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4 15:15:43

Spookiz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스푸키즈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Friday Night Funkin'의 곡에 대한 내용은 Friday Night Funkin'/스테이지 문서
번 문단을
Spookeez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SBS 로고.svg파일:SBS 로고 화이트.svg 시사교양 프로그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스푸키즈(2015~)
Spookiz
파일:5b582a93b83761232359.jpg
1. 개요2. 상세3. 등장 캐릭터
3.1. 캐비(Kebi)3.2. 큐라(Cula)3.3. 콩콩(Kong Kong)3.4. 프랑키(Frankie)3.5. 지지(Zizi)3.6. 리퍼 선생님3.7. 수위 아저씨3.8. 김유식3.9. 극장판 등장인물
4. 기타

1. 개요

주식회사 키링(KeyRing)이 제작한 한국 애니메이션. 이름은 Spooky(으스스한)와 Kids(아이들)의 합성어이다.

한밤 중 인기척이 사라져버린 초등학교[1]에서 꼬마 몬스터들이 학교 곳곳에서 깨어나 그들만의 학교생활을 보여주는 호러 슬랩스틱 코미디물. G BUS TV의 LCD에서 간간이 나오는 것 때문에 수도권 사람들에게 잘 알려져 있다. 프레임이 뚝뚝 끊긴다는 인상이 강한데 버스에서 틀어주는 것에는 생략하는 부분이 있기 때문이다.

2. 상세

롯데 캐시비의 광고[2]에도 나와서 그런지 캐시비 홍보캐릭터[3]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다. 물론 캐시비 광고와 본편 외에도 2014년에는 2D로 제작된 버스 안전 홍보 애니메이션이 방송되고 있었다.

퀴즈앤에서 마스코트로 사용하고 있었으나, 2024년 초 오리지널 캐릭터들로 마스코트를 변경하면서 현재는 사용하고 있지 않다.

전체적으로 라바의 노선을 밟을 것으로 보인다. 어린이 대상 3D 컴퓨터 애니메이션인 점도 그렇고 G BUS TV에서 틀어준다던가, 적극적인 해외 진출을 노린다거나 하는 점이 그렇다.[4] 교육적인 것과는 거리가 먼 재미 위주의 내용 구성도 라바와 유사하다. 또한 대사가 없는 무언극이라는 점 까지. 다만 라바의 경우는 라바 아일랜드부터 대사를 하는 캐릭터가 생겨났고 스푸키즈 또한 극장판에선 다들 잘만 말한다.

2014년 9월 17일부터 매주 수요일마다 에피소드 하나씩 유튜브 채널에 올려지고 있다.

2015년 4월 12일로 에피소드 26으로 시즌1을 끝낸 상태이다. 시즌 2를 제작중이라 하고 추후 시즌 2 업로드를 공지하겠다고 한다.

2015년 11월부터 TV에 진출했으며 새 에피소드도 만들어지고 있다.

2016년 1월 28일에 시즌2가 업로드되었다!

2016년 8월 23일에 23화를 끝으로 시즌 2를 끝냈으며 23화가 마지막이 될 예정이였으나 WildBrain 공식 채널에서 24화가 업로드되었다.[5]



2019년 7월 3일, 유튜브에서 극장판 트레일러가 떴다. 그런데 아직까지는 일본에서만 상영하였다. 이는 일본 유나이티드시네마와 계약을 맺고 2019년 10월 25일 일본에서만 세계최초 극장 개봉한 셈이다. 극장판 본편엔 캐릭터들에게 대사가 존재하며 낮 배경에 다른 인간 캐릭터들도 등장한다. 주제가는 MONKEY MAJIK의 Bitten by You. 가사를 보면 하나에 대한 큐라의 심리가 단순한 우정이 아닌 사랑에 가깝게 묘사되어 있다.



그리고 2020년 7월 24일에 유튜브에 풀영상이 공개되었다. 영상은 영문 음성이다. 한글 자막도 제공이 되었다. 국내에서도 2020년 8월 경에 '스푸키즈 극장판 비밀과외'라는 이름으로 한국어 더빙과 함께 VOD 공개가 되었다.

극장판 공개 이후로는 시즌 4가 업로드되었으며, 대사는 여전히 없지만 성우들이 모두 극장판 성우로 변경되었다.[6] 또한 새로운 레귤러 캐릭터로 검은색 강아지 캐릭터가 추가되었다.

3. 등장 캐릭터

파일:external/www.keyringstudio.com/1890126643_VfOj9BIa_spookiz_poster01.jpg
왼쪽부터 큐라, 콩콩, 캐비, 지지, 프랑키.[이미지_출처]

캐비가 9살 생일을 자축하는 편이 있어 그를 포함한 아이들 모두 9살인 듯 하였으나, 공식 계정에 따르면 캐비 빼고 모두 10살이라고 한다.[8] 극장판에서는 비중이 큐라한테 많이 집중되어 있는 탓에 나머지 캐릭터들은 비중이 고만고만하고 대사량도 많은 편은 아니다.

여담으로 공식 설정에 나온 캐릭터들의 키가 아무리 다들 초등학생 정도의 나잇대라고 해도 기이할 정도로 작게 나와있다. 특히 67~68cm는 돌 지난 아기 수준이다.

3.1. 캐비(Kebi)

파일:스푸키즈 캐비.p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캐비(Spookiz)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큐라(Cula)

파일:spookizcula.p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큐라(Spookiz)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콩콩(Kong Kong)

파일:스푸키즈 콩콩.p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콩콩(Spookiz)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4. 프랑키(Frankie)

파일:스푸키즈 프랑키.p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프랑키(Spookiz)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5. 지지(Zizi)

파일:스푸키즈 지지.p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지지(Spookiz)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6. 리퍼 선생님

이미지 출처
파일:external/pbs.twimg.com/BtR4Ep7CEAETGSz.jpg
모티브 그림 리퍼 또는 사신
사는 곳 과학실
성우 홍범기

모티브는 그림 리퍼 또는 사신 + 학교 선생님. 거주지는 학교의 과학실이다. 극장판에선 리퍼쌤이라고 불린다. 성우는 홍범기. 지지와 마찬가지로 외부에서 강한 충격을 받으면 신체가 분리되는데, 지지처럼 신체의 한 부분이 떨어져 나가는 것을 넘어 완전히 산산조각 난다.[9] 어째서인지 분명 해골인 텐데도 화장실에 가는 에피소드가 있다. 한 교실의 선생이니만큼 보통 에피소드의 최종 보스로 나오는 경우가 많다. 주로 하는 일은 말썽을 피우는 등장인물들을 하나하나 갈궈서 잡아주는 역할. 눈치가 빠르고 행동이 잽싸서 어떻게든 엇나가보려는 학생들을 귀신같이 잡아낸다.[10] 생긴 것과 다르게 은근히 유머감각이 있어서, 한 에피소드에서는 뒤에서 수업 중 춤판을 벌이던 학생들에게 춤을 추며 다가가 혼내는 등 유머러스한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간혹은 댄스파티를 즐겨 하며 같이 놀아주기도 하는 편. 이 외에도 학생들 사이에서 뭔가 유행하기 시작하면 본인도 거기에 귀신같이 편승하여 같이 어울린다. 참고로 검은 로브 안에는 파란색 사각팬티 한 장만 걸치고 다닌다(...). 한술 더떠서 극장판에서는 아무것도 안걸치고 있다. 사는 곳은 과학실로, 낮 동안엔 뼈대 모형으로 잠자면서 지낸다.

극장판에서도 본편처럼 좋은 선생님의 모습을 보여주며, 인간들의 위협으로부터 아기 시절의 괴물들을 보호하며 다니다 본편의 배경인 초등학교를 발견해 그곳에 자리잡은 것으로 나온다. 사실상 괴물들의 양아버지나 마찬가지인 셈. 또한 본편에는 나오지 않았던 낫을 꺼내는 능력도 공개되었는데, 작중 퇴마사에게서 큐라를 지키기 위해 낫을 꺼내들어 큐라가 도망치도록 시간을 번다. 사족으로 이때 낫을 꺼내드는 연출이 상당히 박력있고 간지난다. 다만 전투력은 별로인지 결국 퇴마사를 상대로 시간을 오래 끌지 못하고 무력화되었다. 이후에는 산산조각이 난 모습으로 상자에 담겨져 트럭의 철창속에 갇힌 학생들 곁에 내동댕이 쳐진다. 다행히도 결말부엔 지지가 다시 조립해서 회생한다.

옷이 벗겨졌더니 "해골" 이라고 말했다.

3.7. 수위 아저씨

파일:스푸키즈 수위.jpg
어느 학교 수위와 다름없이 저녁에 교내를 순찰하여 이상이 있는 지 확인하고 없으면 교문을 잠그고 돌아가는 사람. 이 사람이 교문을 나서는 순간 매일 밤마다 스푸키즈 아이들과 리퍼 선생님의 학교생활이 시작된다. 애니메이션이 괴물들을 주로 다루다 보니 나오는 일이 거의 없지만 괴물 아이들과 (도중에 나타난 리퍼 선생님과) 함께 핼러윈 댄스파티를 즐기다가 아침에 교실에서 깨어나거나 리퍼 선생님이 출근 준비를 하다 넘어져서 떨어트린 오른쪽 팔뚝뼈를 순찰하다 발견하여 주워간다던가 하는 등 일부 에피소드에서 비중 있게 등장하는, 본 애니메이션 유일무이의 인간 캐릭터.

극장판에선 퇴마사에게 전화해서 괴물들을 고생시킨 만악의 근원이지만, 비중이 적어 중반부부턴 안 나온다(...).

위 영상을 보면 댄스파티를 좋아하는 듯 하다.

3.8. 김유식

수위 아저씨와 함께 2번째로 출연한 인간이나, 공식 에피소드가 아닌 번외나 디시콘 등에만 출연한다.

당연히 본편에서 만든 캐릭터가 아니라 디시인사이드의 설립자 김유식이다.(...) 원래 스푸키즈와는 아무런 연관도 없지만 2017년 스푸키즈의 제작진이 스푸키즈 캐릭터들이 김유식을 두들겨패는 짤방을 만들어 올리곤 스푸키즈콘이 기본 디시콘으로까지 등록되면서 졸지에 명예 스푸키즈 캐릭터 취급을 받게 되었다. 스푸키즈 캐릭터들은 덩달아 디씨충이 되었다

3.9. 극장판 등장인물

4. 기타

2014년 8월 페이스북 공식 계정으로 스푸키즈 캐릭터들의 생기부가 공개되었다.[15]

필름북 1,2,3권이 발행되었다.(2016년 2월 18일)

2017년 스푸키즈 디시콘이 출시되었다. 유동도 사용 가능하여 많은 유동닉 유저들이 애용중이다.

2017년 3월 스푸키즈 캐릭터들이 디시인사이드에서 갤질하다 접속이 지연되자 분노해 몰래 지나가던 유식대장을 김치싸대기로 응징하는 영상이 힛갤갔다. 그것도 실제 Spookiz 제작진들이 만든 영상이다!출처[16]

2017년 5월에는 아예 유식대장이 스푸키즈 캐릭터들에게 험담을 듣거나 쳐맞는 등의 험한 꼴을 당하는 디시콘이 나왔다(...).

일본에 진출해 MUSIC B.B라는 방송에서 오프닝 담당 캐릭터를 맡고 있다.# 이 외에도 극장판 역시 일본에서 최초 공개되고 유일하게 극장 상영까지 하는 등 은근 일본에서 인기가 있는 듯.

2019년 12월에 스푸키즈 유튜브 채널에 스캣맨 존Scatman(Ski-Ba-Bop-Ba-Dop-Bop)을 리믹스한 영상이 올라왔다.#

애니메이션 속 각 챕터에서 칠판에 써진 글씨를 보면 외계어로 쓰인것 같지만, 사실 한국어가 변형되어 있는거다.[17] 여담으로 2015년작 치고는 FPS가 매우낮다. 재작비 아깝다


[1] 극장판에서 보라 초등학교라고 나온다.[2] 이것도 G버스에서 틀어준다. 롯데계열의 세븐일레븐, 롯데리아, 엔제리너스 커피, 롯데월드, 롯데시네마, 마지막으로 버스에서 마스코트 꿀벌이랑 같이 노는(?) 광고가 특징.[3] 물론 광고에도 나오지만 홍보 캐릭터는 따로 있다. 당연히 같이 영상에 나오는 꿀벌이다.[4] 스푸키즈 쪽에선 일본 쪽 진출을 크게 노리고 있는건지 일본 TV 프로그램의 오프닝 담당 캐릭터로도 나오고 극장판도 일본에서 최초이자 유일하게 극장 상영했으며 극장판에 등장하는 학생들도 한국보단 일본 학생에 가깝다. 제작사 측의 적극적인 홍보와 귀여운 비주얼 덕분에 일본인들에게 꽤나 먹혀들었는지 일본산 스푸키즈 팬아트가 의외로 꽤 많다.[5] 1분 32초까지.[6] 이전 시즌과 비교해보면 시즌 4부터의 큐라에게서 엄상현 성우의 음색이 매우 명확하게 들린다.[이미지_출처] http://www.keyringstudio.com/bbs/board.php?bo_table=news&wr_id=8[8] 하지만 정작 스푸키즈 극장판에서 큐라는 자신이 하나 앞에서 "109살"이라 직접 언급한다.[9] 체육 시간 에피소드에 해당 장면이 위에 나온다. 공을 막으러다가 사신 선생님이 산산조각 나는데, 선생님이 부서진 것을 보고 겁먹은 큐라와 콩콩이 해골을 하나하나 끼워 맞추는 장면이 인상적이다.[10] 다만 한계는 있는 모양인지, 서술한 체육 시간 에피소드에서 큐라와 콩콩이 돌에다 색칠해서 만들고 프랑키가 강슛으로 날려버린 축구공을 손짓으로 멈추는가 했지만 바로 얻어맞고 산산조각 난다.[11] 가히 ADHD에 버금가는 수준으로 개판인 집중력에 큐라가 완전히 질려버려 바락바락 성을 내다가 무의식적으로 최면술을 걸어버리게 된다.[12] 하지만 사건이 종결됨에도 큐라는 여전히 책상의 낙서와 두고 간 스마트폰, 그리고 유일한 인간 친구였기 때문에 아직까지 하나를 잊지 않고 있다.[13] S라인의 톤과 거의 일치한다. 사족으로 본작에서 리퍼쌤도 중복으로 맡았다.[14] 리퍼의 낫 공격을 피지컬로 죄다 피하면서 결국 이기고야 만다.[15] 인적사항과 학적사항, 종합평가에 관해 꽤나 디테일하게 써뒀다.[16] 김유식이 댓글에 무려 만두 먹다 죽은 귀신으로 고정배역 주세요.라는 말을 남기기까지 한 건 덤.[17] 대표적으로 스마트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