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2 23:24:47

V-리그 플레이오프/2024-25 시즌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V-리그/2024-25 시즌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2024-25 V-리그 챔피언 결정전
,
,
,
,
,


1. 개요2. 남자부
2.1. 각 구단별 매직 넘버와 트래직 넘버
2.1.1. 정규리그 최종전 경우의 수
2.2. 준플레이오프
2.2.1. 경기 전 전망2.2.2. 경기 내용
2.3. 플레이오프
2.3.1. 일정표2.3.2. 경기 전 전망
2.3.2.1. 2위 팀명2.3.2.2. 준PO 승리 혹은 3위 팀명
2.3.3. 경기 내용
2.3.3.1. 1차전2.3.3.2. 2차전2.3.3.3. 3차전
2.3.4. 총평
3. 여자부
3.1. 각 구단별 매직 넘버와 트래직 넘버
3.1.1. 정규리그 최종전 경우의 수
3.2. 준플레이오프
3.2.1. 경기 전 전망3.2.2. 경기 내용
3.3. 플레이오프
3.3.1. 일정표3.3.2. 경기 전 전망
3.3.2.1. 2위 팀명3.3.2.2. 준PO 승리 혹은 3위 팀명
3.3.3. 경기 내용
3.3.3.1. 1차전3.3.3.2. 2차전3.3.3.3. 3차전
3.3.4. 총평
4. 여담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V-리그의 2024-25 시즌 플레이오프를 정리한 문서.

2. 남자부

2.1. 각 구단별 매직 넘버와 트래직 넘버

정규 리그 종료 기준 / 승점>다승>세트 득실률>점수 득실률>상대 전적순으로 순위를 결정한다.
<rowcolor=#fff> 순위 알파벳 구단 경기 승점 승-패 세트 득실률 비고
1 H 현대캐피탈 25 67 23-2 3.737 [1]
2 대한항공 24 47 15-9 1.439 [2]
3 KB손해보험 25 41 15-10 1.152 [3]
4 우리카드 25 33 12-13 0.855 [4]
5 삼성화재 25 29 8-17 0.727 [5]
6 한국전력 25 24 9-16 0.623 [6]
7 OK저축은행 25 20 5-20 0.516 [7]
파란색: 챔피언 결정전 직행 | 초록색: PO 진출 | 연두색: 준PO 진출 (승점 3점 이내) | 노란색: 진출 실패 | 볼드체: 순위 확정

아래 표시의 알파벳에 해당하는 구단은 최소 수치를 확보한 것이다.
Champion - 정규 리그 1위 + 챔피언 결정전 직행
Runners-up - PO 진출
Home advantage - 준PO 홈 어드밴티지 확보
Qualified - 준PO 진출
Eliminated - 포스트 시즌 진출 실패 확정
Bottom - 최하위 확정
전반기 종료 기준으로는 현대캐피탈과 대한항공이 각각 1, 2위를 수성하는 가운데 (준)플레이오프 진출을 두고 KB손해보험-우리카드-삼성화재 3팀이 경합하는 구도였다.

2.1.1. 정규리그 최종전 경우의 수

2.2. 준플레이오프

2.2.1. 경기 전 전망

2.2.1.1. 3위 팀명
2.2.1.2. 4위 팀명

2.2.2. 경기 내용

2.3. 플레이오프

2.3.1. 일정표

2.3.2. 경기 전 전망

2.3.2.1. 2위 팀명
2.3.2.2. 준PO 승리 혹은 3위 팀명

2.3.3. 경기 내용

2.3.3.1. 1차전
2.3.3.2. 2차전
2.3.3.3. 3차전

2.3.4. 총평

3. 여자부

3.1. 각 구단별 매직 넘버와 트래직 넘버

정규 리그 종료 기준 / 승점>다승>세트 득실률>점수 득실률>상대 전적순으로 순위를 결정한다.
<rowcolor=#fff> 순위 알파벳 구단 경기 승점 승-패 세트 득실률 비고
1 흥국생명 25 58 20-5 2.097 [13]
2 현대건설 24 50 16-8 1.735 [14]
3 정관장 25 47 17-8 1.452 [15]
4 IBK기업은행 25 37 12-13 0.920 [16]
5 한국도로공사 25 26 9-16 0.690 [17]
6 페퍼저축은행 25 25 8-17 0.633 [18]
7 GS칼텍스 25 18 5-20 0.485 [19]
파란색: 챔피언 결정전 직행 | 초록색: PO 진출 | 연두색: 준PO 진출 (승점 3점 이내) | 노란색: 진출 실패 | 볼드체: 순위 확정

아래 표시의 알파벳에 해당하는 구단은 최소 수치를 확보한 것이다.
Champion - 정규 리그 1위 + 챔피언 결정전 직행
Runners-up - PO 진출
Home advantage - 준PO 홈 어드밴티지 확보
Qualified - 준PO 진출
Eliminated - 포스트 시즌 진출 실패 확정
Bottom - 최하위 확정
전반기 종료 기준으로는 흥국생명-현대건설의 선두 경쟁, 정관장-기업은행의 3위 경쟁, 그리고 나머지 3팀으로 요약되는 2강-2중-3약 체제를 보였다. 그러나 4라운드 들어 흥국생명과 현대건설이 하위팀에 발목을 잡히고 기업은행이 연패에 빠진 동안 정관장이 연승을 거두며 치고 올라와 3강 체제로 재편되고 있다.

3.1.1. 정규리그 최종전 경우의 수

3.2. 준플레이오프

3.2.1. 경기 전 전망

3.2.1.1. 3위 팀명
3.2.1.2. 4위 팀명

3.2.2. 경기 내용

3.3. 플레이오프

3.3.1. 일정표

3.3.2. 경기 전 전망

3.3.2.1. 2위 팀명
3.3.2.2. 준PO 승리 혹은 3위 팀명

3.3.3. 경기 내용

3.3.3.1. 1차전
3.3.3.2. 2차전
3.3.3.3. 3차전

3.3.4. 총평

4. 여담

5. 관련 문서


[1] 포스트 시즌 진출 확정(3위 준PO), PO 직행 확보 매직넘버 3, 정규리그 1위 매직넘버 6[2] 최하위 불가 매직넘버 2[3] 최하위 불가 매직넘버 5, 정규 리그 1위 및 챔피언 결정전 직행 불가 트래직넘버 3[4] 정규 리그 1위 및 챔피언 결정전 직행 불가[5] 정규 리그 1위 및 챔피언 결정전 직행 불가[6] 정규 리그 1위 및 챔피언 결정전 직행 불가, PO 직행 불가 트래직넘버 5[7] 정규 리그 1위 및 챔피언 결정전 직행 불가, PO 직행 불가 트래직넘버 3, 포스트시즌 진출 실패 트래직넘버 5[8] 남은 14경기에서 OK저축은행이 모두 승점 3점을 획득한다면 현대캐피탈의 현재 승점인 58점에 도달할 수 있지만 다승에서 밀리게 되므로(현대캐피탈 현재 20승, OK저축은행은 현재 4승으로 최다 18승까지만 가능) 두 팀 간의 순위 역전이 더 이상 불가능하다.[9] 이 시점에서 한국전력이 획득 가능한 최다 승점은 59점으로 현대캐피탈의 현재 승점인 61점을 넘을 수 없다.[10] 이 시점에서 삼성화재가 획득 가능한 최다 승점은 64점으로 현대캐피탈의 현재 승점인 65점을 넘을 수 없다.[11] 상술했듯이 처음 두 세트를 현대캐피탈이 가져오면서 최소 4위를 확보하였으며 우리카드가 최대로 획득 가능한 승점이 69점이기 때문에 3위와의 승점 차이도 3점 이내로 확보하게 되었다.[12] 이 시점에서 우리카드가 획득 가능한 최다 승점은 66점으로 현대캐피탈의 67점을 넘을 수 없다.[13] 최하위 불가(5위 확보), 포스트시즌 진출 확정 매직넘버 4[14] 최하위 불가 매직넘버 1[15] 최하위 불가 매직넘버 2[16] 최하위 불가 매직넘버 5, 정규 리그 1위 및 챔피언 결정전 직행 불가 트래직넘버 4[17] 정규 리그 1위 및 챔피언 결정전 직행 불가 트래직넘버 1, PO 직행 불가 트래직넘버 3[18] 정규 리그 1위 및 챔피언 결정전 직행 불가, PO 직행 불가 트래직넘버 3, 포스트시즌 진출 실패 트래직넘버 5[19] 정규 리그 1위 및 챔피언 결정전 직행 불가, PO 직행 불가 트래직넘버 1, 포스트시즌 진출 실패 트래직넘버 3[20] 이 시점에서 GS칼텍스가 획득 가능한 최다 승점은 53점으로 흥국생명의 현재 승점과 동률 달성은 가능하지만 다승에서 밀리게 되어(흥국생명 현재 18승, GS칼텍스 현재 4승-최다 17승) 두 팀 간의 순위 역전이 더 이상 불가능하다.[21] 이 시점에서 페퍼저축은행이 획득 가능한 최다 승점은 58점으로 흥국생명의 현재 승점과 동률 달성은 가능하지만 다승에서 밀리게 되어(흥국생명 현재 20승, 페퍼저축은행 현재 8승-최다 19승) 두 팀 간의 순위 역전이 더 이상 불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