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B8C2CA><colcolor=#000000> 강진화 康珍化 | |
출생 | 1953년 6월 24일 ([age(1953-06-24)]세) |
시즈오카현 하마마츠시 | |
국적 |
[1] |
학력 | 와세다대학 (철학과 / 졸업) |
직업 | 작사가, 각본가, 시인 |
성별 | 남성 |
데뷔 | 1979년 앤 루이스의 노래 'シャンプー' |
1. 개요
재일 한국인 2세 작사가, 각본가, 시인.1980년대 쇼와 시대 음악계를 풍미한 작사가 중 한 명이다. 아이돌 가요곡부터 시티 팝까지 폭넓은 장르에서 활동하며 가사를 썼다.
2. 생애
와세다대학 제1문학부 철학과 재학 중, 와세다 단가 연구회에 소속해 단가 동인 그룹 '環'에서 무라키 미치히코를 스승으로 모시고, '천재 가인 소년'으로서 명성을 얻었다. 학창시절에 발표한 단가는 1979년에 발행된 '무라키 미치히코 가집'에 실려 있다. 동시에 8mm 영화 서클에서도 활동했고, 졸업 후에는 광고 CM 제작 프로덕션에 소속되어, 이곳에서 만난 야마시타 쿠미코의 규슈 아마추어 시절 매니저에게 "가사를 써보지 않겠냐"는 제안을 받으며 작사가로서의 길을 걷게 되었다. #작사가 데뷔는 앤 루이스의 79년 앨범 〈ピンク・キャット〉에 수록된 곡 〈シャンプー〉이며, 작곡은 야마시타 타츠로가 담당했다. 그러나 이 곡으로 프로 작사가로 데뷔하기 전에 몇 편의 가사를 발표한 바 있다. 처음에는 친구의 밴드 '트러스트'가 '제2회 하로우 점보 고라쿠엔 음악제'에 참가하기 위해 가사를 제공했으며, 이 곡은 〈ダンス〉라는 곡이 되어 그랑프리를 수상했다. 이때, 포니캐년의 디렉터에게 연락을 받고 “이 곡을 야마모토 린다[2]에게 부르게 하고 싶다”는 요청을 흔쾌히 수락했지만, 제목이 〈限りなく透明に近いダンス[3]〉(76년 발매)로 변경되었다. 이 작품이 사실상 강진화의 가사가 음반으로 발매된 첫 번째 곡이다. #
1980년대가 전성기였으며 작곡가 하야시 테츠지[4]와 골든 콤비를 이뤄 많은 히트곡을 만들어냈다. 이 시기에 나카모리 아키나, 코이즈미 쿄코, 사쿠라다 준코[5], 안리, 소년대, 이와사키 히로미, 오메가 트라이브, 체커스, 미나미노 요코[6], 다카하시 마리코, 우에다 마사키, 하라다 토모요, 히카루GENJI, 나카야마 미호, 호리 치에미, 오카다 유키코, 사와다 켄지 등 많은 인기 가수에게 가사를 제공했다. 1984년에는 다카하시 마리코의 10번째 싱글 〈桃色吐息〉로 일본 레코드 대상 작사상을 수상, 1985년에는 나카모리 아키나의 11번째 싱글 〈ミ・アモーレ〔Meu amor é・・・〕〉로 일본 레코드 대상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애니메이션 주제가 작사가로도 종종 활동했다. 대표적인 히트곡이 바로 이와사키 요시미가 부른 〈터치〉의 주제가 〈タッチ[7]〉이며, 지금까지도 일본의 국민 애니송으로 평가받는 명곡이다. 이외에도 〈미래경찰 우라시맨〉, 〈시끌별 녀석들〉, 〈거신 고그〉, 〈과연 사루토비〉, 〈터무니없는 전사 무테킹〉, 〈초마신영웅전 와타루〉 등의 주제가를 작사했다. 또한 특촬물 〈초전자 바이오맨〉, 〈가면라이더 BLACK RX〉, 〈울트라맨 가이아〉의 주제가를 담당하기도 했다.
활동의 폭을 넓여서 1990년대 초반에는 쿠와타 케이스케의 영화감독 데뷔작 〈이나무라 제인[8]〉, 나가오 나오키 감독의 영화 〈도쿄의 휴일〉에 각본가로 참여했다. 또 90년대 후반에는 쟈니스 아이돌 Kinki Kids에게 가사를 제공했으며, 이들의 4번째 싱글 〈全部だきしめて〉은 100만 장을 돌파해 강진화가 작사한 노래 중 최대 히트곡이 되었다. 2000년대 이후부터는 활동을 뜸하게 하고 있지만, 이 시기에 보아의 일본 히트곡 〈VALENTI〉와 〈メリクリ〉를 작사했다. 특히 〈メリクリ〉는 지금까지도 일본 캐롤송의 스테디 곡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3. 주요 작사곡
수많은 노래를 작사했기 때문에 대표곡들만 기재했다. 자세한 정보는 일본어 위키백과 참고.발매 연도 | 제목 | 아티스트 | 비고 |
1980 | バスルームから愛をこめて | 야마시타 쿠미코 | 야마시타 쿠미코의 데뷔곡 |
1982 | Wash[A] | 마츠바라 미키 | |
悲しい色やね -OSAKA BAY BLUES- | 우에다 마사키 | 1982년 오리콘 연간 차트 26위 | |
1983 | 悲しみがとまらない | 안리 | 1983년 오리콘 연간 차트 19위 |
悲しい色やね | 우에다 마사키 | 1983년 오리콘 연간 차트 26위 | |
まっ赤な女の子 | 코이즈미 쿄코 | 1983년 오리콘 연간 차트 54위 | |
SUMMER SUSPICION | 스기야마 키요타카 & 오메가 트라이브 | 1983년 오리콘 연간 차트 39위 | |
1984 | 北ウイング | 나카모리 아키나 | 1984년 오리콘 연간 차트 9위 |
桃色吐息 | 다카하시 마리코 | 1984년 오리콘 연간 차트 23위 | |
ギザギザハートの子守唄 | 체커즈 | 1984년 오리콘 연간 차트 20위 | |
渚のはいから人魚 | 코이즈미 쿄코 | 1984년 오리콘 연간 차트 25위 | |
ヤマトナデシコ七変化 | 1984년 오리콘 연간 차트 35위 | ||
艶姿ナミダ娘 | 1984년 오리콘 연간 차트 48위 | ||
君のハートはマリンブルー | 스기야마 키요타카 & 오메가 트라이브 | 1984년 오리콘 연간 차트 39위 | |
天国にいちばん近い島 | 하라다 토모요 | 하라다의 첫 오리콘 1위 곡 | |
愛情物語 | 1984년 오리콘 연간 차트 27위 | ||
さよならから始まる物語 | 오기노메 요코 | FNS 가요제 우수 신인상 | |
超電子バイオマン | 미야우치 타카유키 | 초전자 바이오맨 OP | |
1985 | タッチ | 이와사키 요시미 | 애니메이션 터치 OP |
愛がひとりぼっち | FNS 가요제 우수 가요 음악상 | ||
ミ・アモーレ〔Meu amor é・・・〕 | 나카모리 아키나 | 1985년 오리콘 연간 차트 2위 | |
ふたりの夏物語 NEVER ENDING SUMMER | 스기야마 키요타카 & 오메가 트라이브 | 1985년 오리콘 연간 차트 15위 | |
サイレンスがいっぱい | 1985년 오리콘 연간 차트 46위 | ||
神様ヘルプ! | 체커즈 | 1985년 오리콘 연간 차트 44위 | |
もう逢えないかもしれない | 키쿠치 모모코 | 1985년 오리콘 연간 차트 40위 | |
1987 | 君だけに | 소년대 | 1987년 오리콘 연간 차트 10위 |
泣いてみりゃいいじゃん | 콘도 마사히코 | 일본가요대상 대상 | |
1988 | 剣の舞 | 히카루GENJI | 1988년 오리콘 연간 차트 7위 |
人魚姫 mermaid | 나카야마 미호 | 1988년 오리콘 연간 차트 9위 | |
渚のすべて (Morning Moon, Rising Sun) | 스기야마 키요타카 | 1988년 오리콘 연간 차트 55위 | |
FIRST LUCK –初めての幸運(しあわせ)– | 야마시타 타츠로 | 야마시타 타츠로와 공동 작사 | |
仮面ライダーBLACK RX | 미야우치 타카유키 | 가면라이더 BLACK RX OP | |
あぁ、グッと | 콘도 마사히코 | 일본 레코드대상 금상 | |
1989 | 涙はどこへいったの | 미나미노 요코 | 1989년 오리콘 연간 차트 49위 |
Witches | 나카야마 미호 | 1989년 오리콘 연간 차트 36위 | |
ROSÉCOLOR | 1989년 오리콘 연간 차트 27위 | ||
1990 | 私達を信じていて[A] | 신디 | |
1994 | 言えないよ[11] | 고 히로미 | |
OVER THE TROUBLE | 오다 유지 | 드라마 '돈이 없다' 주제가 | |
1997 | BOMBER GIRL | 오다 테츠로 & 곤도 후사노스케 | |
1998 | 全部だきしめて | Kinki Kids | 1998년 오리콘 연간 차트 10위 |
ウルトラマンガイア! | 타나카 마사유키 & 다이몬 카즈야 | 울트라맨 가이아 OP | |
1999 | GOLDFINGER'99 | 고 히로미 | 일본어 번안 가사[12] 일본 유선 대상 유선 음악 우수상 |
雨のMelody | Kinki Kids | 1999년 오리콘 연간 차트 20위 | |
2000 | 夏の王様 | 2000년 오리콘 연간 차트 19위 | |
2002 | VALENTI | 보아 | NHK 홍백가합전 가창곡 |
2004 | Quincy | ||
メリクリ | |||
2006 | CRY NO MORE | 나카시마 미카 |
4. 수상
<rowcolor=#000000> 날짜 | 시상식명 | 수상 부문 | 작품 |
1984년 | |||
12월 31일 | 제26회 일본 레코드 대상 | 작사상 | 다카하시 마리코 - 桃色吐息 |
1985년 | |||
12월 31일 | 제27회 일본 레코드 대상 | 대상 | 나카모리 아키나 - ミ・アモーレ〔Meu amor é・・・〕 |
5. 여담
- 활동 초창기에는 본명 대신 '모리타 시루스(森田記)'란 가명을 사용했다. 미나미노 요코의 싱글 〈接近 (アプローチ)〉도 이 가명으로 발표했다.
- 평소 공식석상에 거의 등장하지 않고, 인터뷰도 별로 하지 않아서 촬영한 사진이 별로 없고, 알려진 정보도 많지 않다. 그런데 2023년 작곡가 파트너 하야시 테츠지의 데뷔 50주년을 맞아 인터뷰를 했다. 이 인터뷰에서 안리의 노래 〈悲しみがとまらない〉를 자신에게 중요한 작품으로 꼽았다.강진화 "슈프림즈의 〈I'm Livin' in Shame〉를 아세요? 슬럼가에서 자란 흑인 소녀가 결국 부유한 가정의 백인과 결혼해 슬럼을 잊고, 어머니가 임종을 맞을 때 참회하러 가는 이야기의 노래입니다. 이 곡은 전미 1위에 올랐죠. 저는 노래의 힘이 대단하다고 느꼈습니다. 저도 그런 노래를 쓰고 싶다고 마음속으로 다짐했죠. 그런 때, 운이 좋게도 벨이 울리고, 하야시 테츠지 씨와 함께 안리 씨에게 작품 의뢰가 들어왔습니다. 하야시 씨에게 슈프림스 이야기를 하고, "悲しみがとまらない"라는 제목과 "I can't stop the loneliness"라는 카피를 보내면서 곡 작업이 시작되었습니다. 그리고 멋진 업템포 곡이 도착했습니다. 제목과 카피 외에는 가사의 테마 등 아무것도 결정되지 않았고, 나머지는 멜로디에 끌려가며 가사를 썼습니다.
- 피치카토 파이브의 리더 코니시 야스하루는 인터뷰에서 강진화에 대해 "빅터 스튜디오에서 강진화 씨가 눈앞에서 작사를 하는 걸 본 적이 있거든요. 카메이 토시오 씨의 곡에 가사를 붙이는데, 그 곡에 제가 어레인지를 부탁받고 맡았었는데요. 그 자리에서 몇 번이나 고쳐 써서 처음에 온 가사와는 전혀 다른, 정반대의 내용이 되어버려서 깜짝 놀랐던 기억이 있습니다. 정말 20분 정도면 다시 쓰고 있었어요. 작사가분들은 다 쓰는 게 빨라요. 저거는 나는 못하겠구나라는 생각이 들었어요"라고 말했다.
- 작곡가 카메이 토시오[13]는 강진화를 '맹우'라고 부른다고 밝혔다. 와세다대학 재학 시절에 만난 두 사람은 각자 프로 음악가로서 경험을 쌓은 뒤 다시 함께 음악을 마주하게 된다. 그리고 강진화와 카메이는 1990년대에 CANCAMAY라는 유닛으로 CD 싱글과 앨범을 발매했다. 2024년 카메이는 콘서트 〈작사가:강진화를 노래한다〉를 개최했다. #
강진화와 카메이 토시오
- 작곡가 하야시 테츠지는 강진화의 가사에 대해 "강 씨는 제가 보기에는 스토리텔러이자 비유의 명수라고 생각해요. 보통은 비유를 지나치게 쓰면 멜로디에 맞는 언어의 리듬이 나빠지기도 하는데, 강 씨의 경우는 언어의 리듬과 비유의 힘, 양쪽을 겸비하고 있습니다. 거기서 음악을 아는 사람이라는 게 느껴지네요"라고 말했다. 또 강진화와 친교가 깊었냐는 질문에는 "아사노 유코 씨의 '半分愛して'가 처음이었나요? '悲しい色やね' 때는 아직 만나지 않았습니다. 실제로 만난 것은, 안리 씨의 작품쯤부터 였던 것 같네요. 신기한 것은, 아마 강 씨도 그랬을 거라고 생각하지만, 우리 쪽에서 이 사람과 조합을 해 달라고 요청하는 기회는 그렇게 많지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상대가 결정되지 않았을 때, '그럼 강 씨는 괜찮겠네'라고 말한 적은 있었던 것 같지만, '이 두 사람으로 꼭 하게 해 주세요' 같은 이야기는 우리 쪽에서 한 적은 없었습니다"라고 대답했다. #
- 하야시 테츠지는 인터뷰에서 "프로로서 하는 이상은 여러 가지 규제 속에서 만들지 않으면 안 된다는, 어떤 의미에서 숙명이 있는 것이군요. 특히 싱글 곡을 쓰게 된 경우는 책임이라는 것이 확 올라오는 것입니다. 거기서 곡을 쓴다는 건 굉장히 어려운 일이거든요. 프로젝트를 진행시켜 나가는 가운데 저는 너덜너덜해지거나, 스기야마 키요타카 & 오메가 트라이브 무렵의 강진화씨도 너덜너덜해지거나 해 갔거든요"라고 말하기도 했다.
- 강진화가 작사한 코이즈미 쿄코의 노래 〈まっ赤な女の子〉는 아키모토 야스시와의 경쟁에서 탄생했다. 아키모토는 싱글 B면에 수록된 〈午後のヒルサイドテラス〉의 가사를 디렉터에게 전달하러 갔을 때, 우연히 〈まっ赤な女の子〉의 가사를 보고 "이건 지는구나"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
- 작사가 활동 외에도 동화 작가, 게임 시나리오 라이터로 활동했다. 액션 게임 〈갤러리언즈〉, RPG 게임 〈다운 더 월드〉의 시나리오를 작성했다.
- 오릭스 블루웨이브의 응원가 가사를 작사하기도 했다. 오릭스 버팔로즈/응원가 문서 참고.
6. 외부 링크
[1] 정확하게 국적에 대해 알려진 사실은 없다.[2] 山本 リンダ. 1970년부터 1980년대까지 활약한 여성 솔로 가수.[3] 무라카미 류의 베스트셀러에 빗댄 제목이다.[4] 林哲司. 1949년생. 쇼와 시대를 풍미한 작곡가 중 한 명이다.[5] 사쿠라다 준코의 '美しい夏'는 강진화의 최초의 히트곡이라고 볼 수 있다.[6] 미나미노의 데뷔곡 '恥ずかしすぎて'부터 가사를 제공했다.[7] 터치의 대부분의 주제가(오프닝, 엔딩)를 강진화가 작사했다.[8] 1990년도 일본 영화 배급 수입 연간 랭킹 4위를 기록할 정도로 흥행했다. 다만, 작품의 평가는 호불호가 많이 갈렸다.[A] 2020년대 시티팝 열풍 이후 유튜브에서 역주행을 하기도 했다.[A] [11] 오리콘 주간 순위는 최고 27위에 머물러 있지만, 35만장을 넘는 롱셀러가 되어 고 히로미의 히트곡 중 하나가 되었다.[12] 리키 마틴의 Livin' la Vida Loca 번안곡.[13] 亀井登志夫. 작곡가로서 야마시타 쿠미코, 마츠다 세이코, 와타나베 미사토, 다카하시 마리코, 사이토 유키, 나츠카와 리미 등 많은 가수에게 노래를 제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