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5 18:59:49

갤럭틱 나이트/작중 행적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갤럭틱 나이트

[clearfix]

1. 개요

별의 커비 시리즈에 등장하는 갤럭틱 나이트의 작중 행적을 정리한 문서들.

2. 별의 커비 울트라 슈퍼 디럭스

별의 커비 울트라 슈퍼 디럭스의 모드 별 최종 보스
헬퍼 마스터의 길 GO! 메타 나이트 격투왕의 길 마스터
마인 왐밤주얼 갤럭틱 나이트 스포일러
파일:갤럭틱 나이트(별의 커비 울트라 슈퍼 디럭스(2)).png
[1]
VS 갤럭틱 나이트
먼 옛날 그 힘을 두려워한 나머지
봉인되어 버렸던 전설의 기사
시공을 뛰어넘어 그가 깨어난다!
갤럭틱 노바에게 최강이 되고 싶다며 자신과 필적하는 은하계 최강의 전사와 싸우게 해달라는 소원을 빈 메타 나이트에 의해 봉인에서 깨어나 싸우게 된다.

은하 최강의 전사라는 타이틀에 걸맞게 HP[2]도, 공격력도 높으며, 대부분의 공격 패턴이 가드가 안 먹히거나 가드 대미지가 들어간다. 다만 메타 나이트보다 빈틈이 많으며[3], 지면에서 약간 떠 있기 때문에 웅크리거나 슬라이딩을 하면 피할 수 있는 공격이 많다.

대부분의 패턴은 메타 나이트와 비슷하지만, 상술했듯 공격력이 오름과 동시에 몇 가지 패턴이 추가되었고, 기존 패턴의 난이도가 메타 나이트보다 살짝 올라간 것도 있다. 사용하는 공격 패턴은 다음과 같다. 갤럭틱 나이트만의 고유 공격은 볼드체로 표기.
쓰러뜨리면 마르크와 마찬가지로 공중으로 올라가며, 여기저기 고통에 몸부림치다가 폭발하고 날개가 뜯어지며 장렬하게 소멸한다.

최종 콘텐츠 '격투왕의 길 마스터'에서는 세 번째 사천왕으로 등장하며, 순서는 9번째로 고정되었다. 전체적으로 메타 나이트보다 더 까다로운 패턴에 덩치도 작고 체력도 높아서 나중에 등장하는 진 최종 보스보다도 더 어려운, 실질적으로는 울트라 슈퍼 디럭스에서 가장 어려운 보스다. 사실 이건 원래 커비보다 성능이 우월한 메타 나이트[7] 전용으로 나온 보스를 커비가 상대하다보니 어려워진 것. 덕분에 진 최종 보스는 외형으로만 유명해졌고 유저들의 체감 난이도는 오히려 더 쉬워져서 명성을 많이 깎아먹었다.[8]

커비가 상대할 때도 갤럭틱 나이트의 패턴은 동일하다. 메타 나이츠의 클론 소환 패턴은 노말 커비가 흡수할 수 있다. 타임어택을 하지 않는다면 스톤으로 조금씩 틈이 날 때마다 공격하거나, 조작을 잘한다면 해머로 극딜을 노리는 등 생각보다 이길 방법은 많다.

3. 별의 커비 Wii

파일:갤럭틱 나이트(별의 커비 Wii).png
파일:별의 커비 Wii 갤럭틱 나이트 설명문.png
VS 갤럭틱 나이트
이곳과는 다른 차원에서
이 세계에 흘러들어 온
은하 최강의 전사...
차원을 뛰어넘어 실현되는
꿈의 배틀의 막이 열렸다![9]

별의 커비 Wii의 격투왕의 길 마스터에서 히든 보스로 재등장. 어깨 갑주가 더 작아졌다. 13번째 상대로 등장하며, 패턴이 몇 개 더 추가되었다. 일단 전투 돌입시에는 랜디아전 BGM을 사용하지만 HP가 60%대가 되면 갑자기 패턴이 많아지며[10] 어레인지된 자신의 전투 테마곡(아래 영상 참고)을 사용한다.

패턴은 다음과 같다.

승리하면 갤럭틱 나이트가 쓰러진 다음 다시 일어서 날개를 펼친 후 화면 뒤로 유유히 날아간다.

시리즈 최초로 사천왕의 세 번째가 아닌 두 번째 관문으로 등장한다. 패턴도 어렵고, 날렵한 움직임에, 본편에는 등장하지 않은데다, 플레이어형 보스다 보니 피격 면적도 커비 일행과 같은 탓에 사천왕의 세 번째 관문은 물론 최종 보스보다 어렵다는 평이 대다수.

본작에서 갤럭틱 나이트와 싸울 때의 배경은 어째서인지 몰라도 할캔드라다.

100% 달성 후 재생되는 ‘커비 마스터’ 영상에는 맨 앞쪽, 마버로아 옆자리에 앉아서 커비 일행의 공연을 관람하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3.1. 별의 커비 Wii 디럭스

VS 갤럭틱 나이트
이공간 로드를 통해 이곳과는 다른 차원에서
흘러들어 온 은하 최강의 전사.
수많은 차원과 시간을 넘어, 보석의 봉인
풀리고 말았다. 바로 지금, 결코 만나지
못했을 존재와의... 꿈의 배틀이 시작된다!
원작 별의 커비 Wii에서 히든 보스였던 만큼, 리메이크 작품인 별의 커비 Wii 디럭스의 격투왕의 길 마스터에서 다시 등장한다. 원작에 비해 여러 패턴들이 강화되었으며[12] 그래픽이 향상된 만큼 이펙트도 좀 더 역동감 있게 변경되었다. 순서가 마버로아 EX 다음으로 바뀌었다. 메타 나이트디디디 대왕으로 싸우면 1페이즈에서는 커비 파이터즈 2 스토리 모드 최종 보스 BGM이, 2페이즈에서는 로보보 플래닛에서의 전용 BGM이 나온다.

패턴은 다음과 같다.

격투왕의 길 마스터에서의 순서는 19번째. 이번에도 역시 사천왕의 두 번째 관문으로 등장한다. 이번에도 사천왕의 세 번째 관문보다도 어려운 보스로 평가받고 있으며, 원작에서는 최종 보스보다 어렵다고 평가받은 반면 본작에서는 패턴이 강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격투왕의 길 마스터에서 히든 보스가 흉악한 난이도를 자랑하게 되어 비슷하다고 평가받는다.[13]

4. 별의 커비 트리플 디럭스

본작의 키홀더로 등장한다.

또한 100% 클리어 시 커비 마스터 영상에서 마르크, 마버로아와 함께 등장한다.

5. 별의 커비 로보보 플래닛

파일:갤럭틱 나이트(별의 커비 로보보 플래닛).png
ギャラクティックナイト リターンズ / 갤럭틱 나이트 리턴즈 / Galacta Knight Returns
파일:로보보 플래닛 갤럭틱 나이트 리턴즈 설명문.png
VS 갤럭틱 나이트 리턴즈
을 모두가 겁내며 모든 것을 없앨 수도 있는
고대 검사. 클론이 아니며 미지의 이공간 로드에서
시공을 넘어 되살아났다. 여러 시대에서 봉인당한
기록이 남아 있으나 소멸은 시키지 못한 것 같다.
별의 커비 로보보 플래닛의 'Go! 메타 나이트 리턴즈'에서 최종 보스로 등장. 별의 꿈이 강한 검사와 싸우고 싶다는 메타 나이트의 소원[14]을 들어주기 위해 시공 전이 프로그램의 해제로 과거의 시대로부터 소환되어, 할트만 웍스 컴퍼니의 사무실에서 메타 나이트와 다시 한 번 맞붙게 되었다. 소환될 때는 봉인 해제가 아닌 맨몸으로 등장하며, 소환되자마자 자신을 소환시킨 별의 꿈을 적으로 인식하고 공격, 사선으로 대규모 참격을 날려 격추시켜버린 뒤 메타 나이트와의 싸움에 임한다. 하지만 결국은 패배하여 수정 안에 봉인되고 봉인된 상태에서 디멘션 홀을 통해 어딘가로 이동된다.

난이도는 상당히 어려워졌다. 하지만 전전작에서는 마버로아보다 강해서 진 최종 보스 취급을 받았으나 로보보 플래닛에선 더 강해졌음에도 불구하고 최종 보스의 미친 듯이 긴 플레이 타임과 훨씬 악랄한 난이도에는 상대가 안되기 때문에 비교적 난이도가 폄하되는 편. 게다가 본작의 소울 최종 보스를 만들어낸 원흉이라 전범이라고도 불린다.한번만 베어서 이고생을 하게 할 바엔 그냥 개박살을 내지 굳이 원콤냈냐는 사람들도 가끔씩 있다. 패턴들 피하기는 그렇게까지 어렵진 않은 편이지만 공격 하나하나의 위력이 높고 전작다크 메타 나이트가 쓰던 방어 패턴을 밥먹듯 해대기 때문에 공격력 + 방어력이 모두 강하다.

이후 진 보스와 정면 승부에서는 봉인된 채로 사무실에 나타나는데, Wii 때와 마찬가지로 스스로 봉인을 깨고 나온다. 패배하면 울트라 슈퍼 디럭스에서 나온 연출처럼 하얗게 변해 화면 이곳저곳에 부딪히고는 우주 저편으로 날아가버린다. 다른 녀석들은 다 상관없는데 얘가 워낙 강해서 패배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어찌저찌 승리한다면, 그 다음에는 지옥이 기다리고 있다. 때문에 진 보스와 정면 승부는 사실상 갤럭틱 나이트 리턴즈와 최종 보스의 더블 최종 보스 체계. 최종 보스가 고정형 패턴으로 지옥이라면, 갤럭틱 나이트는 랜덤형 패턴으로 지옥이다.

연출이 Wii에 비해 눈에 띄게 발전했다. 카메라 워크가 매우 역동적으로 변한 게 특징. 또한 스탠딩 포즈가 호버링하고 있는 모습으로 회귀하였다.[15] 공격 패턴 자체는 대체로 별의 커비 Wii 때와 비슷하지만, 라이징 스파인을 처음 사용할 때는 번개가 5번 연속으로 치거나 하는 등 더 강력해졌다. 체력도 이전보다 많아졌다.
파일:갤럭틱_나이트_시계대참섬01.jpg 파일:갤럭틱_나이트_시계대참섬02.jpg
시계대참섬(時界大斬閃)
'시계대참섬(時界大斬閃)'[16]이라는 신기술을 사용한다. 갤럭틱 나이트가 스테이지 한쪽 상단에서 화면을 베어버리면, 그 절단면에서 대각선 아래로 아공간이 펼쳐진다. 선딜이 워낙 길고 알아보기도 쉬운 스킬이라 피하기는 아주 쉽다. 물론 선딜 긴 스킬들이 다 그렇듯 정통으로 맞으면 보통 체력이 반토막 날 정도로 아프므로 조용히 피하는 것이 좋다. 이스터 에그로, 이공간을 자세히 보면 일정 확률로 마버로아가 갖고 있던 하늘배 로아가 지나가기도 한다.

화면 밖에서 검기를 뿌리는 트웰브 에너지 샤워의 경우, 검기가 20개로 늘어난 '트웬티 에너지 샤워'로 업그레이드했다. 그런데 회피법은 트웰브 에너지 샤워와 같기 때문에 큰 의미는 없다.

이 녀석에게 피해를 입는 원인은 패턴에 맞아서라기보다는 접근하다가 방어에 막히고 그대로 맞거나[17] 접근 도중 뒤로 빠지면서 무적기를 사용한 플레이어에게 타격을 주는 것. 특히 해머로 메타 나이트 계열을 상대할 때 가히 최고의 무기였던 대시 + B 공격을 사용할 때 뒤로 움직이거나 방어 후 공격하여 체력을 깎는 상황이 상당히 많이 일어난다.

갤럭틱 나이트는 방어를 한 후 공격을 개시한다. 거리를 벌리거나 좁히는 행위는 페이크로, 웬만하면 관통기로 넘어갈 생각하지 말고 정면에서 당당하게 공격하자. 방어하는 행동이 한 번 보이면 살짝 물러나서 공격을 막을 준비를 하면 된다. 또한 갤럭틱 나이트의 막타 대부분이 검기를 날리기 때문에 점프 회피를 익힐 필요가 크다.

별의 꿈이 그를 소환하기 이전 그에 의해 주변 행성들이 멸망할 지도 모른다고 말하는 것을 보아 그런 짓을 실제로 저지른 적 있는 듯하다. 또한 로보보 플래닛 시점의 설정에 의하면 여러 번 봉인된 적은 있었으나 소멸한 적은 없었다고 한다.

6. 커비 배틀 디럭스!

메타 나이트의 코스튬 중 하나로 갤럭틱 나이트의 가면이 등장한다. 메타 나이트 amiibo를 스캔하면 얻을 수 있다.

7. 별의 커비 스타 얼라이즈

파일:KSA_Galacta_Knight_model.png
파일:갤나1.jpg
"時巡る戦士" ギャラクティックナイト / "Temporal Warrior" Galacta Knight

별의 ○○○○ 스타 프렌즈로 GO!에서 하이네스를 쓰러뜨리면 엔딩 크레딧이 올라가며 그대로 끝나나 했더니 하이네스가 연 포탈에서 뜬금없이 등장한다. 최종 보스로 등장하여 언제나 그랬듯이 대결을 시작하려 하지만, 그 순간 어디선가 주황색 나비가 날아와 가만히 쳐다보더니 별의 입자로 변해 흡수되어 몰포 나이트로 변한다. 따라서 이번 작품에서 갤럭틱 나이트는 기껏 등장 컷을 준비했음에도 보스로 나오진 않는다.

드림 프렌즈로 등장할 예정이었으나, 드림 프렌즈는 한 작품을 대표하는 한 명만이 등장해야 한다는 점에서 잘려나갔다고 개발자들과의 인터뷰에서 밝혀졌다.[18] 갤럭틱 나이트의 데뷔작은 별의 커비 슈퍼 디럭스의 리메이크작인 별의 커비 울트라 슈퍼 디럭스였고, 슈퍼 디럭스의 대표로는 이미 마르크가 등장했기 때문이다.

8. 슈퍼 커비 헌터즈

파일:커비 얼굴.png
별의 커비 시리즈 최종 보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메인 별의 커비 꿈의 샘 이야기
꿈의 샘 디럭스
2
디디디 대왕 나이트메어 다크 매터
슈퍼 디럭스
울트라 슈퍼 디럭스
3 64
마르크 * 제로
거울의 대미궁 도팡 일당의 습격 Wii
Wii 디럭스
다크 마인드 다크 제로 마버로아 * **
트리플 디럭스 로보보 플래닛 스타 얼라이즈
퀸 세크토니아 * 별의 꿈 * 엔드 닐 * **
디스커버리
펙트 에피리스 *
외전 커비 볼 커비의 반짝반짝 아이들
(SFC)
터치! 커비
메카 디디디 그릴 도로시아
털실 커비 이야기 모여라! 커비 커비 파이터즈 Z
털실술사 네크로디어스 팀 DDD
터치! 커비 슈퍼 레인보우 다 함께! 커비 헌터즈 Z 커비의 빨아들이기 대작전
다크 크래프터 킹 D 마인드 자이언트 디디디
커비 배틀 디럭스! 슈퍼 커비 헌터즈 커비 파이터즈 2
디디디디쿵Z 기원으로 돌아온 영웅 디디디 대왕&메타 나이트
*: 해당 최종 보스의 강화 버전(누르면 해당 문서로 이동.)
등장인물
}}}}}}}}} ||

파일:갤럭틱 나이트(슈퍼 커비 헌터즈).png
淵源を巡る英雄 / 기원으로 돌아온 영웅 / Aeon Hero

본작의 진 최종 보스. 어나더 나이트메어에 의해 깨어나지만 별의 커비 로보보 플래닛에서 별의 꿈에게 그랬듯이 자신을 깨운 어나더 나이트메어를 두동강내면서 커비들과 싸우기 시작한다.[19] 일반 형태와 빛/어둠 2가지의 강화 형태가 존재하는데, 빛 형태는 스토리 퀘스트, 어둠 형태는 와글와글 퀘스트의 최종보스로 등장한다. 별의 커비 스타 얼라이즈의 모델링을 재활용했다.[20] 최종보스답게 난이도가 상당히 높다.

작중에선 어째서인지 '기원으로 돌아온 영웅', '옛 영웅' 등으로 불리며 갤럭틱 나이트라는 이름이 언급되지 않는다.[21] 또한, 통상 보스들과는 달리 2차 패턴에 돌입 시 '화가 났다!'는 안내 문구 대신에 '힘을 해방했다!'는 문구가 나온다.

로보보 플래닛의 패턴을 대부분 가져왔지만 배경 뒤에서 각 커비들을 추적하는 토네이도 4개를 일으키는 새로운 패턴이 생겼다.

시계대참섬 패턴의 경우 아공간이 나오는 방향의 맵 끄트머리 부분은 겉보기와 달리 안전지대가 아니니 주의할 것. 와글와글 퀘스트에서는 이 기술을 2번 연속으로 사용하는 패턴이 존재한다. 낮은 확률로 이공간에서 자마 하트가 지나가는 이스터에그가 있다.

최종 형태인 '기원으로 돌아온 영웅 어둠'의 경우, 별의 커비 Wii와 로보보 플래닛에서 사용한 에너지 샤워를 사용할 때 검기 대신 마음의 창을 25개나 날린다. 이 마음의 창은 가드 불가에 대미지가 1개당 1/4을 깎을 정도로 강하며 한번 맞으면 연속공격에 누워버린다. 피격 경직도 길어서 연타로 맞지 않더라도 한번 맞으면 수직으로 붕 떠버린다. 문제는 플레이어는 그렇다 쳐도 AI들은 이 기술을 제대로 피하지 못해 매우 높은 확률로 이 기술에 녹다운되는데, '아군이 한명도 녹다운되지 않고 플래티넘 매달 획득'이라는 도전과제가 있어서 이 미션을 달성하려면 실력 좋은 플레이어들과의 멀티플레이가 강제된다.

마음의 창 패턴을 피하는 요령으로써 토네이도 소환 전에 2페이즈로 넘어간 경우 높은 확률로 오른쪽(보스 기준 왼쪽)으로 발사하기 때문에 오른쪽 구석으로 달려가면 피해지며, 토네이도 패턴을 쓰고 재정비하고 난 후에 2페이즈로 넘어가면 왼쪽(보스 기준 오른쪽)으로 발사하기도 한다. 따라서 1페이즈가 빨리 깨졌다면 오른쪽 구석으로 달려가면 거의 맞지 않으며, 그 이외에는 가운데서 기다렸다가 안 맞는 구석으로 달려가면 된다.

랜덤형 패턴에 시도때도 없이 날아다니기 때문에 헤비 해머는 상성이 별로 좋지 않다. 힐링 닥터는 '한 명도 쓰러지지 않고 플래티넘 메달 획득' 미션에 도움이 되지만 차지 공격을 맞추기 어려우며, 보스의 공격력이 너무 높아서 힐량이 딜량을 따라가지 못 할 수 있다. 특히 이 보스는 실수하는 순간 반쯤 죽은 거나 마찬가지기 때문에 히어로 스워드 + 매직 빔 조합이 가장 무난하다.

'기원으로 돌아온 영웅 어둠'에는 저레벨 강화 아이템인 나이트 스워드, 초보자의 검 SDX로 플래티넘 메달 획득 및 클리어하기 미션도 있는데, 파티 플레이를 통해 달성하기 어렵다면 솔플로 들어가서 공격력 포션 5개를 마셔서 클리어해도 좋다.

클리어 시, '기원으로 돌아온 영웅' 및 '기원으로 돌아온 영웅 빛' 버전은 쓰러진 뒤 어디론가로 사라지는 것으로 끝나지만 최종형태 '기원으로 돌아온 영웅 어둠'은 보석 속에 봉인되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파일:어나더 나이트메어 리벤지 & 기원으로 돌아온 영웅.png
복수심에 불타는 망토의 마법사가
옛 영웅을 부활시켰다! 은하 최강의
이 눈앞을 가로막고 선다!
지옥: 라스트 배틀 설명문(스토리 퀘스트)
파일:기원으로 돌아온 영웅.png
옛 영웅이자 은하 최강의 전사!
두려워 마라, 헌터즈!
4명의 힘을 보여 줘라!
슈퍼: 기원으로 돌아온 영웅 설명문(와글와글 퀘스트)
파일:기원으로 돌아온 영웅 빛.png

淵源を巡る英雄 光 / 기원으로 돌아온 영웅 빛 / Aeon Hero (Light)
기원으로 돌아온 영웅의 재림!
세계의 운명이 걸린 최후의 전투
임하라! 슈퍼 커비 헌터즈!
슈퍼: 라스트 배틀 마스터 설명문(스토리 퀘스트)
파일:기원으로 돌아온 영웅 어둠.png

淵源を巡る英雄 闇 / 기원으로 돌아온 영웅 어둠 / Aeon Hero (Dark)
칠흑 같은 암흑에 물든 옛 영웅···!
반복되는 전투에 마침표를 찍어라!
출격! 진정한 슈퍼 커비 헌터즈!
슈퍼+: 라스트 배틀 마스터EX 설명문(와글와글 퀘스트)

9. 커비의 드림 뷔페

캐릭터 과자로 등장한다. 울트라 슈퍼 디럭스 버전과 기원으로 돌아온 영웅 버전으로 나뉘어 등장.


[1] 자세히 보면 이 일러스트에서만 몸의 배색이 메타 나이트와 동일하게 각각 짙은 파랑, 보라색이다. 또한 어깨갑주, 방패의 모양 등 세부적인 디자인에서 최근작들의 모델링과 차이가 있다.[2] 다른 보스라면 반피를 넘게 깎을 수 있는 메타 나이트의 필살기 마하 토네이도도 갤럭틱 나이트에게는 효과가 미미하다. 그러니 차분하게 플레이한다면 게이지에 쌓아 둔 포인트는 힐링을 위해 남겨두자. 갤럭틱 나이트의 체력이 거의 얼마 남지 않았을 때 멋지게 마무리 일격을 날려주고 싶다면 게이지를 아꼈다가 마하 토네이도를 날려보는 것도 좋다.[3] 메타 나이트는 재빠르게 움직여서 연속 공격이 매우 힘들다.[4] 메타 나이트의 러시와 달리 폭발음이 일어난다.[5] 연타공격이라 반사한 투사체가 연격으로 들어오는 투사체에 맞부딪히며 사라진다.[6] 메타 나이트는 검을 휘둘러 검기로 날린다.[7] 메타 나이트는 스워드 기반 능력에 커비보다 더 높은 점프력, 피해량, 민첩함을 갖고 있으며, 온갖 유틸리티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사실 온갖 능력을 사용하는 커비를 메타 나이트 혼자 커버하는 모드다 보니 자연스레 메타 나이트가 온갖 카피 능력을 합친 것 같은 성능을 내야 하기 때문에 강해진 것도 있다. 포인트만 널널하면 원하는 시점에서 체력을 가득 채울 수 있다는 점도 크다.[8] 그나마 피통만큼은 갤럭틱 나이트보다 확실히 많긴 하다.[9] HR-D3의 보스 설명문과 한 줄을 제외하면 동일하다.[10] 양쪽에서 대형 토네이도 발사, 창을 들어올려 빔을 원형으로 발사하는 패턴이 이때 추가된다.[11] 후속작에서 다크 메타 나이트도 쓰는데, 이쪽은 데미지 자체를 안 받는다. 어째서 방패를 들고있지 않은 놈이 방어력이 더 강하냐...[12] 레볼루션 소드는 슈퍼 커비 헌터즈와 같이 상향되었다.[13] 애초에 이번작의 히든 보스는 소울로 진화한 것도 모자라 마냥 또 EX로 강화되었으니 비슷하다는 평가를 받는 것부터 대단한 것이다.[14] 본인이 직접 말하지는 않으며 별의 꿈이 알아서 인식하고 실행에 옮긴다.[15] Wii에선 땅 위에 서 있었다.[16] 기술 출처는 닌텐도 공식 가이드북. 일본어로 읽을 때도 한자 그대로 '지카이다이잔센'이라 읽는다.[17] 커비가 공격할 때 막았다가, 공격 후 멈칫할 때를 노려 커비를 공격한다.[18] #[19] 킹 D 마인드도 어나더 나이트메어를 날려버리기만 했지 소멸시키지는 못했다.[20] 별의 커비 울트라 슈퍼 디럭스 이후 작아졌던 날개가 오랜만에 제 크기를 되찾았다.[21] 다만 게임 내의 이모티콘에는 이름이 제대로 명시되어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21
, 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2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