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0 10:20:06

This 커뮤니케이션

{{{#!wiki style="text-shadow: 0 -.5px 0 #4498bc, .5px 0 #4498bc, 0 .5px #4498bc, -.5px 0 #4498bc, -.5px -.5px #4498bc, .5px -.5px #4498bc, .5px .5px #4498bc, -.5px .5px #4498bc, 0 0 2px #4498bc, 0 0 12px #4498bc"
파일:This 커뮤니케이션.jpg
'''{{{#!wiki style="text-shadow: 0 -.5px 0 #4498bc, .5px 0 #4498bc, 0 .5px #4498bc, -.5px 0 #4498bc, -.5px -.5px #4498bc, .5px -.5px #4498bc, .5px .5px #4498bc, -.5px .5px #4498bc, 0 0 2px #4498bc, 0 0 12px #4498bc"''' 서바이벌, 소년만화
'''{{{#!wiki style="text-shadow: 0 -.5px 0 #4498bc, .5px 0 #4498bc, 0 .5px #4498bc, -.5px 0 #4498bc, -.5px -.5px #4498bc, .5px -.5px #4498bc, .5px .5px #4498bc, -.5px .5px #4498bc, 0 0 2px #4498bc, 0 0 12px #4498bc"''' 로쿠다이 마루에이
'''{{{#!wiki style="text-shadow: 0 -.5px 0 #4498bc, .5px 0 #4498bc, 0 .5px #4498bc, -.5px 0 #4498bc, -.5px -.5px #4498bc, .5px -.5px #4498bc, .5px .5px #4498bc, -.5px .5px #4498bc, 0 0 2px #4498bc, 0 0 12px #4498bc"''' 파일:일본 국기.svg 슈에이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발매
'''{{{#!wiki style="text-shadow: 0 -.5px 0 #4498bc, .5px 0 #4498bc, 0 .5px #4498bc, -.5px 0 #4498bc, -.5px -.5px #4498bc, .5px -.5px #4498bc, .5px .5px #4498bc, -.5px .5px #4498bc, 0 0 2px #4498bc, 0 0 12px #4498bc"''' 점프 SQ
'''{{{#!wiki style="text-shadow: 0 -.5px 0 #4498bc, .5px 0 #4498bc, 0 .5px #4498bc, -.5px 0 #4498bc, -.5px -.5px #4498bc, .5px -.5px #4498bc, .5px .5px #4498bc, -.5px .5px #4498bc, 0 0 2px #4498bc, 0 0 12px #4498bc"''' 점프 코믹스
'''{{{#!wiki style="text-shadow: 0 -.5px 0 #4498bc, .5px 0 #4498bc, 0 .5px #4498bc, -.5px 0 #4498bc, -.5px -.5px #4498bc, .5px -.5px #4498bc, .5px .5px #4498bc, -.5px .5px #4498bc, 0 0 2px #4498bc, 0 0 12px #4498bc"''' 2020년 5월호 ~ 2024년 3월호
'''{{{#!wiki style="text-shadow: 0 -.5px 0 #4498bc, .5px 0 #4498bc, 0 .5px #4498bc, -.5px 0 #4498bc, -.5px -.5px #4498bc, .5px -.5px #4498bc, .5px .5px #4498bc, -.5px .5px #4498bc, 0 0 2px #4498bc, 0 0 12px #4498bc"''' 파일:일본 국기.svg 12권 (2024. 05. 02. 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발매

1. 개요2. 등장인물3. 설정

[clearfix]

1. 개요

일본의 서바이벌 만화.

점프 SQ에서 연재했으며 2024년 3월호로 완결되었다. #

2. 등장인물

3. 설정



[1] 첫 등장부터 구 일본 연구소가 이미 파괴된 뒤였다고 오해하고 더 이상 밥을 먹을 수 없게 되었다고 착각하곤 자살했다가 우연히 헌트리스 중 한 명인 요미에게 발견된 거다.[2] UNA시절엔 급히 퇴각하는 시점에 부하의 다리를 쏴서 미끼로 만들고 폐급이거나 물자를 나눠야하는 상황에선 친구고 전우고 죽인다. 심지어 인간관계 같은 대화로 어느 정도 되돌릴 수 있는 것도 결국은 응어리가 남는단 이유로 죽이고본다.[3] "애매모한 자기주관적 해석을 전제로한 대화로 분쟁이 해결될거라 생각하나?" 라는게 본인의 지언. 커뮤니케이션 그 자체를 꼬집는듯한 명언에 그의 생각과 만화의 주제를 엿볼 수 있다.이것이 소통이다(절망편)[4] 정확히는 8시간을 들여서 모든 신체 상태가 9시간 전으로 리셋 되는 것. 그렇기 때문에 가짜 데르하와 싸울 땐 가짜 데르하가 일부러 헌트리스들을 일부러 신체불수로 만들고 목숨만 붙여둔 뒤 그 상태로 한 시간이 지나서 모두 영원히 신체불수가 될 뻔 했다.[5] 도중에 생존자들을 만나기도 했는데 그 생존자들이 환경파괴를 해가며 살아가고 있었단 사실을 알자마자 다 죽여버리기도 했다.[6] 요시나카가 조종하던 두 다리 이페릿트는 광자로 생물에게 기억을 주입하는 능력을 지니고 있었고, 가짜 데르하를 설득하려고 광자에 이 때까지 있던 데르하의 기억을 광자화 해뒀었는데, 기찌 데르하를 쓰러뜨리고 두 다리 이페릿트도 쓰러뜨린 뒤에도 그 광자가 주위에 남아있었고, 데르하가 세상을 구할 수 없다는 가짜 기록을 만들려고 촬영했던 비디오 카메라에 그 광자가 흡수되어 있었다가, 헌트리스들에게 세상을 못 구하는 이유가 되는 영상을 보여줬다가 그 광자가 헌트리스들에게 흡수되어 그 동안의 데르하의 악행이 까발려졌다.[7] 소장 이외에도 연구소를 유지하기 위한 직원들이 있었는데 그들이 데르하의 실패를 이유로 원래 소장을 탄핵하고 자리를 꿰찬 것으로 보인다.[8] 마음이 있었던 때는 제대로 된 판단도 하고 전술도 제대로 이용하면서 싸웠는데, 마음을 지운 뒤로는 그냥 개돌하다가 전멸하는 경우가 많아졌다.[9] 독가스를 내뿜는 거대 이페릿트의 독가스를 조금이라도 막기 위한 것.[10] 사실 아직 살아남아 숨어살고 있던 인류가 5000명 이상 있었다.[11] "시간이여 멈추어라, 너는 참으로 아름답다." 광기에 빠진 데르하의 기억을 지우고 헌트리스와의 관계를 원래대로 되돌리려고한 소장의 시도를 괴테의 희곡에 비유한것.[12] 이에 대한 데르하의 반응은, 본래라면 이런짓(연구소 몰살후 식량독점)은 첫날부터 시도했을 피도 눈물도 없는 나같은 종자에게 '헌트리스들과 함께 이페리트의 근본을 근절' 같은 터무니없는 도박을 선택지로 고려하게 만든 시점에서 매우 우수한 소장이였다며, 데르하에 의한 연구소 몰살을 이날 이순간까지 미룬것이야 말로 그의 업적이자 성과라고 평가한다.[13] 예를들어 신부가 데르하의 목을 잘라 데르하가 죽었다고 생각되자 화풀이로 시설을 때려부수는 요미를 구경하겠다며 남기로 하는데, 요미가 완전히 의욕을 잃고 절망에 빠져있자 재미없다고 말하면서 전선으로 돌아갔다. 실제론 요미가 자포자기로 사람들이나 다른 시설들 때려부술까봐 걱정되서 그랬던 모양.[14] 데르하가 쏴 죽인 자리만 검은 눈으로 변했다.[15] 데르하의 초고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사고와 그것이 팀킬이라도 바로 실행에 옮기는 광기에 반했었다는 모양.[16] 이 과정에서 데르하에게 입막음 당할 뻔하거나, 오히려 교수형 당할 뻔하기도 했다.[17] 참수 직후 생체 접착용 스프레이라는걸로 목의 괴사를 막고 외과수술에 들어갔다. 한랭지가 아니었다면 피를 너무 많이 쏟아서 소생에 실패했을 거라고 한다.[18] 신체가 훼손 되었을 때를 대비해서 이식할 신체 부위를 복제해둔 건데, 학구적인 목적으로 쓰려고 뇌도 복제해두었었단 설정.[19] 요시나카의 욕망은 크게 2가지이다. 하나는 차신이 가진 초능력을 인정받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이 힘을 써서 누군가를 구하는 영웅이 되고 싶다는 것이다. 처음엔 여기에 필요한 구원받는 자 역할을 헌트리스...그중에서도 특히 무츠에게 대입하며 헌트리스들을 도우려고 했지만 이페리트가 되고 데르하와 결전을 벌이면서 무츠가 사실은 자기를 믿지도않고 도움이 필요하지않다는걸 깨달아 내심 절망한 상태. 헌데, 그와중에 데르하가 남들은 믿어주지 않았던 요시나카의 마음을 읽는단 능력을 믿고있었다는 듯이 도움을 요청하자, 혹하는 마음에 돕기 시작했고, 여기에 데르하가 요시나카의 독심 능력을 이용한 함정을 파서 살아남고자 하자, '내가 여기에 당해주는 것으로, 자신의 능력을 믿어주는 데르하를 구할 수 있다'라는 게 되어서 모든 미련을 해소한 것.[20] 생존자 그룹은 물을 전기분해하여 산소를 얻는 방법을 쓰는둥 지능적인 모습을 보여줬고 무엇보다 위의 방법을 안써도 아직도 생존해있었다. 약탈자 패거리는 당연히 좋다고 물을 마셔댔다. 데르하 입장에선 이들을 먼저 만났어야 했다.[21] 일본에선 바이러스를 "변"이라고도 한다.[22] 인간, 동물들의 사냥법, 그리고 전쟁에서도, 일부러 한 줄기의 퇴로나 희망을 보여줘서 사냥감 스스로가 자멸하도록 유인하는건 전통적인 사냥 방법이다.[23] 이페릿트화해서 힘을 얻었으면 이페릿트와 싸우면 될 텐데, 굳이 인신공양을 고른 것으로 봐서 이미 인간의 마음을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