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2 20:19:01

Sea Power : Naval Combat in the Missile Age/국가/소련

<colbgcolor=#000><colcolor=#fff> 파일:sea-power-logo.png
국가 목록 아시아 이스라엘 · 이란 · 베트남 · 이라크 · 파키스탄 · 남베트남 · 시리아 · 인도 · 카타르 · 요르단 · 북한 · 중국 · 쿠웨이트 · 일본
유럽 폴란드 · 서독 · 동독 · 소련 · 벨기에 · 덴마크 · 노르웨이 · 영국 · 프랑스 · 헝가리 · 불가리아 · 포르투갈 · 핀란드 · 아이슬란드 · 그리스 · 스페인 · 루마니아
아메리카 에콰도르 · 미국 · 쿠바
아프리카 리비아 · 알제리 · 남아공 · 이집트
민간 장비 항공기 · 민항선(컨테이너선, 유조선, RORO선)
게임 관련 시나리오(NATO, WP, 기타) · 미션 에디터 · 캠페인(TBD)
기타 모드 · 평가


1. 개요2. 항공
2.1. 전투기2.2. 요격기2.3. 공격기2.4. 대잠 초계기2.5. 조기경보통제기2.6. 전자전기2.7. 정찰기2.8. 폭격기2.9. 헬리콥터
3. 지상 장비
3.1. 레이더3.2. 공군기지
4. 함정
4.1. 구명정4.2. 정보수집함4.3. 상륙함4.4. 구축함4.5. 미사일 순양함4.6. 항공모함4.7. 군수지원함4.8. 경순양함4.9. 호위함4.10. 미사일 고속정4.11. 소해함4.12. 잠수함모함4.13. 경비정4.14. 어뢰정4.15. 고속정
5. 잠수함
5.1. 초계 잠수함5.2. 공격 잠수함5.3. 원자력추진 탄도미사일 잠수함5.4. 원자력추진 유도탄 잠수함5.5. 원자력추진 공격 잠수함
6. 기타


파일:소련 국기.svg

1. 개요

Sea Power에 등장하는 소련. 인게임상 국적을 가리지 않고 대부분의 유닛이 나토 코드명으로 표기되어 있으므로[1] 소련식 명칭만 아는 경우 헷갈릴 수도 있다.[2] 얼리 엑세스임에도 실존함 중 구축함 이상의 함급 대부분이 등장하는 터라, 밸런스를 위해 게임이 다루는 시점에서 약간 벗어나 있는 장비들을 끌고 오거나 오룔이나 MiG-28의 사례처럼 가상의 장비를 지급하지 않는 이상 앞으로 구축함 이하의 소형함만 추가될 가능성이 높다.

2. 항공


2.1. 전투기


파일:SPussrmig28.png

2.2. 요격기

2.3. 공격기

2.4. 대잠 초계기

2.5. 조기경보통제기

2.6. 전자전기

2.7. 정찰기

2.8. 폭격기

2.9. 헬리콥터

3. 지상 장비

3.1. 레이더

3.2. 공군기지

4. 함정

냉전시절 미 해군에게 전력이 항상 열세인 상황이었던 만큼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대함 미사일이 발달했다.

4.1. 구명정

4.2. 정보수집함

4.3. 상륙함

4.4. 구축함

4.5. 미사일 순양함

4.6. 항공모함

4.7. 군수지원함

4.8. 경순양함

4.9. 호위함

4.10. 미사일 고속정

4.11. 소해함

4.12. 잠수함모함

4.13. 경비정

4.14. 어뢰정

4.15. 고속정

5. 잠수함

5.1. 초계 잠수함

5.2. 공격 잠수함

5.3. 원자력추진 탄도미사일 잠수함

5.4. 원자력추진 유도탄 잠수함

5.5. 원자력추진 공격 잠수함

6. 기타

개발 기간 단축을 위해 콜드 워터스에서 모델링을 가져와 재작업한 경우가 제법 많다. 미국과 달리 소련은 상당수의 수상함이 콜드 워터스에서 이미 구현되어 있었기 때문.


[1] 정작 영어/독일어를 제외한 중국어/러시아어는 제대로 프로젝트~형으로 표시한다.[2] 다만 대부분 장비, 특히 키로프나 슬라바를 필두로 한 대형함들의 경우 원 명칭보다는 오히려 나토 코드명으로 더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기우에 가깝긴 하다.[3] 이는 영화가 뱅크씬인 날개쪽 개틀링 발사장면을 제외하면 미군에게서 빌린 기체를 사용했기에 도색만 약간 손댈수밖에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