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12:05:49

간헐천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특정 시기에만 물이 흐르는 간헐하천 · 간헐천(間歇川)에 대한 내용은 와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간헐천 사진.jpg
아이슬란드 스트로쿠르(Strokkur) 간헐천의 사진.
옐로스톤 국립공원 올드 페이스풀(Old Faithful)의 분출 장면.
1. 개요2. 명칭3. 생성 원리4. 분류5. 대표 관광지6. 우주에서의 간헐천7. 창작물에서의 간헐천8.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간헐천(, geyser)은 온천의 한 종류로,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인 시간 간격을 두고(간헐적) 용출되는 온천이다.

2. 명칭

간헐천을 뜻하는 영단어 'Geyser'는 아이슬란드어로 분출한다는 의미인 '게이시르(geysir)'에서 유래했다는 것이 통설이다. 그 가운데에서 아이슬란드 블라스코가비그드(Bláskógabyggð) '골든 서클' 지역에 있는 유명한 간헐천 '스트로쿠르 게이시르(Strokkur Geysir)'를 가리키던 이름이 보통명사가 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미국식 영어로는 '가이저'[ˈɡaɪzər]로 읽는다.

3. 생성 원리

활화산 지대에 심심찮게 분포되어 있다. 마그마에 의해 데워진 지하수가 높은 수압으로 인해 100도씨를 넘은 상태에서도 가열되는데 지속된 가열로 인해 결국 과가열 상태가 깨지고 폭발적으로 기화하여 땅의 약한 부분을 뚫고 솟아오르는 것. 한 번에 솟아오르는 양은 각각의 간헐천의 압력에 따라 다르다. 가장 큰 스팀보트 간헐천은 120m까지도 물기둥이 치솟고, '올드 페이스풀' 간헐천은 60m까지 물기둥이 치솟는다고 한다.

이 때문에 굉장히 뜨거운 물이므로 절대 가까이 가서는 안 된다! 간헐천에서 뿜어져 나오는 물들은 지열로 끓어오르는 상태이기 때문에 몸에 닿으면 그대로 화상이며 빠지면 흔적도 없이 사라진다. 이때 수온은 100°C를 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이는 온천수가 순수한 물이 아닐뿐더러, 지하에서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을 받고 있어 100°C에서 끓지 않기 때문이다. [1]

4. 분류

간헐천의 종류를 발생 원인에 따라 나누면 다음과 같다.

이러한 발생 원인을 제외하고 단순히 간헐천을 주기에 따라 분류하면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5. 대표 관광지

6. 우주에서의 간헐천

태양계에서 지구 외에도 이런 간헐천이 자주 발견된다. 이런 간헐천의 존재는 그 천체에 물이 있다는 유력한 증거로 제시되곤 한다.

파일:external/img.etoday.co.kr/20141121025522_543782_466_300.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IA17659-Europa-WaterPlume-ArtistConcept-20131212.jpg
파일:external/www.ucl.ac.uk/c_Triton_geyser.jpg

7. 창작물에서의 간헐천

8. 관련 문서


[1] 이와 비슷한 것으로 열수분출공이 있다. 열수분출공의 경우는 워낙 심해이다보니 300도가량 된다. #[2] 화산 활동을 하지 않기 때문에 간헐천이 없었지만, 최근 점점 마그마가 끓어오르면서 간헐천이 생겨나고 있다고 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