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000000> | PC 게이밍 관련 문서 | }}} |
|
[1]
1. 개요
Gaming gear. 비디오 게임 플레이에 특화된 주변기기.2. 상세
2.1. 역사
1980년대 콘솔 게임 시장이 부활하면서 게이밍 기어 제품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당시에는 대부분 완구로 분류되어 내구력이나 품질이 형편없었다. AVGN 리뷰를 보면 당시의 질 낮은 게이밍 기어에 대한 리뷰를 볼 수 있으며, 대다수가 악평을 하고있다.한국에서는 1990년대 후반 스타크래프트가 유행하던 시절, PC 게임 시장이 커지면서 등장하기 시작했다. 초창기 PC 게이밍 기어는 콘솔용 게이밍 기어보다 종류가 더 없었기 때문에 확실한 게이밍 기어가 나올 때까지 사무실용으로 쓰이던 사무용 고급 마우스, 고급 키보드가 게이밍 기어로 활용되었다. 이 때문에 콘솔 게임시장에선 후발주자였던 마이크로소프트가 PC 게이밍 기어 시장에선 터줏대감 역할을 하기도 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사무용 고급 마우스, 키보드 시장을 꽉 잡고 있었기 때문이다.[2]
이후 프로게이머들이 애용하는 로지텍의 미니 옵티컬 마우스(일명 '미니옵') + 청패드 조합이나 KTEC[3]의 3212 마우스가 인기를 끌기도 했다. 또한 스페셜 포스와 서든어택의 연타석 성공으로 국내 FPS 장르가 황금기를 맞으면서부터 로지텍 G1이 국민마우스에 등극하며 PC방에 보급되기도 했고, 마이크로소프트의 IntelliMouse 시리즈인 Optical과 Explorer가 많은 사랑을 받아 단종이 된 지 수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리폼을 통해 많은 유저들에게 사용되고 있다.
세대가 지나도 한참이나 지난 CRT 모니터, PS/2 인터페이스의 키보드, 마우스, ISA 방식의 슬롯, Windows XP, Windows 7 등 구형 OS 들이 응답 속도에 장점이 있다는 이유로 FPS나 리듬 게임, 대전 격투 게임 등 반응 속도가 중요한 게임 장르를 즐겨하는 유저들 사이에 중고거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도 한다. 다만 이런 구형 장비들은 기술의 발달로 극히 일부를 제외하면 응답속도 면에서도 거의 따라잡혀서 2020년 기준으로 사실상 사장되었다.
2010년 이후로도 리그 오브 레전드와 오버워치, 배틀그라운드의 유행과 맞물려 인터넷 방송이 확대되면서 인기 방송인들이 사용하는 의자, 헤드셋 등의 장비들이 수십만원을 호가함에도 품절 사태를 빚는 등 한국 내에서의 게이밍 기어 시장은 성장세를 멈출 기미를 보이지 않는 듯하다.
2.2. 특징
주로 FPS 게임이나 리듬 게임, 대전 격투 게임에서 게이밍 기어가 많이 활용된다. 반면 RPG 장르는 게이밍 기어의 의존도가 낮은데, 온라인보다는 싱글플레이의 비중이 높고, 온라인 경쟁 컨텐츠의 경우에도 FPS보다는 플레이 자체가 상대적으로 여유롭기 때문에도 이러한 장비들의 중요도가 낮다. 때문에 RPG 유저를 타겟으로 나오는 키보드, 마우스 제품들은 커스텀이 가능한 보조 버튼(매크로용 버튼)들을 잔뜩 탑재하는 편이다. 로지텍의 G604, 레이저의 Naga Pro, 커세어의 Dark Star 같은 다버튼 마우스들이 RPG 게이머들을 대상으로 만든 제품이라고 할 수 있다.프로게이머들은 물론이거니와 게임을 취미로 즐기는 일반인들 그리고 특유의 사용감으로 사람들 또한 실력을 조금이나마 높이고자 하는 기대감과 RGB 감성으로 많이 구입하고 있고, 이 과정에서 프로게이머들의 세팅을 참고하기도 하며, 특성상 하이엔드 제품군이 주를 이루고 있어서 기기 자체에 매력을 느끼는 매니아들도 게이밍 제품을 구매하곤 한다. 심지어 게이머가 아니여도 손이 편하기 때문에 컴퓨터로 오랜 작업을 하는 전문직(교수, 변호사, 프로그래머 등)들도 선호하는 경우가 많다.[4]
실제로 엔비디아에서 조사한 바에 의하면 게이밍 기어를 사용한 그룹이 일반 제품을 사용한 사람들보다 평균적으로 우수한 게임실력을 보였다고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 물론 이 결과만 가지고 '게이밍 기어를 사용해서 게임을 더 잘한다'는 인과가 성립되지는 않는다. 당연한 말이지만 게이밍 기어까지 구입하는 사람들은 캐주얼 유저층보다 기본적인 플레이타임도 더 길 것이며, 공략 탐색과 연습 등에 투자하는 시간 역시 더 많을 것이기 때문이다.
전세계적으로 게임 시장이 저변을 넓혀감에 따라 게이밍 기어 시장도 자연스레 커지고 있는데, 이미 우리에게 친숙한 PC시장의 거물들인 마이크로소프트, ASUS나 ACER, GIGABYTE와 같은 회사들이 각각 Xbox[5], ROG[6]와 Predator, AORUS라는 브랜드를 론칭해 게이밍 제품을 출시하고 있고 MSI와 Dell, 삼성전자의 오디세이나 LG전자의 울트라기어 같은 대기업 또한 시장에 뛰어들어 게이밍 데스크톱과 전용 모니터, 키보드 등의 주변기기들을 출시하고 있음이 이를 방증하고 있다. 세계 패널생산량 3위이자 모니터와 프로젝터 시장에서 유명한 벤큐도 조위기어를 인수해 시장에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고, 로지텍, 레이저, 스틸시리즈, 커세어, 하이퍼X처럼 오랜기간 게이머에게 친숙했던 브랜드들도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그 외에도 ABKO의 HACKER 시리즈, 맥스틸, 제닉스 등 국내 기업의 중저가형 제품들도 많이 생산되어 가성비를 추구하는 유저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다.
2.3. 비판
출처
그러나 게이밍 시장이 커지면서 '게이밍' 만 붙였더니 매출이 뛰는 현상까지 발생해서, 개나소나 LED 하나 붙여놓고 게이밍이라는 브랜드로 판매하는 경향이 커졌다. 게이밍 기어/종류 문서에 보듯 담요나 껌 같은 별별 종류의 물건이 나오기 시작했으며, 미신에 기반한 제품들도 나오고 있는 형편이다.
외국에서도 이러한 비판이 나오고 있다. 이런 식으로 LED 하나 붙여놓고 게이밍 운운하는 걸 비판하는 인터넷 밈이 등장해 인기를 끌고있다. 이 때문에 최근 PC 커뮤니티에서는 이러한 장식을 감성이라는 다른 분류로 구분하고 있다.
따라서 게이밍 브랜드를 선택할때 게임 자체를 위해서는 외형(색, LED 전등 등)보단 장착된 부품의 성능(CPU, GPU, RAM 등)을 중시해야 한다. 단적인 예로 게이밍 브랜드를 달고 온갖 LED를 달고 휘황찬란하게 빛나는 GTX 1080보다 OEM 용으로 나와서 제조사가 적힌 스티커 하나 달랑 붙은 RTX 3080랑 비교하면 후자의 게이밍 성능이 훨씬 좋다.
이러한 소위 게이밍 감성을 매우 싫어하는 유저도 많은데, 문제는 이러한 LED 발광 튜닝 부품이 대세가 되었기 때문에 LED를 비용상 문제로 넣지 않는 초저가형 제품을 제외한 중고급형 제품은 LED를 넣은 것이 대부분이 되었다는 것이다. LED가 싫은 유저들은 싸구려 제품이나 초고가형 제품이나 둘 중 양자택일을 해야 하는 상황이 된 것. 심지어 PC 케이스의 경우 LED 튜닝이 대세가 된 환경 때문인지 대부분이 측면을 아크릴이나 강화 유리로 노출시킨 디자인을 하고 있기 때문에 내부 튜닝에 관심이 없는 유저들도 고역스러운 LED를 봐야 한다. 이게 싫어서 측면이 철판으로 된 케이스를 찾으려 해도 이런 제품군이 매우 적어 선택지가 매우 한정되어 버린다.
2019년부터 일본에서도 해당 인터넷 밈이 퍼졌다. 게이밍 기어들이 LED 조명으로 형형색색 발광하는 특징 때문에 게이밍 기어와 무관함에도 다색으로 발광하는 것을 게이밍~ 이라 부르거나, 그런 특징이 없던 대상을 억지로 무지개색으로 빛나게 만들어서 게이밍~ 이라고 부르는 식.
시작은 한 디자이너가 게이밍 화장실이라고 올려놓은 메카닉 스러운 변기 일러스트. 이 일러 자체에는 여러색으로 발광하는 요소가 없었으나, 트렌드를 타고 네티즌들이 게이밍 기어의 특징에 대해 얘기를 나누면서 무지개빛 발광을 게이밍이라 부르는 밈으로 발전하였다. Togetter의 게이밍 화제 픽시브 백과사전의 게이밍 문서 니코니코 대백과의 게이밍 문서
무엇보다 사용자(게이머)의 가족 중 자폐인 혹은 신경성 질환(간질, 광과민성 발작 등.)자가 단 한 사람이라도 있는 경우에는 사실상 게이밍 기어를 사용하지 못한다는 게 치명적인 단점이다. 게이밍 기어 특성상 구성(RGB 발광 기능이 있는 게이밍 기어 등.) 등의 면에서 자극적일 수 밖에 없으며, 게이밍 PC/콘솔의 경우 발열 및 소음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3. 종류
자세한 내용은 게이밍 기어/종류 문서 참고하십시오.4. 게이밍 기어 브랜드 일람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F2023><table bordercolor=#FFF,#1F2023> | [[게이밍 기어| 문서가 있는 ]]게이밍 기어 브랜드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AZER | CORSAIR | ROG | 로지텍 | ZOWIE |
Alienware | 스틸시리즈 | AORUS | HyperX | OMEN | |
터틀비치 | ROCCAT† | 삼성 오디세이 | LG 울트라기어 | INZONE | |
† : 터틀비치 브랜드로 완전히 통합되어 사라지게 되었다. | }}}}}}}}}}}} |
4.1. 하위 브랜드
- 로지텍 - 로지텍 G
- 마이크로소프트[7] - Xbox[8],
사이드와인더[단종],Games for Windows[단종] - 삼성전자 - 삼성 오디세이,
삼성 GX 게이머[단종] - JBL - JBL QUANTUM 시리즈
- LG전자 - LG 울트라기어
- 소니 - INZONE, PlayStation
- 한성컴퓨터 - 보스몬스터 시리즈
- 주연테크 - 리오나인
- 샤오미 - BlackShark Shark 시리즈
- 젠하이저 - 이포스
- 코나미 - ARESPEAR
- Dell - 에일리언웨어
- GN 스토어 노드[12] - 스틸시리즈
- HP - OMEN, HyperX
- Lenovo - Lenovo Legion 시리즈
- ASUS - ROG 시리즈, TUF 시리즈
- ACER - 프레데터 시리즈
- MSI - MSI G시리즈
- GIGABYTE - AORUS
- BenQ - 조위기어, 모비우스
- ABKO - ABKO 해커
4.2. 전문 브랜드
- 시크릿랩
- 매드캣츠
- 맥스틸
- 지스킬
- 터틀비치
- CORSAIR
- HORI
- Pulsar Gaming Gears
- RAZER
- Xenics
- Finalmouse
- COUGAR
- Glorious
- 트러스트마스터
- 파나텍
- 쿨러마스터 CM스톰
- OZONE GAMING
- Fnatic gear
- QPAD
- 란토패드 게이밍
- G.SKILL 게이밍 시리즈
- TESORO GAMING
- xtrfy gaming
- EPIC GEAR
- MIONIX
- ARMAGGEDDON
- AULA
- GAMDIAS
- sharkoon
- Tt esports
- X-Trac gear
- Corepad
- BlasterX[13]
- 몬스타[14]
[1] 사진 속 세팅이 궁금하다면 여기로.[2] 임요환이 MS에서 나온 '트랙커마우스'라는 볼마우스를 산처럼 쌓아놓고 전부 소모될 때까지 이 마우스만 쓰기도 했으며, 초창기 게이밍용 광마우스는 흔히 '익스'로 불리는 Microsoft Intelli Mouse Explorer 3.0 시리즈가 꽉 잡고 있었다.[3] 과거 프로게임단 화승 오즈의 전신인 아이디얼 스페이스(IS)-Plus를 후원했던 회사다. 현재는 사라졌다.[4] 한문철 변호사의 G703 사용이 그 예시.[5] 단순 게임기 엑스박스를 지칭하는게 아니라 게임용 주변기기, 게임 구독증, 온라인 스트리밍 등 전반적인 게임 관련 브랜드를 하나로 통합하고 있다. 과거 게이밍용 주변기기 브랜드 '사이드와인더'를 출시했다가 몽땅 말아먹었기 때문이다.[6] Republic of gamers의 약자.[7] 의외로 이 분야의 원조격이다. 게이밍 기어를 제작하다보니 전문 테스트 팀도 있어서, MAGA 기업들이 친선 목적으로 여는 AHGL(After Hour Gaming League)에서 다른 회사들(구글, 아마존, 애플 등) 보다 압도적인 실력을 자랑한다.[8] 게임기 브랜드로 시작했지만 지금은 마이크로소프트의 게이밍 브랜드로 확장되었다.[단종] [단종] [단종] [12] 전신회사로 시작해 보청기 제조를 거쳐 성장한 음향통신전문기업이다. 국내에는 무선 이어폰인 Jabra 브랜드로 유명하다.[13] 사운드카드로 유명한 사운드블라스터의 게이밍 브랜드.[14] 두 가지 마크를 쓰는데 그 중 하나가 범상치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