 고령경찰서 울릉경찰서 }}}}}}}}}

<colbgcolor=#2350a9>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대한민국경찰참수리.svg경산경찰서
慶山警察署
Gyeongsan Police Station
}}}
설립일 1945년 10월 21일
경찰서장 총경 양시창
소재지
경상북도 경산시 원효로 68(계양동)
상급기관 경상북도경찰청
홈페이지 경산경찰서 홈페이지
1. 개요2. 연혁3. 지구대·파출소·치안센터4. 조직5.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5.1. 시내버스
6. 논란 및 사건 사고
6.1. 칼부림 사건 부실 수사 의혹
7. 관련 문서

1. 개요

경상북도경찰청 소속의 경찰서. 경산시 일대의 치안, 교통, 범죄수사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경찰 관서이다.

2. 연혁

날짜 내용
1945년 10월 21일 국립경찰 창설과 동시에 경산경찰서 개서
1950년 7월 경산시 중방동 862-1번지 대지 30평 건평 41.8평 지상 2층 콘크리트 건물로 신축
1963년 7월 중앙파출소 개소 : 경산경찰서 직할 파출소로 개소
1971년 6월 신청사 신축 준공 : 경산시 서상동 18-2번지 대지 188.4평 건평 424평 지상 3층 콘크리트 건물로 신축
1981년 7월 3개 파출소 대구시 경찰국 편입 :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안심,고산,용계 지서가 대구시 경찰국 동부경찰서로 편입
1998년 8월 경찰서 급지 조정 : 행정자치부령 제12호에 의거 2등급에서 1등급 경찰서로 급지 조정
1999년 10월 14일 경찰서 신청사 신축준공 : 경산시 계양동 503번지외(남매지)9필 15.170㎡ 대지에 건물 6동 본관 지하 1층 지상 5층으로 신축
2000년 1월 7일 서부파출소 신설 : 옥산 1, 2지구 택지조성으로 인구 급증하여 역전파출소 관내를 분할하여 서부파출소 개소
2004년 1월 1일 기존 4개 지구대 지역 특성 살릴 수 있는 명칭으로 변경 삼성(동부) · 압독(중부) · 성암(남부) · 하진(북부)
2009년 12월 31일 경찰서 별관 신축준공 지상 3층으로 신축
2010년 3월 5일 기존 3개 지구대 및 3개 치안센터를 파출소(6개소)로 전환 삼성지구대를 자인파출소로,
진량지구대를 진량파출소로 하양지구대를 하양파출소로 동부치안센터를 동부파출소로 압량치안센터를 압량파출소로,
와촌치안센터를 와촌파출소로 명칭 변경
2010년 4월 1일 2개 지구대 및 1개 치안센터를 파출소로 전환 압독지구대를 중앙파출소로,
서부지구대를 서부파출소로 역전치안센터를 역전파출소로 명칭 변경(파출소 전환 완료)
2012년 7월 23일 역전파출소를 서부파출소로 통합운영, 역전치안센터로 명칭변경/
서부파출소 관할로는 옥산동, 옥곡동, 사정동, 정평동, 중산동, 서부1동 중앙동, 남부동, 남천면구역
2013년 7월 20일 서부파출소를 서부지구대로 전환

3. 지구대·파출소·치안센터

지구대명 소재지 전화번호
서부지구대 경상북도 경산시 성암로 27(옥산동) 053-811-5112
파출소명 소재지 전화번호
동부파출소 경상북도 경산시 계양로 44(계양동) 053-801-0112
압량파출소 경상북도 경산시 압량읍 부적길 50(부적리) 053-817-1112
와촌파출소 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 금송로 419(소월리) 053-852-0112
자인파출소 경상북도 경산시 자인면 금학로 8(동부리) 053-856-2112
중앙파출소 경상북도 경산시 대학로 207(계양동) 053-816-0112
진량파출소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낙산길 6(신상리) 053-853-0112
하양파출소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금송로 179(한사리) 053-853-2112

4. 조직

5.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5.1. 시내버스

경산경찰서(11038·05591)
간선
순환
경산보건소(11037)
간선
순환

6. 논란 및 사건 사고

6.1. 칼부림 사건 부실 수사 의혹

2024년 11월 21일 술 마시고 운전하는 거냐며 주의를 준 행인들을 가방에서 꺼낸 칼로 수 차례 찌르고 폭행한 혐의로 최씨, 박씨가 구속되었는데 경동맥을 제대로 찔러서 하마터면 피해자가 사망할 뻔했음에도 경찰에서 "피해자가 덩치가 있는 편이고, 자상이 깊지 않아 사건을 종합적으로 봤을 때 살인 의도는 없다고 판단했다." 살인미수+증거인멸 혐의를[1] 적용하지 않아서 논란이 되고 있다. 피해자가 제출한 블랙 박스 메모리 카드도 경찰이 지워버렸다고.

두 사람이 칼을 상시 휴대하고 있었던데다가, 조폭이라는 사실이 나오고 있으며[2] 피해자의 말로는 어차피 초범이라 몇 달 징역 살고 나오게 되어있으니 합의를 하라고 협박했다고 한다.

7. 관련 문서


[1] 두 사람 다 칼부림을 하고 도주한데다가 블랙박스 영상도 지워버렸다.[2] 하지만 두 사람은 조직에서 계보에도 올라오지 않은 막내라서 조직폭력배와 연루된 사건으로 취급되지 않을 거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