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0 13:08:04

MBK파트너스


파일:MBK파트너스 로고.svg파일:MBK파트너스 흰색 로고.svg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3px -11px"
파일:고디바 로고.svg 파일:홈플러스 로고.svg 파일:딜라이브 로고.svg 파일:네파 로고.svg
고디바[1]홈플러스딜라이브네파
파일:BHC 로고.svg 파일:롯데카드 로고.svg 파일:모던하우스 BI.png 파일:오스템임플란트 로고.svg
BHC[2]롯데카드모던하우스[3]오스템임플란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각주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 (아시아태평양사업부)[2] (글로벌고메이서비시스)[3] (엠에이치앤코)
}}}}}}}}}
}}}}}}}}} ||
<colcolor=#fff,#ddd> MBK파트너스 유한책임회사
MBK Partners (MBKP) | 安博凱直接投資基金
파일:MBK파트너스 로고.svg파일:MBK파트너스 흰색 로고.svg
<colbgcolor=#868e94,#000>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설립일 2005년 3월 9일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3길 17 D타워 D1 21-22층
업종 사모투자운용사
최대주주 윤종하 (24.7% / 2023년 6월)
김광일 (24.7% / 2023년 6월)
대표 김병주
기업 분류 금융투자사
기업가치 77억 달러 (2022년)
운용 자산 약 300억 달러 (2024년)
상장 거래소 비상장 기업
사무실 5곳[1] (2024년)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지배구조4. 포트폴리오
4.1. 주요 사례
5. 여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사모투자 운용사. 한국, 중국, 일본 등 주로 동아시아를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다.

2. 역사

아시아에서 매우 큰 사모펀드 중 하나로 세계 3대 PEF[2] 중 하나인 칼라일에서 독립한 김병주가 2005년 설립했다.

2022년 1월 다이얼캐피털에게 지분 13%를 넘기며 10억 달러를 투자금으로 유치했다. 이 과정에서 기업가치 77억 달러를 인정받았다.#

2022년 기준 아시아 최대의 사모펀드 운용회사가 되었다.

3. 지배구조

주주명 지분율
윤종하 24.7%
김광일 24.7%
김병주 16.95%
다이얼캐피털 13.00%
2023년 6월 기준[3]

4. 포트폴리오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동북아시아(한중일 삼국)에 투자하는 사모투자운용사라서 그런지 홈페이지 언어는 영어로 제공된다.

4.1. 주요 사례

5. 여담


[1] 서울, 홍콩, 베이징, 상하이, 도쿄.[2] 블랙스톤, KKR, 칼라일그룹[3] 2021년 6월 금융감독원에 공시한 마지막 감사보고서 기준으로 윤종하와 김광일이 29.50% 최대주주, 김병주가 20.24%로 뒤를 이었다. 이후 2024년 10월 영풍과의 합작사인 한국기업투자홀딩스가 제출한 대량보유상황보고서에 의하면 2023년 6월 기준 이들 최대주주의 지분율이 24.7%인 것으로 나타났다.[4] 상장사인 코웨이의 주가가 2배 이상 뛰었다.[5] 그나마 가능성이 있는 유통공룡(롯데, 신세계, 현대 등)들은 인수할 경우 독과점 문제가 발생할 게 확실했다.[6] 개인정보 장사, 노조의 반발을 무마하기 위한 위로금, 환율 여건 등.[7] 인수금액은 5조원이나 테스코로부터 홈플러스가 차입한 2조원에 대한 보증을 섰다.[8] PEF가 아닌 국내 '기업'의 하만 이전 최대 인수는 두산인프라코어밥캣 인수로, 대략 5조 원에 달한다.[9] 부산을 포함한 각지의 점포는 물론 1등 매장인 부천 상동점도 매각했다. 다만 상동점은 2026년까지는 영업하고 이후 다른 형태로 유지한다고.[10] 캐시비의 운영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