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1 12:55:56

PlayStation PC/논란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PlayStation PC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13791><tablebgcolor=#013791> 파일:PlayStation 아이콘 화이트.svgPlayStation
관련 문서
}}}
[ 펼치기 · 접기 ]
분류
역사 · 게임기 · 컨트롤러 · 게임 · 스튜디오 · 기술 · 논란
회사
SIE · SIEJA · SIEK · SIEA · 플레이스테이션 스튜디오 · 플레이스테이션 프로덕션 · EVO · 번지 · Audeze
인물
쿠타라기 켄 · 요시다 슈헤이 · 야마우치 카즈노리 · 니시노 히데아키
닐 드럭만 · 마크 서니 · 션 레이든 · 짐 라이언 · 허먼 허스트

서비스
PlayStation Network · PlayStation Plus · PlayStation Cloud Streaming · PlayStation Store
발표회
PlayStation Showcase · State of Play
기타
PlayStation PC · 폴리곤맨 · 플스방 · 플빠


||<tablebgcolor=#000><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파일:pc-game-logo-blacksolid_1_orig.png||<color=#fff>PC 게이밍
관련 문서 ||
||
[ 펼치기 · 접기 ]
운영체제
Windows · macOS · Linux (SteamOS)
운영중인 플랫폼
Microsoft Store (Xbox App) · Steam · Epic Games Store · EA app · Battle.net
Ubisoft Connect · Rockstar Games · GOG.com · Humble Bundle · itch.io
PC 게임 구독형 서비스
Game Pass · EA Play · 유비소프트+
기기
기어 · 종류 · PC · 핸드헬드 PC · 노트북 · 모니터
기타
PC빠 · PC방 · Xbox Play Anywhere · PlayStation PC

1. 개요2. PSN 계정 의무화
2.1. 헬다이버즈 22.2. 고스트 오브 쓰시마2.3. 이후 출시게임2.4. PSN 연동 선택

1. 개요

PlayStation PC 관련 논란 목록.

2. PSN 계정 의무화

2.1. 헬다이버즈 2

2024년 5월 6일부터 PC에서 헬다이버즈 2를 플레이하려면 게임 내에서 PSN 계정 연동이 강제된다고 발표가 났다.

대외적인 명분은 모든 사용자가 PSN 계정을 연동하게 해야 악성유저를 효과적으로 제재할 수 있다, 따라서 PSN 연동은 모두의 안전을 위해 필요한 조치이다. 이지만 이를 곧이곧대로 믿는 사람은 없고, 그저 PSN 가입자 수를 위한 흔한 소니의 탐욕이라는 해석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애로우헤드와 소니 측은 이 문제에 대해 출시 때부터 PSN 연동이 필요하다는 점이 스팀 상점 페이지에 명시되어 있었다.는 면피성 발언으로 일관하고 있어 큰 반발을 샀으며, 그 여파로 한때 매우 긍정적까지 올랐던 스팀 평가는 2024년 5월 6일 기준으로 최근평가 압도적으로 부정적 까지 추락했다.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중국, 필리핀, 발트 3국 등 PSN 계정 생성이 불가능한 지역에서도 스팀을 통해 게임을 구매하고 지금까지 문제없이 플레이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이런 지역에 거주하는 사용자들의 경우 PSN 계정 생성이 불가능해 연동을 하지 않았더라도 지금까지는 정상적인 게임플레이가 가능했지만, 한 달의 유예 기간이 끝나는 6월 4일부터는 더 이상 게임을 플레이할 수 없게 되기 때문.[1]

PSN 사용이 불가한 지역의 사용자들은 어떻게 해야 하냐는 사용자들의 질문에는 검토 중이라는 원론적 답변만을 내놓고 있고, 그 와중에 디스코드 커뮤니티 매니저의 경우 너 분명 환불 하겠다고 했던 것 같은데? 라든지 맘에 안 들면 스팀에 부정적 평가를 남기면 된다 는 둥 되려 불난 집에 부채질만 하고 있다 보니 갈등의 해소는 요원한 상황이다.

보안을 위해 PSN 연동을 강제한다는 핑계가 무색하게도 본 문서에도 여러차례 서술되어 있듯 지금까지 개인정보 유출 사태가 워낙 빈번했던지라 더더욱 빈축을 사고 있는데, 때문에 개인정보 취급에 민감한 서구권에서는 이번 조치에 대해 더더욱 강한 반발이 나오고 있다. 특히 가입 시 거주지 주소까지 필수로 입력해야 하는 등 불필요한 정보를 요구하는 점, 대한민국의 경우 아이핀 인증, 영국의 경우 얼굴인식을 필수로 요구하는 식으로 민감한 개인정보까지 입력을 강요하는 점으로 인해 여론은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 [2]

2024년 5월 6일, 헬다이버즈에서 PSN 계정 강제 정책을 폐지한다는 공지가 올라왔다. # 헬다이버즈 또한 강제연동 자체는 철회되었지만, PSN 서비스 불가능 지역에서의 판매제한이 풀리지 않아 여전히 PSN 계정 강제가 다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헬다이버즈는 PSN 계정 요구를 철회했음에도 불구하고 플레이어수가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3]

이번 논란은 PC에만 영향을 준것이 아니라 PS5 유저풀까지 영향을 줬다. 2024년 6월 MAU분석 자료를 비교할 경우 헬다이버즈는 5월 대비 PC에서는 차트아웃 된것뿐만이 아니라 PS5에서도 6등 정도 하락한 성적을 보여줬다. # 즉 해당 정책은 비단 헬다이버즈나 소니에 대한 PC유저들의 인식 뿐만 아니라 플레이스테이션 그 자체에 대한 타격도 줄 정도의 결정이었던 셈이다.

2.2. 고스트 오브 쓰시마

고스트 오브 쓰시마 또한 PSN 계정 연동 기능이 있으나 싱글 플레이의 경우에는 필수가 아닌 선택이고, 온라인 플레이에 한해서만 PSN 계정이 필요하다. 헬다이버즈 처럼 PSN 서비스 불가능 179개국에서 판매를 중단했기에 PSN 서비스 불가지역에서 예약을 한 유저들 대상으로 환불이 진행되었다. 현재 판매가 금지된 국가는 STEAMDB 사이트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

2.3. 이후 출시게임

발매, 예약 도중에 연동계획이 발표된 위 두 게임을 제외하면 이후 출시된 모든 게임들은 싱글 플레이, 멀티 플레이 여부와 상관없이 PSN 계정 강제는 기본으로 적용되었다.

갓 오브 워 라그나로크의 경우, PSN 계정을 연동하는 과정 중 기존에 스팀 연동 게임을 하기 위해 만들어놨던 PSN 계정이 약관 이관 동의 비확인 등의 사유로 영구정지 상태가 된 경우에 처한 유저들이 대거 속출,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스팀 평가는 당일 기준으로 "복합적" 평가로 시작하여 판매에 난항을 겪고 있다. 기존에 예약구매를 했다가 상술한 문제로 날벼락을 맞은 구매자들은 다행히도 저번 헬다이버즈 2 사태처럼 플레이 불가자로 구분되어 빠른 환불이 가능하다. 결국 연속된 PSN 강제에 폭발한 유저들이 이를 우회하는 모드를 내놓기에 이른다. #[4]

호라이즌 제로 던 원작은 PSN 계정을 요구하지 않았지만 리마스터판은 PSN 계정이 요구된다. 소니에서 원작을 스팀에서 내리면서 기존에 원작을 사놓지 않는 유저들은 PSN 계정이 요구되는 리마스터판을 사야된다.

2024년 11월 9일, 소니 COO 토토키 히로키는 PSN 계정 강제 정책이 유저들로부터 반발을 살 수 있다는 것을 인정했으나 게임의 안전을 위해 정책을 실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이 싱글 플레이 게임에는 해당되지 않는다고 유저들의 거센 비판을 받고 있다. #

2.4. PSN 연동 선택

2025년 1월 30일, 소니가 4종의 게임에서 PSN 계정 연동을 필수가 아닌 선택으로 변경했다. 갓 오브 워 라그나로크, 호라이즌 제로 던 리마스터, Marvel's Spider-Man 2, 더 라스트 오브 어스 파트 II 리마스터드까지 이에 해당된다. 대신에 PSN 연동을 선택할 경우 트로피, 친구 관리 그리고 곧 추가되는 인 게임 컨텐츠를 보상으로 준다. 위에 언급되지 않은 레고 호라이즌 어드벤처언틸 던은 아직 해당 사항 없는 걸로 보이며,[5] PSN 계정 연동으로 인해 게임 판매가 금지된 179개국에서 게임 판매가 재개된지는 아직 알 수 없다. #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8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8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4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VPN을 이용하면 가입은 가능하지만 약관위반으로 계정이 정지당할 수 있다[2] 가입 과정에서 인증을 위해 제공되는 정보는 전부 삭제된다고 표기되어 있기는 하나, 소니라는 기업 자체가 개인정보를 공격적으로 긁어모은 뒤 제대로 관리하지 않아 유출사고를 치는 경우가 워낙 빈번하다 보니 전혀 신뢰를 주고 있지 못한 상황[3] 그러나 이는 개발진들의 기싸움과 컨텐츠 부족 문제가 크다.[4] 원본 모드는 내려갔다. 소니가 이러한 모드에 대해 조치를 취할까봐 내린 것으로 추정된다. #[5] 두 작품 모두 콘코드 만큼이나 흥행에 실패한 게임이라 PSN 계정 요구가 풀리지 않는다면 완전히 묻혀버릴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