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30 18:52:27

MBK파트너스


파일:MBK파트너스 로고.svg파일:MBK파트너스 흰색 로고.svg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3px -11px"
파일:고디바 로고.svg 파일:홈플러스 로고.svg 파일:딜라이브 로고.svg 파일:네파 로고.svg
고디바[1]홈플러스딜라이브네파
파일:BHC 로고.svg 파일:롯데카드 로고.svg 파일:모던하우스 BI.png 파일:오스템임플란트 로고.svg
BHC[2]롯데카드모던하우스[3]오스템임플란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각주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 (아시아태평양사업부)[2] (글로벌고메이서비시스)[3] (엠에이치앤코)
}}}}}}}}}
}}}}}}}}} ||
<colcolor=#fff,#ddd> MBK파트너스 유한회사
MBK Partners (MBKP) | 安博凱直接投資基金
파일:MBK파트너스 로고.svg파일:MBK파트너스 흰색 로고.svg
<colbgcolor=#868e94,#000>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설립일 2005년 3월 9일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3길 17 D타워 D1 21-22층
업종 사모투자운용사
최대주주 윤종하 (24.7% / 2023년 6월)
김광일 (24.7% / 2023년 6월)
대표 김병주
기업 분류 금융투자사
기업가치 77억 달러[1] (2022년)
운용 자산 256억 달러
상장 거래소 비상장 기업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지배구조4. 포트폴리오5. 여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사모투자 운용사. 한국, 중국, 일본 등 주로 동아시아를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다.

서울, 홍콩, 베이징, 상하이, 도쿄에 사무실이 있다.

2. 역사

아시아에서 매우 큰 사모펀드 중 하나로 세계 3대 PEF[2] 중 하나인 칼라일에서 독립한 김병주가 2005년 설립했다.

2022년 1월 다이얼캐피털에게 지분 13%를 넘기며 10억 달러를 투자금으로 유치했다.

2022년 기준 아시아 최대의 사모펀드 운용회사이다.

2024년 기준 300억 달러(약 40조 원) 이상의 자산을 운용하고 있고 투자 기업의 매출 합계는 490억 달러(약 63조 원)에 이르며 투자 기업의 고용 인원 수는 37만 명이다.

3. 지배구조

주주명 지분율
윤종하 24.7%
김광일 24.7%
김병주 16.95%
다이얼캐피털 13.00%
2023년 6월 기준[3]

4. 포트폴리오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동북아시아(한중일 삼국)에 투자하는 사모투자운용사라서 그런지 홈페이지 언어는 영어로 제공된다.

5. 여담


[1] 2022년 10억 달러를 받으며 지분 13%를 내주었다.#[2] 블랙스톤, KKR, 칼라일그룹[3] 2021년 6월 금융감독원에 공시한 마지막 감사보고서 기준으로 윤종하와 김광일이 29.50% 최대주주, 김병주가 20.24%로 뒤를 이었다. 이후 2024년 10월 영풍과의 합작사인 한국기업투자홀딩스가 제출한 대량보유상황보고서에 의하면 2023년 6월 기준 이들 최대주주의 지분율이 24.7%인 것으로 나타났다.[4] 상장사인 코웨이의 주가가 2배 이상 뛰었다.[5] 그나마 가능성이 있는 유통공룡(롯데, 신세계, 현대 등)들은 인수할 경우 독과점 문제가 발생할 게 확실했다.[6] 개인정보 장사, 노조의 반발을 무마하기 위한 위로금, 환율 여건 등.[7] PEF가 아닌 국내 '기업'의 하만 이전 최대 인수는 두산인프라코어밥캣 인수(대략 5조 원).[8] 부산을 포함한 각지의 점포는 물론 1등 매장인 부천 상동점도 매각했다. 다만 상동점은 2026년까지는 영업하고 이후 다른 형태로 유지한다고.[9] 캐시비의 운영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