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1 22:21:46

가시꼬리왕도마뱀


왕도마뱀속 현존 생물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왕도마뱀속엠파구시아아속<colbgcolor=#fff,#1c1d1f> 벵골왕도마뱀 · 듀메릴왕도마뱀 · 황금왕도마뱀 · 구름왕도마뱀 · 검은거친목왕도마뱀
에우프레피오사우루스아속베네트긴꼬리왕도마뱀 · 터키옥왕도마뱀 · 세람맹그로브왕도마뱀 · 케이섬왕도마뱀 · 푸른꼬리왕도마뱀 · 뉴아일랜드왕도마뱀 · 핀슈왕도마뱀 · 맹그로브왕도마뱀 · 칼슈미트왕도마뱀 · 렌넬섬왕도마뱀 · 리룽왕도마뱀 · 퀸스왕도마뱀 · 사고왕도마뱀 · 귄터맹그로브왕도마뱀 · 머싸우섬푸른꼬리왕도마뱀 · 타님바르왕도마뱀 · 마리아나왕도마뱀 · 검은등맹그로브왕도마뱀 · 은색왕도마뱀
왕도마뱀아속코모도왕도마뱀 · 페런티왕도마뱀 · 굴드왕도마뱀 · 머튼스왕도마뱀 · 알거스왕도마뱀 · 로젠버그왕도마뱀 · 스펜서왕도마뱀 · 레이스왕도마뱀
작은왕도마뱀아속가시꼬리왕도마뱀 · 공작왕도마뱀· 짧은꼬리난쟁이왕도마뱀 · 필바라줄무늬꼬리왕도마뱀 · 줄무늬꼬리왕도마뱀 · 걸프산등성이꼬리왕도마뱀 · 붉은사막왕도마뱀 · 꼬마뮬가왕도마뱀 · 킴벌리바위왕도마뱀 · 검은손바닥바위왕도마뱀 · 해머슬리산맥바위왕도마뱀 · 그루트에이랜트왕도마뱀 · 킹스바위왕도마뱀 · 미셸물왕도마뱀 · 필바라바위왕도마뱀 · 북방넓은가시왕도마뱀 · 띠나무왕도마뱀 · 붉은왕도마뱀 · 시밀리스왕도마뱀 · 댐피어반도왕도마뱀 · 스토르왕도마뱀 · 티모르왕도마뱀 · 검은머리왕도마뱀
나무왕도마뱀아속검은나무왕도마뱀 · 금색점무늬나무왕도마뱀 · 보거트왕도마뱀 · 푸른코나무왕도마뱀 · 비악나무왕도마뱀 · 푸른나무왕도마뱀 · 에메랄드나무왕도마뱀 · 노랑나무왕도마뱀 · 미스터리나무왕도마뱀
소테로사우루스아속반곤왕도마뱀 · 노란머리물왕도마뱀 · 엔텡왕도마뱀 · 대리석물왕도마뱀 · 큰비늘물왕도마뱀 · 팔라완물왕도마뱀 · 라스무센물왕도마뱀 · 물왕도마뱀 · 사마르물왕도마뱀 · 토기안물왕도마뱀
폴리다이달루스아속바위왕도마뱀 · 사바나왕도마뱀 · 나일왕도마뱀 · 서아프리카나일왕도마뱀 · 오네이트왕도마뱀 · 예멘왕도마뱀
필리핀왕도마뱀아속북부시에라마드르숲왕도마뱀 · 파나이왕도마뱀 · 그레이왕도마뱀
사막왕도마뱀아속사막왕도마뱀 · 네스테로브사막왕도마뱀
솔로몬제도가시왕도마뱀아속솔로몬제도가시왕도마뱀
악어왕도마뱀아속악어왕도마뱀}}}
}}}
가시꼬리왕도마뱀(스파니테일모니터, 액키모니터)
Spiny-tailed monitor, Ackie's dwarf monitor
파일:Ackie.jpg
학명 Varanus acanthurus
Ouwens, 1912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 Animalia
척삭동물문 Chordata
파충강 Reptilia
뱀목 Squamata
왕도마뱀과 Varanidae
왕도마뱀속 Varanus
아속 작은왕도마뱀아속 Odatria
가시꼬리왕도마뱀 V. acanthurus
아종
  • 붉은가시꼬리왕도마뱀 V. a. acanthurus
  • 노란가시꼬리왕도마뱀 V. a. brachyurus
  • 검은점가시꼬리왕도마뱀 V. a. insulanicus
멸종위기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최소관심.svg
파일:가시꼬리왕도마뱀 머리.jpg
가시꼬리왕도마뱀의 머리[1]

1. 개요2. 특징3. 사육

1. 개요

왕도마뱀속 난쟁이왕도마뱀아속에 속하는 왕도마뱀의 일종이다.

호주 대륙에 자생하는 종이며 대한민국 내 애완동물 업체나 커뮤니티에서는 액키모니터(Ackie Monitor)라고 불린다.[2]

2. 특징

전체적으로 왕도마뱀의 모습을 축소한 모습이다. 다만 꼬리가 돌기가 많다는 특징이 있으며, 이는 포식자에게서 숨을 때 방어수단으로 쓰인다.

육식성으로 야생에서는 다양한 절지동물, 곤충, 도마뱀, 심지어는 소형 유대류 까지 사냥한다.

주행성으로, 야간에는 몸을 파묻거나 바위틈사이에서 쉰다.

몸 전체 길이는 70cm 정도까지 자랄 수 있으며, 수컷이 암컷보다 크다.

수명은 20년 가량이다.

3. 사육

왕도마뱀중에서는 작은 편이어서 사육난이도가 낮다.[3]

호주 정부는 모든 자생동식물의 반출을 금지하기 때문에, 밀수 혹은 연구 목적으로 반출된 개체가 번식되어 전세계에 퍼진것으로 추정된다. 때문에 야생종이 앓는 흔한 질병과 기생충은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왕도마뱀들이 그렇듯이 지능이 높아 길들일수 있다면 꽤나 재미있게 상호작용할 수 있다.

[1] 상당히 귀엽다.[2] 애칭은 종의 학명의 몇음절과 ie를 입에 잘맞게 합성한 것이다.[3] 물론 이보다 작은 왕도마뱀도 있다.[4] 외국이라면 두비아바퀴벌레가 좋지만 하필 대한민국내 반입및 사육이 금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