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미국 의사 면허 시험.2. 상세
3단계에 걸쳐 의사 면허를 부여하는 시험이자, 1차와 2차는 (미국 기준) 재학 중 이루어져 졸업 이후의 진로를 좌지우지 하는 평가 요소이다. 특히 1차 시험의 점수는 레지던시의 합격 여부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들 중 하나로 최근까지 여겨졌다. USMLE은 사실상 레지던트 시험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한국과 일본에서 아랫사람인 전공의를 착취하는 문화가 있는데 반해 미국은 의사가 아닌 다른 일을 하다 뒤늦게 온 사람도 많고,[1] 또한 미국 문화 자체가 나이 의식이 적고 한국이나 일본에 비해 직장에서 군대식 문화가 덜한게 기본인지라... 상당히 수평적인 관계를 유지한다.# 하지만 이쪽도 사람 사는 곳인지라 힘든과와 쉬운과가 있고 한국보다는 워라벨이 좀 더 있는 편이나 내과, 외과계열은 이쪽에서도 근무시간은 헬이다.# 다만 한국과 달리 헬인 만큼 대우는 확실하다.시험 주관 위원회인 National Board of Medical Examiners (NBME)의 발표에 따르면 2022년부터 1차 시험의 원점수(Numeric score)를 더이상 공개하지 않고 합불제(Pass/Fail)로 바꾼다고 한다.# 제도 변경의 이유로는 Step 1 시험의 내용이 Step 2의 내용보다 진료환경에서의 활용도가 떨어진다는 점, 재학생의 삶의 질이 저학년에서부터 지나치게 저하된다는 점 등이 거론되었다. 그 여파는 아직 확실히 알 수 없으나, 학교 자체의 명성이나 연구활동과 같은 요소들과 같은 다른 이력 요소들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더 올라갈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미국 내에서 이름값이 없는 학교의 재학생이나 미국외 학교 재학생들 및 졸업생들에게는 좋지 않은 소식으로 해석되고 있다.
시험은 세 단계로, 1차, 2차, 3차로 나누어져 있다. 각 단계를 최대 수 년의 간격을 두고 치를 수 있으며 응시조건도 다르다. 실기는 폐지되었다.
미국 또는 캐나다 밖의 학교에 재학하거나 졸업한 사람이 USMLE에 응시하려면, 미국과 캐나다에서 인정한 메디컬 스쿨을 특정 학년 이상 재학 또는 졸업하고 개인 역시 ECFMG[2]의 인증을 받아야 한다. 사실 미국은 학교 자체에 대한 기준은 그렇게 빡세지 않아, 정말 심각한 후진국이 아닌 이상 우리가 생각하는 왠만한 중진국 이상에서는 다 가능하다. # 당연히 한국의 모든 의대도 인증되어 있다. 한국인임에도 해외에서 의과대학을 나온 사람이 처음부터 미국에 진출하기 위해 응시하기도 한다. 물론 도피유학이라면 USMLE 합격은 힘들 것이다...
3. 1차 (Step 1)
1차는 2학년을 마치고(몇몇 의대는 3년차에)에 치른다. 해부학, 생리학 등 의료의 기초 과목을 평가하는 시험이다.시간당 44문항 X 7시간 (308문항) 객관식으로 치른다.
보통 7개 섹션에 각 섹션당 40문항으로 280문항이다. 이 중에 80문항 정도는 실험문항으로 다음 시험에 쓸 수 있는지 테스트 용이다. 문제는 실험문항인지 아닌지 알 수 없다는 점이다.
시험의 가장 큰 특징은 A 면 B 이다를 물어보고 답하는 것이 아니라 A 면 어떤 것을 생각 할 수 있느냐를 중점적으로 본다.
보통 문제는 이렇게 나온다.
70세 남성환자가 오줌 누울 때 잘 나오지 않고 요실금같이 오줌이 속옷에 묻는다고 한다. 그의 맥박은 70, 혈압은 130/80, 체온은 37.5도이다. 혈압과 2형 당뇨가 있어서, 약은 처방되었지만 잘 먹지 않는다고 한다. 위 환자에게서 볼 수 있는 다른 특징은 어떤 것인가?
이런 경우, 어떤 질병이지 생각하는 것이 1차이고 다음으로 그 질병에서 나타나는 다른 질환들을 생각해야 한다. 그렇다고 질환이 답이냐면 그것도 아니다. 그 질환에서 특징을 또 다시 생각해야 한다.
즉, 한 문제에서 생각에 생각에 생각을 해서 풀 수 있게 만들어놨다. 이런 문제 200문제 보고 있으면 머리 깨지게 아프다...
PASS/FAIL로, 보통 시험의 60%~65%를 넘어야 PASS를 받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2020년 6월 1일 이전 1차 시험 가이드 | 2020년 6월 1일 이후 1차 시험 가이드[3]
4. 2차 (Step 2)
2차는 CK(Clinical Knowledge), CS(Clinical Skills) 두 개의 시험이었으며 (미국 기준) 3학년을 마치고 4년차를 시작하기 전의 시점에 치른다. CK는 내과, 외과, 소아과, 정신과, 산부인과 등의 지식에 대한 평가 시험이며, 하루 동안 치르는 객관식 시험이다. 355문항 이하이다. 한국내에서도 응시할 수 있다.CS는 모의 환자를 진찰하는 시험이다. CS 시험은 미국 내 5곳에서 실시되며 6시간에 걸쳐 직접 12케이스의 환자를 진료하는 것이다. 스텝 2 CS는 접수 후 1년 이내에 횟수의 제한 없이 응시할 수 있는데 한번 떨어지면 6개월 동안은 재수험 불가이므로 되도록 빠른 응시날짜를 선택한다. COVID-19 사태에 따라 CS 시험은 일시중단되기도 하였고, 이 일시중단 도중 아예 폐지되었다.[4]
2차 CK 시험 가이드 | 2차 CS 시험 가이드
기존에 CS가 담당했던 Non US-IMG에 대한 언어능력 검증은 OET가 하게 되었다.
5. 3차 (Step 3)
3차는 수련받을 예정인 주(State) 면허 시험이다. 2일에 걸쳐 진행된다. 독립적으로 환자를 진료할 능력이 되는지를 평가하는 시험이며, 미국 학생의 경우 레지던시 1, 2년차에 치른다. 국제 학생의 경우 3차 시험에 합격하면 조건에 따라 H1b(근로 가능) 비자를 받을 수 있다. 미국은 USMLE로 중국, 북한 등 경제 제재 국가를 제외한 대부분의 나라 의대 출신들을 받아서 의무 수련 시킨 뒤 면허를 주고 있다. 주(states) 단위로 신청 받고 세부 지역의 병원은 임의이다.3차 시험 가이드
6. 여담
- 의대 정원 확대와 필수의료정책패키지로 의사들이 반발하는 와중에 USMLE KOREA가 접속자 초과로 수시로 마비되고 있다.#
- 'u smile'이라는 드립이 간간히 있다... 그런데 시험의 내용과 난이도를 보면 절대로 웃을 수가 없다. 통과하면 북미권 의사가 될 수 있으므로 행복한 미래를 상상하며 공부하라는 의미일지도?
- 한국 의대를 충실히 이수하고 의사국가시험을 준수하게 통과할 정도라면 기본적으로 한국의 의학교육은 미국을 베이스로 하고 있기에 익숙하다. [5] 다만 토종 한국인이라면 낯선 분야가 좀 있는데, 한국에는 드물지만 미국에는 비교적 흔한 질환들과 의료법 및 의료윤리가 있다. 전자의 경우는 겸상적혈구증후군이나 낭포성 섬유증이 대표적이다. [6] 의료법, 의료윤리는 미국인들의 마인드가 워낙 한국과 차이가 나다보니(..) 직관적으로 생각한게 오답이 많고 많은 공부와 증례를 통해서 익혀야 한다... 사실상 맨땅에 헤딩 수준이라 의외로 복병이라는 말이 많다.
7. 학습 자료
- Step 1 : First aid, U world, Mehlman, NBME모의고사, free120(bootcamp에서 무료 해설을 준다.), amboss, medbullets, anatomy shelf notes(무료)
- Step 2 : BnB, Uworld
8. 관련 문서
[1] 애초에 미국은 대부분이 의학전문대학원 체제로, 가장 어리게 들어와도 대학교 졸업이며 그 외에 석박사 연구나 여러 다른 커리어를 쌓다가 온 입학생들도 아주 많다.[2] Educational Commission for Foreign Medical Graduates[3] 개요에 언급된 이유로 2020년 기준 두가지 가이드를 제공하고 있다.[4] https://www.usmle.org/announcements/?ContentId=309[5] 물론 당연한 얘기지만 익숙하다는거지 고득점은 얘기가 다르다... 한국처럼.[6] 반면 한국에는 비교적 흔하고 문제로 많이 다뤄지는 결핵은 미국 시험에 잘 등장하지 않는 것이 특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