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사전적 의미}}}에 대한 내용은 [[창조]]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창조#s-1|1]]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창조#|]]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사전적 의미: }}}[[창조]]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창조#s-1|1]]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창조#|]]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創造 관련 틀 | ||||||||||||||||||||||||||||||||||||||||||||||||||||||||||||||||||||||||||||||||||||||||
|
호시노 겐의 솔로 음반 (발매일순) | ||||
<rowcolor=#000000> 싱글 박스 세트 GRATITUDE (2020.10.21.) | → | 디지털 싱글 創造 (2021.02.17.) | → | 디지털 싱글 不思議 (2021.04.27.) |
<rowcolor=#ffffff> 創造 (Create) | |
| |
<colcolor=#ffffff> 싱글 정보 | |
<colbgcolor=#ce0000> 작사 / 작곡 | <colbgcolor=#ffffff,#191919> 星野源 (호시노 겐) |
편곡 | 호시노 겐, mabanua 코러스 어레인지: 나가오카 료스케, 호시노 겐 |
프로듀서 | 호시노 겐 |
장르 | J-POP |
발매일 | 2021년 2월 17일 |
판매 페이지 | # |
1. 개요
|
{{{#!wiki style="margin: -20px -10px -17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ce0000> | 작년부터 설레는 마음으로 만들었던 곡 '창조(Create)'가 드디어 공개되었습니다. 완성된 순간 진심으로 제 자신이 엄청난 일을 해냈다고 느꼈습니다. 이 날을 맞이하게 되어 정말 기쁩니다. 많이 들어주세요. |
호시노 겐이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35주년을 위해 만든 곡이다.
2020년 9월 4일 곡의 일부가 CF에 사용되었으며, 약 5개월 이후 정식으로 발매되었다. 특징으로는 게임보이, 게임큐브 등 닌텐도의 게임기,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동키콩 등 여러 게임에서 등장한 효과음들이 곡에 삽입되어 닌텐도의 팬이라면 찾는 재미가 쏠쏠한 점 등이 있다.
2. MV
뮤직비디오 |
3. 그 외 영상
3.1. CF
CF |
3.2. MV 비하인드
MV 비하인드 |
4. 가사 및 오마주
創造 |
<rowcolor=#000000,#ffffff> [1] Let’s take something out of nothing 아무것도 아닌 것에서 무언가를 꺼내 보자 Out of the ordinary 평범에서 벗어나서 Breaking rules to create our own way 우리만의 방식을 만들기 위해 규칙을 어기고 Playing everyday 매일 놀면서 Let’s chase all the yellow magic 모든 옐로 매직을 쫓자 'Til we count to a hundred 백까지 셀 때까지[2] Running directly to you today 오늘 너에게 직접 달려가며 Playing over again 다시 놀면서 [A] 何か創り出そうぜ 非常識の提案 난카 츠쿠리다소우제 히죠우시키노 테안 무언가 만들어내 보자 비상식적인 제안[4] 誰もいない場所から 直接に 다레모 이나이 바쇼카라[5] 쵸쿠세츠니[6] 아무도 없는 장소에서 직접 独(いち)を創り出そうぜ そうさ Yellow magic 이치오[7] 츠쿠리다소우제[8] 소우사 옐로우 매직 딱 한 가지 만들어[9] 내 보자 그래 Yellow magic[10] 色褪せぬ 遊びを繰り返して 이로아세누 아소비오 쿠리카에시테 빛 바래지 않는 즐거움을 계속해서 [11] [12] [13] 僕は生まれ変わった 幾度目の始まりは 보쿠와 우마레카왓타 이쿠도메노 하지마리와 나는 다시 태어났어 몇 번이고의 재시작은 澱むこの世界で 遊ぶためにある 요도무 코노 세카이데 아소부타메니 아루 따분한 이 세상에서 놀기 위해서야 配られた花 手札を握り 쿠바라레타 하나 테후다오 니기리 나눠 받은 화투패[14]를 쥐고 変える 運命を 카에루 운메이오 바꾸는 거야 운명을 あぶれては はみ出した 아부레테와 하미다시타 끼지 못 하고 밀려 나와도 世をずらせば真ん中 요오 즈라세바 만나카 눈을 돌린다면 한복판이야 [15] 何か創り出そうぜ 非常識な提案 난카 츠쿠리다소우제 히죠우시키나 테이안 무언가 만들어 내 보자 비상식적인 제안 誰も見ない場所から 一筋の 다레모 미나이 바쇼카라 히토스지노 아무도 보지 않는 장소에서 한결같이 未知を創り出そうぜ そうさ Yellow magic 미치오 츠쿠리다소우제 소우사 옐로우 매직 미지를 만들어 내 보자 그래 Yellow magic やめられない 遊びを繰り返した 야메라레나이 아소비오 쿠리카에시타 그만둘 수 없는 즐거움을 되풀이했어 進化を君に 外れ者に授ける 신카오 키미니 하즈레모노니 사즈케루 진화를 너에게, 가지 않는 길을 가는 너에게 전수할게 [16] [17] [18] 死の淵から帰った 生かされたこの意味は 시노후치카라 카엣타 이카사레타 코노 이미와 죽음의 문턱에서 돌아와 살아난 이 의미는[19] 命と共に 遊ぶことにある 이노치[20]토 토모니 아소부 코토니 아루[21] 그저 사는 게 아닌 노는 데에 있어 僕らふざけた生き物脆く 보쿠라 후자케타 이키모노 모로쿠 우리들은 참 웃기는 생물이야 연약하고 ひしゃげた文明の 히샤게타 분메이노 찌부러진 문명의 制約の屋内で 세이야쿠노 오쿠나이데 제약의 안에서 気をずらして外側 키오[22] 즈라시테 소토가와 한발짝 비틀면 바깥으로 [23][24] 目下捻り出そうぜ 閃きの妙案 못카 히네리데소우제 히라메키노 묘우안 지금 쥐어짜 내 보자 번뜩이는 묘안 枯技咲いた場所から 手を振る普通と 카레기 사이타 바쇼카라 테오 후루 후츠우토 사라진 기술이 꽃폈던 장소에서 손을 흔드는 평범함과 バタつく未来を 水平に見た考案[25] 바타츠쿠 미라이오 스이헤이니 미타 코우안 불안정한 미래를 수평으로 본 고안 途方もない 学びを繰り返して 토호우모나이 마나비오 쿠리카에시테 세상에 없는 배움을 되풀이해서 [26] 時の大海で 喧騒の波間で 토키노 타이카이데 켄소우노 나미마데 시간의 대해[27]에서 떠들썩한 파도 속에서 驚いた笑顔見せて 오도로이타 에가오 미세테 놀란 듯한 미소를 보여 줘 目下走り出そうぜ 物作る冒険 못카 하시리다소우제 모노츠쿠루 보우켄 지금 달려나가 보자 무언가를 만드는 모험 あり得ないさ 全ては馬鹿げてた妄想 아리에나이사 스베테와 바카게테타 모우소우[B] 불가능해, 모든 게 말도 안 되는 망상이라고 해도 現れる様相 目の前の風景 야라와레루 요소 메노마에노 후케 나타나는 새로운 눈 앞의 현상[29] 襷(たすき) 抱いた 遊びを繰り返し 타스키 이다이타 아소비오 쿠리카에시 멜빵을 두르고 놀이를 되풀이해서 繰り返し 쿠리카에시 되풀이해서 何か創り出そうぜ 非常識の提案 난카[30] 츠쿠리다소우제 히죠우시키노 테이안 무언가 만들어 내 보자 비상식적인 제안 誰もいない場所から 直接に 다레모 이나이 바쇼카라 쵸쿠세츠니 아무도 없는 장소에서 직접 独(いち)を創り出そうぜ そうさ Yellow magic 이치오 츠쿠리다소우제 소우사 옐로우 매직[B] 단 한 가지 만들어 내 보자 그래 Yellow magic 色褪せぬ 遊びを繰り返して 이로아세누 아소비오 쿠리카에시테 빛 바래지 않는 즐거움을 되풀이해서 [A] |
5. 참여 뮤지션 및 스태프
Produced by Gen HoshinoLyrics, Music & Arrangement: Gen Hoshino
Vocal, Chorus, Prophet-5, Jupiter-8, Rhodes, Vibraphone, Handclap, Stomp, Programming: Gen Hoshino
Drums: Tom Tamada
Electric Bass: Hama Okamoto
Contrabass: Wataru Iga
Clavinet, Piano, Jupiter-8, Nord Electro: Hirotaka Sakurada
Electric Guitar, Chorus: Ryosuke Nagaoka
Surigane: Noriyasu Kawamura
Jupiter-8, Rhodes, Cowbell, Handclap, Programming: mabanua
Co-Arrangement: mabanua
Chorus Arrangement: Ryosuke Nagaoka,Gen Hoshino
English Translation: SUNNY BOY
Analog Synthesizer Manipulator: Naoyuki Honzawa
Recorded by Shojiro Watanabe, Shigeharu Nakauchi
Assisted by Shu Saida, Daiki Iimura
Mixed by Shojiro Watanabe
Mastered by Takahiro Uchida at FLAIR MASTERING WORKS, TOKYO 2021
[1] 뮤직비디오 한정으로 게임보이 기동음이 나온다.[2] 100코인으로 1UP을 할 수 있다[A] 닌텐도 게임큐브 기동음[4] 닌텐도의 제4대 사장 이와타 사토루는 2008년 경영 방침 설명회에서 "우리는, 앞으로도 분명, 비상식적이라고 불리는 제안을 할 것입니다."라는 말을 했다.[5] 이 부분의 뮤직비디오에서 슈퍼 마리오 오딧세이의 삽입곡 Jump Up, Super Star!의, 팔짱을 꼈다가 풀었다가 하는 안무를 한다.[6] 뮤직비디오의 이 부분에서 닌텐도의 전 사장 이와타 사토루가 생전 닌텐도 다이렉트에서 직접(쵸쿠세츠)를 외치면서 자주 했던 양손을 앞으로 뻗는 포즈를 오마주한다.[7] 이 부분의 뮤직비디오에서, 이와타 사토루의 사망 이후 닌텐도 다이렉트에서 쵸쿠세츠 대신 닌텐도 스위치의 시그니쳐 사운드인 핑거 스냅을 하는 포즈를 오마주 한다.[8] 이 부분의 뮤직비디오에서, 마리오의 점프 포즈를 한다.[9] 独創(독창)은 닌텐도 3대 사장인 야마우치 히로시가 선포한 닌텐도의 경영이념이다. 호시노 겐은 원래 노래 제목을 '독창'으로 하려다가 대놓고 닌텐도 노래가 되어버리는 것 같아서 더 넓은 의미의 '창조'로 했다고 한다.[10] 슈퍼 마리오브라더스의 카트리지 색깔은 노란색이며, 옐로 매직 오케스트라에 대한 존경을 담아내기도 하였다.[11] 동키콩 미스 효과음[12] 뮤직비디오의 왼쪽 흑백의 연출은 슈퍼 마리오 랜드 2의, 와리오성에서 마리오성으로 돌아가는 장면의 연출이다.[13] 오른쪽 빨간 화면은 버추얼 보이의 화면 오마주[14] 닌텐도는 원래 꽃패(화투패)를 만들던 기업으로 1970년대에 게임기 사업으로 방향을 전환한다[15]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파워업 효과음[16] 뮤직비디오의 13.09.1985는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출시일이다.[17]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지하 BGM[18] 슈퍼 마리오 랜드 미스 효과음[19]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지만 호시노 겐의 이야기에 대입해봤을 때 2014년 지주막하출혈 투병생활 및 수술 이후 복귀를 의미하기도 하고, 2019년 번아웃 증후군으로 '음악을 그만둘까'하던 심리에서 벗어나 마음을 환기시키고 새로운 재시작을 찾았으며, 2021년에도 또 다시 되살아났다는 의미로도 볼 수 있을 것이다.[20]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지상 BGM의 이 부분[21] 슈퍼 마리오 랜드 지상 BGM[22] 뮤직비디오의 20010914는 닌텐도 게임큐브 출시일이다.[23]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3의 코스 클리어 효과음[24] 코인 획득 효과음[25] 닌텐도의 크리에이터인 '요코이 군페이'의 말 중에 '말라버린 기술의 수평적 사고'라는 말이 있다: '우수한 기술이 우수한 게임을 탄생시키는 건 아니다. (중략) 기존의 기술을 다른 방향으로 활용하면 전혀 다른 새로운 것을 창조해 낼 수 있다.'[26] 마리오 카트 Wii 레인보우 로드 #[27] 시간은 젤다의 전설 시간의 오카리나, 대해는 그 후속인 젤다의 전설 바람의 지휘봉이라는 추측이 있다.[B]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의 효과음들이 등장한다.[29] 4대 사장인 '이와타 사토루'는 이런 말을 했다: "'불가능을 가능하게 보여주는 것'이 제가 생각하는 혁신입니다. 제가 직원들에게 강조하는 것은 다양한 각도에서 생각하라는 것입니다."[30] 뮤직비디오에 나오는 발의 스텝은 Jump Up, Super Star!의 안무 스텝이다.[B]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의 효과음들이 등장한다.[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