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his['this'] == null
'''이 문서는'''
#!if this['this'] != null
'''이 문단은'''
#!if 토론주소2 == null
''' [[https://namu.wiki/thread/CombativeMuddyEagerHome|토론]]을 통해 현 문서를 존치한다.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나무위키:기본방침/이용자 관리 방침#편집권 남용|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if 토론주소2 != null
'''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나무위키:기본방침/이용자 관리 방침#편집권 남용|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wiki style="text-align:center;"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px -5px;"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1c1d1f><bgcolor=#fff,#1c1d1f><(>'''[[https://namu.wiki/thread/CombativeMuddyEagerHome|토론]] - 현 문서를 존치한다.'''
----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
----
{{{#!if 토론주소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
----
}}}{{{#!if 토론주소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
----
}}}{{{#!if 토론주소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5'''
----
}}}{{{#!if 토론주소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6'''
----
}}}{{{#!if 토론주소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7'''
----
}}}{{{#!if 토론주소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8'''
----
}}}{{{#!if 토론주소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9'''
----
}}}{{{#!if 토론주소1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0'''
----
}}}{{{#!if 토론주소1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1'''
----
}}}{{{#!if 토론주소1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2'''
----
}}}{{{#!if 토론주소1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3'''
----
}}}{{{#!if 토론주소1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4'''
----
}}}{{{#!if 토론주소1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5'''
----
}}}{{{#!if 토론주소1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6'''
----
}}}{{{#!if 토론주소1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7'''
----
}}}{{{#!if 토론주소1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8'''
----
}}}{{{#!if 토론주소1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9'''
----
}}}{{{#!if 토론주소2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0'''
----
}}}{{{#!if 토론주소2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1'''
----
}}}{{{#!if 토론주소2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2'''
----
}}}{{{#!if 토론주소2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3'''
----
}}}{{{#!if 토론주소2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4'''
----
}}}{{{#!if 토론주소2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5'''
----
}}}{{{#!if 토론주소2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6'''
----
}}}{{{#!if 토론주소2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7'''
----
}}}{{{#!if 토론주소2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8'''
----
}}}{{{#!if 토론주소2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9'''
----
}}}{{{#!if 토론주소3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0'''
----
}}}{{{#!if 토론주소3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1'''
----
}}}{{{#!if 토론주소3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2'''
----
}}}{{{#!if 토론주소3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3'''
----
}}}{{{#!if 토론주소3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4'''
----
}}}{{{#!if 토론주소3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5'''
----
}}}{{{#!if 토론주소3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6'''
----
}}}{{{#!if 토론주소3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7'''
----
}}}{{{#!if 토론주소3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8'''
----
}}}{{{#!if 토론주소3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9'''
----
}}}{{{#!if 토론주소4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0'''
----
}}}{{{#!if 토론주소4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1'''
----
}}}{{{#!if 토론주소4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2'''
----
}}}{{{#!if 토론주소4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3'''
----
}}}{{{#!if 토론주소4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4'''
----
}}}{{{#!if 토론주소4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5'''
----
}}}{{{#!if 토론주소4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6'''
----
}}}{{{#!if 토론주소4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7'''
----
}}}{{{#!if 토론주소4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8'''
----
}}}{{{#!if 토론주소4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9'''
----
}}}{{{#!if 토론주소5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50'''
----
}}}||}}}}}}}}}
1. 개요
めでたしめでたし。めでたし(메데타시)는 현대 일본어 めでたい(메데타이, 경사스럽다)의 고전문어 형태이다. 보통 일본 전래동화의 마지막에 쓰이는 단어로, 두 번 연이어 사용하는 것이 포인트. 즉 메데타시 메데타시를 한국어로 번역하자면 "경사났네 경사났어"가 된다.
"해피엔딩~ 해피엔딩~" 이나 "잘됐군 잘됐어" 등으로 쓰는 경우도 있다. 한국에서 쓰이는 그리고 모두 행복하게 살았답니다나 And they lived happily ever after의 일본 버전이라고 이해하면 쉽다.
2. 상세
15초 동화 시리즈 각 편 마지막마다 들어가는 문구이기도 하다. 해피 엔딩이 아닌 동화에서도 무조건 들어갔다. 자막에서는 "경사로세 경사로세"로 번역되었다.넷상에선 모든 것이 잘되었다는 의미로 쓰기보다는 과정은 어찌됐든 결과만 좋으면 장땡 이라는 느낌으로 약간 풍자하듯 쓰인다. 한국으로 치면 XX하면 어떠냐 경제만 살리면 그만이지라든가 야! 신난다~와 비슷한 쓰임새. 그런 고로 2ch 같은 곳에서 영향을 받는 커뮤니티에서 많이 쓰인다.
일반 대중에게는 생소한 문구인 만큼 오덕 커뮤니티가 아니고서야 사용 빈도는 높지 않다. 오히려 어감상 일어보다는 타 언어, 특히 힌디어처럼 들릴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한편, 이를 한국어로 직역하면 경사났네 경사났어가 되는데, 이 말의 유래[1]는 1980년대 중반 KBS에서 방영된 주말 코미디 프로그램인 유머 1번지의 한 코너였던 변방의 북소리다. 이 코너에서 군졸들이 좋지 않은 소식[2]에도 무턱대고 "경사났네~! 경사났어~!"를 외치며 장군 역인 임하룡의 속을 뒤집어 놓곤 했는데, 이것이 유행어가 되면서 당시 전국의 국딩들이 건수만 있으면 바로 경사났네를 외치는 통에 선생님과 부모님들 또한 속이 뒤집어졌다고 한다. 다만 당시에는 함부로 이랬다가는 사랑의 매로 쳐맞을 수 있었기에 요즘 초딩들처럼 마구잡이로 남발하진 않았다. 2000년대 초 시트콤 세친구에서는 정신과 의사 정웅인이 일종의 썰렁개그 컨셉으로 종종 선보였다. 덩실덩실 어깨춤을 추며 말이다.
나무위키에서는 엔하 시절부터 작중 등장인물을 설명하는 문서에서 간간히 보이는 편인데, 그냥 "잘된 듯"이라고 정리해도 될 것을 굳이 "메데타시 메데타시"라고 사족을 붙이는 경우가 많다. 나무위키의 규모가 커진 만큼 이용자의 스펙트럼도 다양해졌고 대부분의 사람은 메데타시 메데타시가 뭔지 전혀 몰라 따로 뜻을 찾아봐야 하니 서술 시 가급적 지양할 필요가 있다.
3. 사용 예
- 강철의 연금술사의 밸리 더 쵸퍼는 자신의 과거 이야기를 이렇게 끝마쳤다.[3] 전혀 메데타시 같진 않지만서도.
- 만화 극락사과군의 매 화 마지막을 장식하는 말이기도 하다. 마지막의 "거짓말이지만." 이 포인트.
- 동방지령전의 스태프롤과 마리사/파츄리 엑스트라 엔딩에도 나와서 동방을 좀 해본 사람이라면 알고 있는 경우가 많다. 동방성련선 스태프롤에도 나왔다.
- 리틀 버스터즈!의 카미키타 코마리 배드 엔딩의 마지막 문구로 쓰였다.
- 메카쿠시티 액터즈 9회에서 오프닝 직전 아야노의 엄마가 동화책을 읽어줄 때 끝을 이걸로 맺었다.
- 명탐정 코난: 시한장치의 마천루 - 범인을 검거한 후 모리 코고로가 말하는 대사가 "메데타시, 메데타시"이다.
- 일본의 음악 그룹 사운드 호라이즌이 2004년에 발매한 1집 리뉴얼 동인앨범 Chronicle 2nd의 11번째 트랙 書の囁き(책의 속삭임)에서 크로니카가 마지막으로 '메데타시 메데타시'라고 말하고 끝낸다. 들어보면 어디가 메데타시인가 싶지만서도 내용이 대략 "님이 운명에서 벗어나려고 해도 무다무다임요" 정도다.
- 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에서도 돈 젠카이오, 돈 오니타이진이 승리했을때 메데타시 메데타시가 나온다.
- 역전재판 6의 역전 극장에서도 쓰인다. 나루호도 류이치의 허풍으로 아야사토 하루미가 레이파 파드마 쿠라인을 밀어내고 여왕이 됐고, 나루호도는 혁명이 이뤄진 걸 축하한다.
- 에빌리오스 시리즈의 악의 딸을 바탕으로 한 소설 1권 악의 딸 황의 클로튀르에서 서장을 여는 유키나 프리지스의 악의 딸 프리지스 동화가 '메데타시 메데타시'라고 끝난다. 학산문화사 정발본에서 나온 해석은 '경사로세 경사로세'
- 오오카미 씨 시리즈에서도 매 화 마지막 멘트로 쓰였다. 아라이 사토미 성우의 나릇나릇한 목소리와 아주 잘 어울리는 대사라는 평이다.
- 유희왕 시리즈는 스토리 중후반이 길을 잃고 헤매는 경우가 많지만 어찌저찌 수습하고 엔딩은 감동적으로 끝내는 것이 전통이 되어있을 정도다. 이는 유희왕 ARC-V가 길을 잃고 헤매다가 결국 자폭해버려서 거센 비난을 받게 되고 이와 함께 기존의 기승병결식 전개가 재발굴된 덕분.
- 크레용 신짱에서 짱구가 이 말을 할 때 "데메타시 데메타시" 라고 말한다. 사실 크레용 신짱 내에서는 이런 종류의 말실수 개그가 많다.[4]
- 키노의 여행에서 키노의 파트너 에르메스가 자주 사용하는 대사다.
- 튀어나와요 동물의 숲에서 공공사업 완공 기념식 때 주인공이 하는 말들 중 하나이다.
- Muse Dash 린(슬립워커 걸) 또는 부로(좀비 걸)로 곡을 완주하면 가끔씩 '메데타시 메데타시' 한다.
- 거짓말쟁이 공주와 눈먼 왕자 나레이션이 에필로그의 끝에서 이야기의 대단원을 끝맺으며 "메데타시 메데타시"를 잔잔한 목소리로 읊는다. 물론 엔딩이 해피엔딩이라 하기엔 애매한 편이지만 그래도 해피엔딩이라 생각한다면 그리 되고, 새드엔딩이라 생각하면 또 그리 될 수도 있는 결말.[5]
- 아와레! 메이사쿠 군에서 엔딩은 매일 메데타시 메데타시로 끝난다.[6]
[1] 물론 정황상 메데타시 메데타시를 한국식으로 어레인지 했을 가능성이 높다.[2] 오랑캐가 쳐들어온답니다! 라던가 특별감사로 감봉당했답니다! 라는 등의 영 좋지 않은 소식.[3] FA 더빙판에서의 번역은 위에 나와있는대로 "경사났네 경사났어"[4] 짱구의 말실수는 뭐 말 안해도 웬만하면 다 알 정도이고, 신형만도 가끔 말실수 개그를 한다. 대표적으로 똥 먹는데 카레 얘기하지 마라[5] 어쨌든 괴물(=공주)는 왕자와의 추억을 일부 기억해냈고, 왕자도 공주(=괴물)을 용서했고, 결국은 둘이 다시 만났으니 해피엔딩이라 생각할 수도 있고, 괴물의 아름다운 노랫소리는 끝내 돌려받지 못하고, 공주의 모습으로 변할 능력도 다시 빼앗겼으니 새드엔딩이라 생각할 수도 있다. 뭐, 원래 모든 걸 가지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모든 걸 잃었다 생각해도 모든 걸 잃은 건 아닌 것이 세상이거늘.[6] 예외적으로 205화는 '이걸로 한 건 낙착' 으로 끝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