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7 10:32:37

Shub Niggurath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크툴루 신화의 아우터 갓}}}에 대한 내용은 [[슈브 니구라스]]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슈브 니구라스#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슈브 니구라스#|]]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크툴루 신화의 아우터 갓: }}}[[슈브 니구라스]]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슈브 니구라스#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슈브 니구라스#|]]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최초 수록 버전 펌프 잇 업 PRIME 2
아티스트 nato
비주얼 YSJ
BPM 220
채널 Original / Prime 2
레벨 데이터 ※PHOENIX 기준
타입 레벨
Normal Single 12 / 16 / 19 / 21 / 24
Double 18 / 23 / 26
Quest Zone[1] Double 17 / 23 / 27 / 28[2][3]
Short Cut Single 18 / 21
Double 23
채보 제작자
타입 레벨 및 제작자
Normal S12 / S16 / S19 / S21 / S24 EXC
D18 / D23 / D26
Quest Zone D17 / D23 / D27 / D28
Short Cut S18 / S21 NIMGO
D23

1. 개요
1.1. BGA
2. 채보 구성
2.1. 아케이드2.2. 삭제된 채보2.3. 숏 컷2.4. 퀘스트 존 전용 채보

1. 개요

펌프 잇 업 시리즈 역대 보스곡
{{{#!folding [ 열기 / 닫기 ] 1st

Hypnosis
2nd

Extravaganza
Clon & Sechskies Remix
3rd

그녀는 피자를 좋아해
Turkey March
3rd S.E

Mr.Larpus
Perfect Collection

SLAM
Extra

Holiday
Rebirth

Vook
Will o' The Wisp
Prex 3

Get The Party Started
Exceed

Dignity
Exceed 2

Canon-D
Tream Vook of the war
Zero

Love is A Danger Zone pt.2
Love is A Danger Zone 2 Try To B.P.M
NX

Chimera
Bemera
(NXSB)[1]
NX2

내 맘이야
Banya-P Guitar Remix
NXA

Final Audition Episode 2-X
Trato De No Trabarme
(Tornado Feet)[2]
Fiesta

Vacuum
Fiesta EX

Cleaner
Vacuum Cleaner
Fiesta 2

Ignis Fatuus
(Hot Issue)[3]
Prime

1950
PARADOXX
Prime 2

Shub Niggurath
Shub Sothoth
(You can't beat EXC)[4]
XX

1949
ULTIMATUM
ERRORCODE: 0
(Windforce steps; therefore Skeptic exists)[5]
PHOENIX

KUGUTSU
Neo Catharsis
Appassionata
1948
관련 틀 시리즈 개관 / EZ2AC / 관련 문서
범례: 리믹스·풀 송, 번외 곡
[1] Final Audition Episode 2-2, NX 해금 채보.이후 미션용 채보로 변경.
[2] 월드맥스 채보. 피에스타 EX부터 D25로 정식수록
[3] D26 한정, 피에스타 2 1.50 패치로 정식 등장
[4] Shub Niggurath, 퀘스트 존 전용 채보
[5] Skeptic, 미션 존 전용 채보
}}}||


펌프 잇 업 PRIME 2부터 수록된 펌프 잇 업 프라임 2의 수록곡. nato크툴루 신화 시리즈 제 2작이다. 슈브 니구라스에서 따왔다.

프라임 2의 1.06 패치로 등장했다. Yog-Sothoth의 후속곡이자 프라임 2의 아케이드 보스곡이다. 처음 출시되자마자 더블에 26레벨짜리 고난이도 채보를 들고 나왔으며, 숏컷에서도 D23이라는 최고 레벨을 달성했다. 싱글 채보도 만만치 않은데, 특히 아케이드 S24와 숏컷 S21의 경우 각 레벨대에서 상위권을 맡고 있을 정도로 강력하다.[4]

이후 2.05 업데이트로 요그 소토스와 리믹스되어 Shub Sothoth라는 곡이 생기고, 퀘스트 존에서 무려 27레벨, 28레벨이라는 최고난이도의 채보가 등장함으로써 프라임 2 버전 공식 최종보스곡이 되었다.

여담으로 곡 제목인 Shub Niggurath의 'Niggur'를 이용하여 인종차별적 드립을 치는 사람이 몇 있는 듯. 이에 유튜버 Jboy는 해당 드립을 치는 사람을 차단하겠다는 경고를 내렸다.

추후 nato가 밝히길 이 곡을 초기 버전에는 BPM 200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또한 PIU 수록 버전과 달리 롤러코스터 구간 3초가 있다. 프로토타입 들어보기.

1.1. BGA


2. 채보 구성

2.1. 아케이드








FEFEMZ* 더블 26 5배드 최초 실버 S 랭크 영상.

중반 떨기+Windmill 구간을 넘긴 이후에 나오는 긴 폭타로 승부하는 채보. 싱글 24와 함께 고속 폭타곡의 대표적인 채보로 꼽힌다. 계단을 제외하곤 틀기가 많진 않지만 폭타의 밀도가 매우 높고 굉장히 빠르므로, 발목 돌리기와 보폭 최소화에 신경을 써 주어야 한다. 물론 어렵겠지만 불필요한 움직임을 줄이는 것이 후살에서의 체력, 처리력 관리에도 좋다. 뭉개기 좋은 폭타배치로 D26 내에서는 입문곡으로 취급되는 중.

감스트의 원에 가야지 펌프 편에서 이 채보로 레전설이 하나 나왔다. 처음에 FEFEMZ*가 이걸 깨고 나서 감스트가 방송 현장에 같이 왔던 개발자 EXC를 불러다가 직접 한 번 해 보라고 했고, 아직 '예열'이 안 되었던 EXC는 문제의 그 피아노 폭타 구간 돌입 직전에서 주저앉으면서 GG 치고 감스트는 폭사한 EXC에게 "뭐해! 깨지도 못할 거면서 왜 만들었어! 깨지도 못할 거면서! 왜 만들었어!!!"라고 신나게 EXC를 갈궜다(...).해당 영상 보기[5][6]


PHOENIX에서 변경된 채보 영상

Pump it up PHOENIX 버전에서 후살이 수정되었는데, 기존의 16비트 밑떨기 부분이 프라임 2 버전 27레벨 EXC Raid의 부분과 똑같은 패턴으로 바뀌었고, 그 이후는 기존 26을 강화한 채보로 끝이 난다. 뭉개기도 엄청나게 힘들어졌을 뿐더러 후살의 BPM 220 16비트 폭타가 플레이어의 체력과 각력을 모조리 앗아가기에 26 입문급의 채보에서 26 중~중상급의 채보로 바뀌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2. 삭제된 채보

보스곡 타이틀에 맞지 않게 나온걸 보니 그저 미리듣기 용인듯 하다(…)

2.3. 숏 컷

컷팅이 심히 어색하고 채보도 별 특색이 없어서 전반적으로 평가가 나쁘다.

후살부터 BPM220의 떨기+폭타가 거의 쉼없이 쏟아져 나온다. XX에서 S22->S21로 하향.

S21을 더블로 펼친 채보이며 최초의 숏컷 D23.

2.4. 퀘스트 존 전용 채보

프라임 2의 마지막 퀘스트존에서 등장하였다.
그리고, 여기의 모든 퀘스트존 채보들은 D27만 그나마 난이도 표기에 맞는 편[7]이며 나머지 채보들은 불렙[8]취급을 받고 있다.


프라임 2 퀘스트 3층에서 등장하는 채보로 퀘스트 부제는 'EXC 레이드'. 제목은 프라임 1 때에 있었던 Yog-Sothoth의 퀘스트 전용 채보인 D26의 부제 'Minami Raid'에서 따온 것으로 추정된다. 초반부는 D26과 같지만, 윈드밀 구간부터 채보가 달라지며[9] 후살에 D26을 강화한 체중이동과 보폭을 엄청나게 넓히고 체중이동을 넣은 2+1 트릴이 등장하는 등으로 상당히 어려워졌다. 정규 채보 기준으로도 D27에선 어려운 수준의 채보.

합플 영상.

프라임 2 퀘스트 4층에서 등장하는 채보. 퀘스트 부제는 너는 EXC를 이길 수 없다. 정식 수록 되기 몇 달 전 FEFEMZ*의 방송에서 프로토타입이 EXC의 UCS로 미리 공개된 적이 있다. #
9월 2일 지플렉스배 펌프 대회가 종료된 후 RSS의 D27, FEFEMZ와 EXC의 D28 플레이가 있었다. 이때 EXC도 몸을 안 풀어서 클리어를 못한 바람에 'EXC can't beat EXC'라는 말도 생겼다.

이와는 별개로 2.05 패치에 나온 퀘스트존 채보들이 이 채보를 포함해 일부 퀘스트들에 지나치게 어려운 채보들이 많이 나온 데다가, 부제가 대놓고 누군가를 저격하는 의미를 담고 있어서 일부 유저들에게 제작진들의 친목질이라는 비판을 한동안 많이 받았었다. 안 그래도 EXC가 프라임 2 버전에서 Nakakapagpabagabag, Twist of Fate (feat. Ruriling) 같은 호불호가 갈리는 패턴들을 많이 수록해서 논란이 있었는데, 이 채보의 공개로 EXC의 행보에 불만이 있던 유저들이 분노한 모양.지금 당장 FEFEMZ*의 폭사 영상에 이런 EXC의 행보를 비판하는 댓글들이 넘쳐나는 것을 볼 수 있다. 결국 손으로 깼다[10]결국엔 두명으로 EXC를 다굴쳐서 굴복 시켰다(...).

그러나 2021년 10월 26일 탑 랭커 FEFEMZ*단 마지막 2초를 남기고 폭사하면서 클리어 가능성이 보이기 시작했다.
게다가 FEFEMZ가 최근 1949를 클리어했기 때문에 D28 클리어 컨텐츠가 이 곡 하나밖에 남지 않은 상태라 당분간 꽤 여러번 시도할 것을 생각한다면, D29 취급받는 이 곡조차도 머지 않아 1인 브렉온이 나올 수도 있다.

2024년 12월 15일 Sinco가 CO-OP 게이지로 클리어에 성공했다!#[11]

2025년 1월 27일 Sinco가 28레벨 게이지로 전세계 최초로 클리어에 성공했다!#You can beat EXC

[1] PRIME 2 한정 수록.[2] 펌프 잇 업의 사실상 28레벨로 측정된 두 번째 더블 28레벨, 하지만 정식 채보로썬 1949가 두번째이다. 더블 28레벨 출시 순서는 PARADOXX - 퀘존 슈브 28 - 1949 - 미션존(퀘스트존) Skeptic 28 순이다.[3] 많은 사람들에게 이미 이 28이라는 난이도는 29라는 난이도가 없음에도 불렙 취급을 받고 있으며, 오죽하면 사람들은 이 채보를 D28+로 보는 등 절대로 28 취급을 해주지 않는다. 이미 제작자인 EXC도 29급 레벨이라고 피펨즈의 방송에서 인정했기에, 체감 난이도는 29 확정. 이후 6년이나 지나고 나서야 펌프 잇 업 역사상 최초의 실질적 레벨 D29의 곡이 아케이드에 등장하였다.[4] 24의 경우는 개인차의 영역이지만 그럼에도 스켑틱을 제외한 24 중에서 가장 어려운 24를 뽑으라 한다면 이 곡이 가장 많이 언급된다.[5] 그래도 감스트가 '제작자가 이 정도면 잘 하는 거다'라고 인정하긴 했다.[6] 감스트의 이 멘트는 이후 펌프 커뮤니티 내에서 채보 제작자가 자신의 채보를 클리어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일 때마다 쓰이게 되었다.[7] 이나마도 준불렙이다.[8] D17, D23, D28[9] 윈드밀 구간은 220 BPM의 폭타로 바뀌어 있다.[10] 후반부를 잘 보면 버튼 10개를 전부 뭉개서 클리어하는 것을 볼 수 있다.[11] CO-OP 게이지는 내부적으로는 50렙으로 처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