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7-31 01:07:57

Team King/2015 시즌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Joy Dream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60012> 파일:external/lol.esportswikis.com/300px-Joy_Dreamlogo_square.pngJoy Dream
역대 시즌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eam King 2014
2015
ZTR Gaming 2016
Now or Never 2017
Joy Dream 2017 2018
}}}}}}}}} ||
Team King의 역대 시즌
2014 시즌 2015 시즌 2016 시즌
1. 개요
1.1. 2015 LPL Spring1.2. 복잡한 리빌딩1.3. 2015 LPL Summer
2. 팀별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Team King의 2015년에 대해 서술한 문서.

1.1. 2015 LPL Spring

LPL 스프링 정규시즌에는 중국 팬들의 예상과 달리그리고 한국 팬들의 예상대로탈탈탈 털리기 시작했다. 개인기량은 그 손가락 좋은 중국에서도 상위권이지만[1], 운영과 한타, 픽밴에서 말 그대로 NLB급 호오구(...)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한마디로 1부리그 적응 실패. 강팀을 상대로 비기는 모습도 보여주었지만, 곧바로 하위권 팀에게 비겨 승점을 나눠주었다. 결국 무재배 성애자 OMG의 11무에 이어 10무를 기록하며10무 찍은 팀이 5팀인 것은 넘어가자 7위로 시즌을 마감했다. 사실 답이 없는 M3와 온갖 악재가 겹친 로얄 클럽이 든든히 깔아주지 않았다면 승강전을 가도 이상하지 않았다. 하지만 후반에 부쩍 패가 줄고 무가 늘어나며(...) 상승세를 탔다는 점이 위안.

사실 LPL이 과도한 호전성을 띠는 것은 맞지만 우르르 메타라는 표현은 편견의 산물이다. 시즌 4부터, 아니 그 전부터 로얄과 OMG 등의 팀들은 싸움을 자주 열기는 했지만 오브젝트 등 목적을 가지고 싸움을 열었다. 시즌 5에 한국 선수들을 영입한 중국 상위권 팀들은 말할 것도 없다.[2] 하지만 King은 WE와 함께우르르 메타 수준에 머물러 있는 팀이 맞다. 어떻게 보면 똑같이 호전적이어도 그 중에 운영을 못하는 팀이 따로 있는 것이므로 King의 존재와 그 성적이 LPL 상위 팀에게 운영이란 것이 존재한다는 증거물이라고 볼 수도 있다.

포스트시즌에서는 정규시즌 2위지만 하락세였던 스네이크를 만나 풀세트 접전 끝에 탈락했다. 나름 선전했다고 볼 수도 있지만 여전히 운영과 한타에서 헬게이트가 열려 초반에 다 잡은 게임도 내주는 자비로움을 과시했다. 좀처럼 단점을 보완하지 못하고 있기에 한국 코칭스태프의 영입 없는 순혈 중국팀이 서머시즌에 성과를 낼 수 있을지 의문. 그런데 여기 코치가 삼블 코치였던 반바지 최명원 코치라는 말이 있다. 이 답이 없는 운영을 보면 역시 삼블은 선수빨이었나 여러 모로 GSG, 삼블을 거치며 명코치로 인정받았던 최명원 코치의 명성에 어울리지 않는 팀이다.

1.2. 복잡한 리빌딩

그리고 시즌 후에 로스터를 교체했는데 그 소식이 충격적이다. 다름이 아닌 Royal Club과 로스터를 트레이드해 Royal Club 선수들로 로스터를 채운것이다.따라서 스네이크보다 개인항목이 먼저 만들어지는 기염을 토했다

현재 상황이 시드권, 서킷 포인트 문제가 얽혀 상당히 복잡하고 한국에서도 이를 기사로 다룰 정도로 시끄러운데, 점점 퍼지고 있는 루머는 여기에 관련된 팀인 로얄 클럽, 팀 킹, 감티의 소유주가 실제로는 한 사람이라는 것이다.[3] 핵심은 실질적으로 소유하던 3팀 중 가장 선수들의 커리어가 화려한 로얄 클럽이 나메이 계약 사태와 인섹 대강하 사건(...)이 겹쳐 시드를 잃는 사태가 벌어지자 로얄 클럽에 다시 한 번 온전한 전력으로 1부리그에 참여할 기회를 주는 동시에[4] 3팀을 사실상 2팀으로 정리하였다는 것. 로얄에서 가장 부진했던 장인형 미드라이너 Corn을 팀 킹의 미드였던 어쌔신과 경쟁시키고, 킹의 미드 공백은 감티에서 사람구실을 하던 탑미드 듀오를 빼와 채우고 감티의 나머지 멤버들은 로얄 멤버들의 서브신세가 된 것으로 보인다.

현재까지의 정보를 종합하면
구 SH Royal 팀원 → Team King
Team King 팀원 → Royal Never Give Up(새 팀의 시드는 원래 VGP의 것)
구 Gamtee 팀원 → 나머지 두 곳으로 쪼개짐

번외로
구 VG.P : (스폰서를 세탁하고?) Unlimited Potential로 팀명을 바꿈.[5](새 팀의 시드는 원래 Gamtee의 것)

이렇게 되면 원래 강등이 되었던 것은 로얄 클럽이고 최종적으로 시드를 잃고 팀이 분해된 것은 Gamtee이다. 게이머들의 관점에서 최대 피해자는 승강전에서 로얄을 이겼으나 자신들이 찢어지는 Gamtee 선수들이 되는 셈. 다소 억울할 법도 하다. 다만 Gamtee의 에이스였던 미드는 오히려 RNG의 주전미드가 되었고 탑 역시 RNG에서 주전경쟁을 할 가능성이 높은 반면 나머지 선수들은 아무래도 이들의 발목을 잡는 선수들이었다는 모양.뭐 그게 아니라는 것을 증명하려면 여기서 주전경쟁해서 나메이와 코리안 듀오를 이기는 수밖에 여기서 결국 '나머지 선수들'은 2015년을 끝으로 1부리그 경력이 쫑난 반면, 미드는 샤오후, 탑은 렛미로 후일 많은 영광을 함께하게 된다.

그리고 로스터 발표를 통해 확정난 로스터는 이렇게 되었다.

구 SH Royal 팀원 + 前 Gamtee의 서포터,정글러 → Team King
미드를 제외한 Team King 팀원 + Gamtee의 탑,미드 + Godlike → Royal Never Give Up
Team King의 前 미드 → 2부리그로 강등된 Star Horn Royal Club(...)

결국 Gamtee선수들은 원딜을 제외하고 1부리그 자리를 찾은 셈이 되었다.

이후 항목은 Royal Club 출신 멤버들이 합류한 새 Team King에 대해 서술한다. 기존 King 멤버들의 행적이 궁금하다면 Royal Club 항목으로.

1.3. 2015 LPL Summer

열린 LPL Summer 1주차 경기에서 인섹,제로가 빠지고 나메이마저도 개막전에서 빠진 여파인지 2패로 시작했다. 그리고 2주차에서도 Royal Never Give Up과 Snake에게 패배하면서 4패로 단독꼴지를 달리기 시작했다. 그나마 3주차와 4주차에서는 3무를 기록하며 연패는 끊었지만 여전히 꼴지..였으나 5주차에서 1승1무1패를 기록하며 첫 승을 챙기고 꼴지도 면하게 되었다.꼴지와 전적은 동률인게 함정

이후 시즌을 잘 풀어나가 1부에 남기라도 했으면 다행이겠지만 끝없는 나락으로 떨어져 강등전을 치루게 되었다. 상대는 2DG로 3:1로 깔끔하게 패배하고 강등 확정. 새로 시드를 사서 멤버들을 옮길것인지는 두고 보아야 할듯.

일단 제로는 강등 확정 후 일찍이 팀을 떠났고, 인섹과 나메이는 잠잠하더니 갑자기 12월에 구단주가 같은 것으로 추정되는 로얄 네버 기브 업으로 옮겨갔다. 결국 팀 이름을 ZTR로 개칭한 뒤 와치와 꿍, 한국인 미드 정글 듀오를 영입했다. 그리고 로얄 네버 기브 업에서 Letme와의 경쟁에서 밀린 Skye를 다시[6] 데려왔으며, 주전 봇듀오 또한 신인이기에 지난 시즌의 팀 킹과의 연속성은 서브멤버를 공유한다(......)는 것을 빼면 0에 가깝다.RNG의 화려한 라인업을 보면 ZTR은 희생된거다

2. 팀별 둘러보기

파일:LPLOLDLOGOWHITE.png LPL 2015 시즌 팀별
파일:380px-LGD_Gaming_allmode.png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EDG_logo.png 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 파일:Qiao_Gu_Reaperslogo_square.png
LGD EDG IG QG
파일:380px-Snake_eSports_Logo_notext.png 파일:342px-VICI_Gaming_allmode.png 파일:273px-Oh_My_God_allmode.png 파일:Masters_3logo_square.png
SS VG OMG M3
파일:WE.webp 파일:external/s.yimg.com/8go1ob3zddf07hsmh4cgc418ntjimm5.png 파일:380px-Team_King.png 파일:Unlimited_Potentiallogo_square.webp
WE RNG KNG UP
파일:Star_Horn_Royal_Club_Logo.webp
SH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50%;
해당 팀별 목록은 2015년 월드 챔피언십에 진출하는 데 성공한 팀들의 시드별 진출 순위, 따낸 서킷 포인트 점수와 리그 최종 등수 조건에 따른다.


[1] 특히 스네이크와의 플레이오프는 말그대로 개인기량빨로 이긴 모습을 보여줬다.[2] 물론 맨날 게임이 뒤집어지니 시청자들 입장에서는 못해보이기도 했다.그리고 IEM에서(...)[3] 여기에 얽혀든 나머지 한 팀인 VG 2팀은 서킷포인트 매매 혹은 1팀인 VG와의 관계 청산 문제로 얽혀들었다는 가설이 존재하며 시드권만 팔고 다시 샀을 뿐 이 과정에서 나머지 3팀과 로스터가 섞여들어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4] 이 루머가 사실이라면 나메이 계약문제 발생 당시부터 이 사태를 각오했다 하더라도 이상할 것이 없을듯.[5] WE 아카데미가 M3가 된 것과 비슷한 경우.[6] 원래 스프링에 팀 킹의 탑라이너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