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8 01:58:22

PlayStation 5/후속기 루머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PlayStation 5
1. 개요2. 내용
2.1. 2022년2.2. 2023년2.3. 2024년2.4. 2025년

1. 개요

PlayStation 5 후속 기종 루머를 정리한 문서.

2. 내용

2.1. 2022년

2022년 11월 24일, 소니가 영국의 경쟁 규제 기관에 제출한 문서에는 Microsoft의 액티비전 블리자드 인수를 반대하는 내용 외에도 차세대 PlayStation은 2027년에 출시된다는 내용도 담겨있다. #

2.2. 2023년

2023년 3월 14일, Insider Gaming에 의하면 2028년 이전에 PS6가 출시될 가능성은 낮다고 한다. PS5 Slim / Pro의 출시 시기를 맞히기도 했다. #

2023년 6월 23일, Microsoft의 액티비전 블리자드 인수 과정에서 공개된 자료에 의하면 MS는 PS6와 차기 Xbox가 2028년 중에 출시된다고 전망한다고 한다.[1] #

2.3. 2024년

2024년 2월 17일, 소니에서 PS5가 제품생명주기(Life Cycle)의 후반부에 진입한다고 밝혔다. PS5 출시 후 39개월이 만에 제품생명주기의 중반에 왔다면 2027년에 PS6가 출시된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

2024년 6월 26일, Circana의 업계 분석가 Mat Piscatella는 PlayStation이 PS6 이후로 완전히 디지털로 전환될 수 있다고 추측했다. # #

2024년 9월 16일, SIE CEO 니시노 히데아키가 인터뷰에서 PS5 Pro로 인해 PS6를 마케팅하기 더 힘들지 않겠냐고 질문을 받자 그래픽 이외에도 개선점이 많을 것이라 답했다.

2024년 9월 17일, Reuters에 의하면 2022년에 인텔AMD한테 PS6 칩 계약을 빼앗겼다고 한다. 인텔 칩으로 바꿨을때 생기는 하위호환 문제와 가격 때문에 소니가 거절했다고 한다. 만약 계약이 성사됐을 경우 인텔이 300억 달러를 벌어들였을거라 한다. #

2024년 9월 19일, GameBeat에서 유명 업계 분석가들과 채팅을 했는데 Circana의 Mat Piscatella과 Midia Research의 Rhys Elliott은 PS6의 가격은 $599가 될 것이며 곧 나오지는 않을 것이라 추측했다. #

2024년 9월 20일, 유출자 KeplerL2에 의하면 차기 콘솔을 위해 두 가지 SoC가 개발 중이며 여기서 하나는 더 저렴할 것이라 주장했다. Nintendo Switch 2, 핸드헬드 게이밍 PC, Xbox 휴대기[2]와 경쟁하기 위해 휴대형과 거치형 버전으로 출시한다는 추측, 하드웨어 개발비 상승으로 인해 Xbox Series X|S처럼 보급형과 고가형으로 출시한다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

2024년 9월 30일, Digital Foundry에서는 소니가 PS5 Pro를 통해 PS6를 위한 기초를 닦고 있다고 분석했다. 소니는 PSSR AI 업스케일링 기술을 개발하고 보급하여 다듬어둬야 되고 개발자들은 PC에만 집중하지 않고 이러한 기술에 익숙해져야 된다고 한다. #

2024년 10월 7일, 러시아 기자 Anton Logvinov가 텔레그램을 통해 9월에 열린 도쿄 게임쇼에서 소니가 일부 파트너들한테 PS6 콘솔 또는 프로토타입을 공개했다고 주장했다. 다만 게임이 돌아가는걸 보여주지는 않았고 PS6용 게임 개발을 원하는 파트너들에게 하드웨어에 대한 계획을 공개했다고 한다. #

2024년 11월 9일, 소니에서 신형 컨트롤러 관련 특허를 공개했다. 새로 추가되는 되감기(Rewind) 버튼을 누르면 저장 메뉴에 들어가지 않고 아무데서나 저장을 할 수 있다고 한다. #

2024년 11월 20일, 중국 포럼 Chiphell의 하드웨어 유출자 ZhangZhongHao는 PS6가 AMD의 차세대 RDNA 아키텍처를 사용할 것이라 주장했다. GPU는 AMD의 RDNA 4와 CDNA 후속작이며 이 두 가지 아케텍처를 통합할 것이다. AMD 라데온 RX 9000 시리즈 또한 UDNA GPU를 MI400과 함께 사용하며 2026년 하반기에 대량 생산에 들어갈 것이다. 이는 PS6가 빠르면 2026년 말에 출시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CPU는 AMD의 Zen 4, Zen 5 중에 어느 것을 사용할지 확정되지 않았다. 차세대 휴대기는 AMD 하드웨어를 사용할 것이며 이게 PS Portal 같은 스트리밍 기기인지 PS Vita 같은 전용 휴대기인지는 아직 알 수 없다.[3] #

2024년 11월 25일, 블룸버그가 소니가 휴대용 게임기를 개발 중이라고 보도했다. 소니는 PlayStation 게임 시장을 확장시키고 싶어한다. PS5 게임을 구동 가능한 휴대기가 개발 초기 단계에 있다. 나오려면 최소 몇 년은 걸릴 것이다. 출시가 성사되지 못할 수 있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만약 출시가 성사된다면 차후 출시될 걸로 예상되는 Nintendo Switch 2, Xbox 휴대기와 경쟁하게 될 것이다. # #

2.4. 2025년

2025년 1월 2일, SIE CEO 니시노 히데아키는 Famitsu와 인터뷰를 했다. PS5는 PS4처럼 긴 제품생명주기(Life Cycle)를 가질 것이다. 그러나 신기술이 적용된 다음 제품의 출시를 연기하는 것은 옳지 않다. 새로운 하드웨어는 발전하는 기술과 우리가 그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시기와 관련이 있다. 그러므로 사람들이 현재의 제품을 즐기는 동안 신제품을 제공하는 것, 더 많은 수의 게임을 제공하는 것은 중요하다. 우리는 제품이 기술, 가격, 시기에 균형을 맞춰 제공되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항상 그 시점이 언제가 될지를 고려하고 있다. #

2025년 1월 17일, PS5 Pro 관련 내용을 맞춘 NeoGAF 유저 Kepler_L2가 PS6 사양은 정해졌으며 디지털 테스트 과정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PS6 SoC의 현재 버전의 코드네임은 Ao이며 2025년 말에 Tapeout[4] 과정에 들어간다. 소니는 콘솔 발매 2년 전부터 Tapeout 과정에 들어갔다. 이는 빠르면 2027년 말에 PS6가 발매될 수 있다는 걸 암시한다. #

2025년 1월 18일, 중국 포럼 Chiphell의 하드웨어 유출자 ZhangZhongHao는 PS6에 AMD의 X3D 기술이 적용될거라 주장했다. 이는 현재 최고의 게이밍 CPU라고 할 수 있는 AMD의 라이젠 7 9800X 3D CPU에 적용되는 기술이다. 차세대 Xbox의 SoC 사양은 아질 정해지지 않았고 AMD는 UDNA GPU와 Zen 6 CPU를 2026년에 출시할 것이다.

보통 게임 콘솔의 CPU는 캐시가 굉장히 적으나 PS6에서는 AMD의 3D V-Cache 기술을 이용해 캐시를 많이 넣을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칩에서 더 많은 메모리와 대역폭을 사용 가능하게 할 것이다. CPU는 더 많은 데이터를 칩에 저장할 수 있게 하여 데이터를 더 빠르게 접근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 기술은 게임의 작업량을 가속화하여 차세대 CPU 성능을 제공할 것이다. AMD의 X3D 기술은 PS6의 CPU에 가장 중요하지만 AMD의 GPU Infinity Cache라는 형태로 GPU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는 CPU 기반 캐시와 비슷한 이점을 제공해줄 수 있다. AMD의 3D stack memory 기술의 문제점은 가격이다. AMD Ryzen X3D CPU들은 다른 제품보다 비싸다. # #

2025년 2월 5일, 전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Worldwide Studios CEO 션 레이든은 PS6가 디스크 드라이브를 제거하지 못할거라 주장했다. PS 콘솔이 여행객, 군사 기지, 시골 지역 같이 안정적인 인터넷이 지원되지 않는 곳에서도 많이 쓰이기 때문이다.[5] #
[1] 다만 2024년부로 나온 루머들에 의하면 차기 Xbox가 예정보다 일찍, 빠르면 2026년에 출시된다고 한다.[2] Microsoft에서도 다음 세대는 거치기와 휴대기를 둘 다 출시힌다는 루머가 있다.[3] 경쟁 기종이 될 것이라 예상되는 Xbox 휴대기는 AMD 또는 퀄컴 칩을 사용할 것이다.[4] 반도체 설계팀에서 제조팀으로 설계도면을 보내서 테스트 칩을 제조하기 시작하는 것.[5] PS5 게임 또한 다운로드가 필요하긴 하지만 서버에서 다운로드가 아닌 디스크에서 다운로드이기 때문에 인터넷이 필요로 하진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