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wiki style="margin:-10px auto" | <tablebordercolor=#1E2D58><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 경산시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2px -11px" | <colbgcolor=#0075c8><colcolor=#fff> 간선 | ||
지선 | |||
순환 |
출처[1][2]
1. 개요
경산시 간선버스 노선 중 하나.2. 노선 정보
| |||||
| |||||
기점 |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부호리(경일대종점) | 종점 |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동산의료원) | ||
종점행 | 첫차 | ? | 기점행 | 첫차 | [평일] 05:37 / [토요일, 공휴일] ? |
막차 | [평일] ? / [토요일]? / [공휴일] ? | 막차 | [평일] ? / [토요일] ? / [공휴일] ? | ||
평일배차 | ? | 주말배차 | 공휴일: ? 토요일: ? | ||
운수사명 | 경산버스 | 인가대수 | 12대[3] | ||
노선 | 경일대 - 하양초교 - 대구대 - 진량우체국 - 영남대 - 경산시장 - 사월역 - 수성알파시티역 - 수성구청 - 반월당역 - 회차구간(청라언덕역[4] → 동산의료원1 → 성명여자중학교) |
3. 역사
- 1998년 개편 이전에 운행했던 좌석버스 371번, 일반버스 71번이 이 노선의 전신이다.
- 2004년 8월 교통카드 마찰로 공배제가 파기되었는데, 경산버스는 공동 배차하던 840번 9대와 890번 3대를 빼내 12대로 840번, 890번과 유사한 800번 노선을 만들었다.[5] 800번은 840번, 890번 노선과 완전히 동일했는데, 일반버스, 좌석버스를 혼합 운행했다. 800번은 500번처럼 배차간격이 심히 들쑥날쑥했다.
- 2005년 11월 7일에 교통카드 분쟁이 타결됨으로써 500번, 800번은 폐선되었다. 같은해 12월 11일부터 509번, 840번, 890번의 공동배차를 재개했다.
4. 특징
- 그때 당시 대구버스노조-경산버스 간 갈등이 얼마나 심한지를 알려줬던 노선이다.
- 당시 경산버스는 신나리 대구버스,대화교통[6]은 대경교통카드를 사용했는데 그 당시 대구,경산 양쪽 도시에서 혼란이 빚었다.
- 당연히 대구버스와 경산버스의 단말기는 달라 불만이 많았음.
- 특히 대구노선을 공배하는 경산시내버스는 더 심각했다[7]
- 대구노선 840, 890번 노선과 경로는 다 일치했지만 차이점은 그때 경산버스가 대구버스 현금요금보다 100원보다 저렴하다.
- 대구-경산공동배차 노선들 중 하나다 나머지는 397번(708번), 814번[8], 814-1번[9], 305번[10], 500번(509번)[11]
939번[12],708번[13][14]
- 자료가 많지않고 사진도 구하기 어려울 정도로 500번, 800번 자료는 거의 소문에 의존했을정도로 부족했다.
- 이 노선과 500번 경산 단독 신설 후 대구광역시, 경산시민, 영남대에서 반발했었다.
- 수요는 아마 경일대-사월역까진 많았고 나머진 공기수송이었던 점이 840번과 똑같았다.
5. 연계 철도역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반월당역, 부호역, 하양역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영남대역, 임당역, 사월역, 신매역, 고산역, 수성알파시티역, 연호역, 담티역, 만촌역, 수성구청역, 범어역, 대구은행역, 경대병원역, 반월당역, 서문시장역[15][A]
- 일반 철도역 : 경산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 하양역(ITX-마음, 무궁화호, 누리로)
[1] 유일하게 800번 사진이 있다[2] 이분은 옛날 사진이 많고 그 유명한 경산 500번도 있다[3] 840번(좌석) 9대 890번(입석) 3대[4] 당시정류장명은 서문시장역 그후 신남역[5] 509번에 맞서 500번도 따로 만들었다.[6] 당시 대화교통은 현대교통의 계열이였다. 2009년 대화교통은 경북고속의 계열사가 된다.[7] 경산의 대구버스 노선들을 타고서 카드가 사용이 안되어 큰 낭패봤다,[8] 번호는 똑같지만 노선은 지금과 너무 다르다[9] 현재의 814번이다 [10] 현재의 509번이다.[11] 차이점은 509번은 서재-경산 이지만 이 노선은 성서계대-경산으로 다녔다[12] 저 당시는 경산과 공배안했지만 이후 공동배차.[13] 북구 동호동 연장 동호지구 단축[14] 25번 대화교통 노선과 대구노선과 합쳤다.[15] 당시이름 이였다 그후 신남역으로 하다 청라언덕역이 되었다.[A] 당시 정류장 서문시장역, 동산의료원 방면 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