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G: BATTLEGROUNDS의 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0%; word-break:keep-all" {{{#!folding [ 무기 목록 펼치기 · 접기 ] | AR 돌격소총 | 7.62mm | 그로자(★) / AKM / 베릴 M762 / Mk47 뮤턴트 / ACE32(○, ●) / AK ALFA(◎) / Honey Badger(●, E, S, L) | ||
5.56mm | AUG / M416 / SCAR-L / QBZ(S, R) / G36C(V, K, D) / M16A4 / K2(○, T) / FAMAS(★) / | ||||
DMR 지정사수소총 | 5.56mm | 미니-14 / QBU(S, R) / Mk12(○, ●) / SL8(◎) | |||
7.62mm | SKS / SLR / Mk.14(★) / 드라구노프(○) / M110A1(◎) | ||||
9mm | VSS | ||||
SR 저격소총 | 7.62mm | Kar98k / 모신 나강 / M24 / DSR-1(◎) | |||
300.매그넘 | AWM(★) | ||||
.45 ACP | Win94 | ||||
50구경 탄환 | 링스 AMR(★) | ||||
SMG 기관단총 | 9mm | 마이크로 UZI / 벡터 / PP-19 비존(E, V, D) / MP5K / MP9(D, ○, ◎) / JS9(R) / UMP / 토미 건 | |||
5.7mm | P90(★) | ||||
SG 산탄총 | 12게이지 | S1897 / S686 / S12K / DBS(★) / M1014(●, L) / NS2000(●, L, N) / MP155 Ultima(◎) | |||
12게이지 슬러그탄 | O12(D, ○) | ||||
LMG 경기관총 | 5.56mm | M249 | |||
7.62mm | DP-28 / MG3(★) / M134 중기관총(●) / MG5(◎) | ||||
MISC 기타 | 석궁용 화살 | 석궁 / 전술 석궁(●, N) | |||
판처파우스트 탄두 | 판처파우스트 | ||||
60mm 박격포탄 | 박격포(○) | ||||
40mm 유탄 | M32 MGL(●) | ||||
40mm 로켓탄 | RPG-7(●) / M3E1-A 미사일(●) / AT4-A 대전차 미사일(●) / 4연발 M202 바주카(●) | ||||
권총 | 9mm | P92 / P18C / 스콜피온 | |||
.45 ACP | P1911 / R45(M, S, D) / Deagle | ||||
7.62mm | R1895 | ||||
12 게이지 | 소드오프(M, S, D) | ||||
신호탄(플레어) | 플레어건 / 그린 플레어건 | ||||
40mm 유탄 | M79(○) | ||||
근접무기 | 낫 / 마체테 / 쇠지렛대 / 곡괭이 / 프라이팬 | ||||
투척무기 | 세열수류탄 / 연막탄 / 섬광탄 / 화염병 / 점착폭탄(K) / 블루존 수류탄(○) / C4(○) / 스파이크 트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0%" {{{#!folding [ 무기 범례 펼치기 · 접기 ] |
* 피해량 및 DPS 안내
* 표식 안내 모든 맵 또는 4개 이상 맵에서 드랍되는 경우 표기하지 않음 * ★: 보급상자혹은 비밀의 방에서 드랍되는 무기 * ●: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에서 드랍되는 무기 * ○: PC, 콘솔, XBOX판 배틀그라운드에서 드랍되는 무기 * ◎: NEW STATE MOBILE에서 드랍되는 무기 * E: 에란겔에서 드랍되는 무기 * M: 미라마에서 드랍되는 무기 * S: 사녹에서 드랍되는 무기 * V: 비켄디에서 드랍되는 무기 * K: 카라킨에서 드랍되는 무기 * P: 파라모에서 드랍되는 무기 * H: 헤이븐에서 드랍되는 무기 * L: 리빅에서 드랍되는 무기 * N: 누사에서 드랍되는 무기 * T: 태이고에서 드랍되는 무기 * D: 데스턴에서 드랍되는 무기 * R: 론도에서 드랍되는 무기 | }}}}}}}}} | |
배틀그라운드 틀 보기 |
배틀그라운드 최초의 무기 | ||||
{{{#!wiki style="margin:0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2e2e2e,#fff | AR | |||
AKM | M416 | M16A4 | SCAR-L | |
SR | ||||
Kar98k | M24 | AWM | ||
SMG | ||||
Tommy Gun | Micro UZI | UMP9 | ||
LMG | ||||
M249 | ||||
SG | ||||
S1897 | S686 | S12K | ||
권총 | ||||
P92 | P1911 | R1895 |
M416 | |
<colcolor=#000> 현재의 모습 | |
8.2 버전 이전 및 모바일 버전 모습 | |
<colbgcolor=#fc3> 장탄수 사용 탄약 | <colcolor=white><colbgcolor=#2e2e2e> 30 (40 / 42) 5.56mm |
발사 모드 | 단발/연사 |
몸통 기본 | 40~30 |
몸통 깨진조끼 | 32~24 |
몸통 Lv1 | 28~21 |
몸통 Lv2 | 24~18 |
몸통 Lv3 | 18~13.5 |
머리 기본 | 94~70.5 |
머리 Lv1 | 65.8~49.35 |
머리 Lv2 | 56.4~42.3 |
머리 Lv3 | 42.3~31.725 |
팔/다리 | 18~13.5 |
저지력 | 3500 |
탄속 | 880 ~ 273m/s |
연사 간격 | 0.0857 (700RPM) |
재장전 시간 (전술 재장전) | 3.14초[1] (2.43초[2]) |
영점 거리 | 100 - 400 |
탄퍼짐 | 4 |
MOA | 2.6 |
DPS | 466.67 |
피해감소거리 | 61 ~ 447m |
등장 지역 | 모든 맵 |
TTK[TTK] | 0.428 |
[clearfix]
1. 개요
배틀그라운드에 등장하는 돌격소총.2. 성능
<rowcolor=#000> 조준경 1 | 조준경 2 | 총구 | 하단 레일 | 탄창 | 개머리판 |
인게임 내 사용 장면 |
부착물이 없을 때 사용 장면 |
커스터 마이닝 유형[뉴스테이트] | |
<colbgcolor=white,black> C1[레이저 사이트] | <colbgcolor=white,black> C2[연장 배럴] |
집탄율 80% 증가 | 단발피해량 1.5 증가 |
수평 반동제어 10% 감소 | 수직 반동제어 15% 감소, 총구 슬롯 잠김 |
3. 상세
실총은 유명한 독일제 카빈소총인 H&K HK416. 그 중에서도 미국 내 생산 버전인 HK416 D14.5RS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상표권 문제 때문에 배그 인게임에서 M416이라는 이름으로 나타났다는 이야기가 있다. 총몸의 H&K 로고 각인 대신 PUBG 각인이 새겨져 있고 깨알 이스터에그로 헤클러 운트 코흐 특유의 흰색과 붉은색으로 인쇄된 하부 총몸 조정간 표시가 안전 상태는 "안 빵"(NO PEW), 단발 상태는 "빵"(PEW), 연사 상태는 "빵 빵 빵"(PEW PEW PEW)으로 되어 있다. 실제로 저런 형태의 커스텀 조정간 각인이 있다. 8.2버전 이후로 외형이 리뉴얼되었으며 기본 개머리판 외형이 HK416A5에 부착되는 Hk Slim line 개머리판으로 교체되었다.일명 엠포. 혹은 다른 FPS 게임에서 HK416의 별명으로 자주 불리는 '흥국이'라고도 불린다. 캔티드 사이트까지 해서 부착물 슬롯이 6개로 공동 1위[5]로서 부착물에 의한 성장 포텐셜이 높다. 풀파츠 기준으로 적당한 배율 조준경만 갖춰진다면 근거리부터 중~원거리 교전까지 전천후로 활약할 수 있었기에 얼리 액세스 시절부터 오랜 기간 동안 1티어 필드드랍 총기로 군림하였으며 위상이 내려온 2025년 현재 기준으로도 파츠 몇 개만 끼우면 나오는 준수한 성능을 바탕으로 채택률이 상위권이다. 현재는 7탄의 에이스와 함께 중반동&중성능&(부착물을 통한)성장형 필드드랍 AR 포지션을 취하고 있다. 두 총기 모두 기본 성능은 다소 아쉽지만 부착물을 모두 장착했을 때에는 반동 제어가 비교적 쉬우며 베릴과 어그 다음가는 성능을 보여주는 것이 특징이다. 정리하면, 엠포는 풀파츠 기준으로 팔방미인의 성능을 낮은 반동으로 발휘하는 5탄 필드드랍 총기라고 할 수 있다.
물론 단점이 없는 총기는 아니다. 우선 부착물의 의존도가 심하다는 점이 있다. 부착물 슬롯이 [6]가장 많다는 것은 (밸런스에 문제가 없다면)기본 성능이 가장 낮은 것을 의미한다. 부착물이 없는 M416은 못 써먹을 정도는 아니지만 반동이 다소 튀는 편이다. 현재 전반적인 아이템 드랍률이 크게 올라서 체감이 안 될 수도 있지만, 5~6가지에 달하는 부착물을 모두 확보하는 것이 아주 쉬운 일은 아니라서 부착물이 빠진 상태에서는 집탄율이 아쉽다. 물론 풀파츠가 아니더라도 보정기, 개머리판, 수직 손잡이 같이 엠포의 반동을 크게 줄여 주는 부착물이 한두 가지만 있어도 아쉽지 않은 집탄율을 보여준다지만, 이번에는 AR 대비 낮은 데미지 및 DPS가 발목을 잡는다. 몇 번의 너프 이후로, 엠포는 풀파츠를 장착해도 다른 필드드랍 AR 대비 화력이 뛰어난 총은 아니게 되었다. 특히, 근접전에서는 낮은 DPS로 인해 SCAR 정도를 제외하면 만만한 필드드랍 AR이 없다시피하게 되었으며, 그 SCAR를 상대할때마저도 사용 난이도까지 고려하면 확실한 우위라고 보기 어려워졌다.
얼리 액세스 시절에는 [7]다섯 개의 파츠를 장착할 수 있다는 잠재력과 부족하지 않은 연사력, 그리고 낮은 반동 덕분에 파밍에 성공한다면 모두들 후반까지 꼭 사용하는 1황 필드드랍 총기였다. 당시에는 AR에 8배율까지 장착 가능했기 때문에 DMR처럼 원거리 대응도 가능했다. 당시 M416 + 더블 배럴 조합은 최강의 조합이었는데, 초근거리는 더블 배럴의 파괴력으로 갈아버릴 수 있었고 그 외의 교전은 M416으로 모두 커버할 수 있었다. 얼마나 심했으면 게임 자체가 '엠포그라운드'라는 이명이 있을 정도였다. 반동도 매우 적었던데다가 다른 AR, SMG들이 전부 뭔가 나사 빠진 성능을 가지고 있던 탓에 엠포가 거리와 시간을 불문하고 킬 점유율을 독점하며 이견이 없는 OP무기로 군림했다. 심지어 총기 교체시 파츠도 자동으로 딸려오지 않던 때에는 엠포를 들고 있으면 보급상자 5.56mm AR인 AUG조차도 종종 버려질 정도였다. 이후 7.2패치에서 너프된 이후부터 이후부터 16.1패치 이전까지, 심지어는 AUG가 M416의 5탄 AR 최강자 자리를 뺏은 22.2 패치 이후에도 '손에 익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이 무기를 고집하는 사람이 적지 않을 정도이다. 그만큼 M416은 배그 필드드랍 AR 1인자 혹은 1티어로 있었던 기간이 길었고 여전히 성능에 비해 채택률이 높은 상태이다.[8]
7.2 패치에서 장전 속도, 탄속, 대미지 및 감소 거리 하향이라는 너프를 맞음과 동시에 다른 총기들의 버프가 이루어졌다. 이중에서 7탄 고화력 AR인 베릴이 탄속과 반동 버프를 받아 강력한 1티어 AR로 부상하여 M416과 필드드랍 AR 1인자 자리를 놓고 경쟁하는 관계가 되었다. 11.1 패치에서 베릴도 단짝 7탄 DMR인 SLR과 함께 너프를 먹음과 동시에 M416은 단짝인 미니14와 버프를 먹어 다시 사용률이 증가했다. 16.1 패치에서 대미지, 피해감소거리, 탄속 모두 41, 60m, 880m/s로 증가하면서 총기 외관을 제외하고 전성기 시절의 스펙으로 롤백되었다. 22.2 패치에서 피해량이 다시 40으로 감소했고 수평 반동이 증가하였다. G36C와 K2, SCAR-L과 비교했을 때 사실상 만능 소총이라는 점을 어느정도 너프해야했다고 생각한 모양이다. 게다가 이 자리 위에 AUG가 필드드랍으로 들어오면서 이 시점을 기준으로 수십 번의 패치동안 살아남았던 M416은 필드드랍 AR 1인자는 물론 1티어의 자리에서도 내려오게 되었다.
성능 이외의 점으로, 격발음이 리마스터링되는 변화를 겪었는데 발사음이 뭉툭하게 변해서 이상하다고 대부분 혹평을 내렸다. 그래서 8.3 패치 이후 예전의 총소리와 8.2버전의 총소리를 섞은 듯한 총소리로 변경되었고, 잦아들지 않는 롤백 요구 원성에 의해 10.3 패치 이후에는 이전의 격발음과 변경된 격발음을 모두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9]
4. 평가
장점 |
단점 |
|
5. 시리즈 별 성능
PC 22.2 패치 이전까지는 필드드랍 AR 1티어였고 더 이전에는 1황 시절도 있었다. 지금은 풀파츠에서 적은 반동으로 운영하기 좋지만 화력이 살짝 아쉬운 총이다.반면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에선 탄 낙차가 적어 DMR 역할도 겸할 수 있기에, PC 배틀그라운드 얼리액세스 시절처럼 줄곧 1티어 무기이다. 잘 어울리는 부무장으로는 SMG, SG. SR이 정석이다. 그나마 M416을 제외한 모든 무기는 서비스가 지속될수록 성능이 조정되었으나 M416은 오히려 처음부터 지금까지 성능이 조정된 사례가 없다.
그나마 아예 새로운 환경으로 개발한 배틀그라운드: 뉴스테이트에선 PC의 환경을 가져온 만큼 M416의 성능이 모배에 비해 저평가받는다. 대미지가 심각하게 좋지 않아 모배에서 M416이 우세를 점하던 AK를 상대로도 밀리며, 중장거리 교전은 DMR이나 SR에 밀리고, 근거리 교전에선 베릴같은 고화력 무기에 밀린다. 그래서 대부분 베릴을 주로 찾다보니 작정하고 M416만 사용하거나 초보자가 아닌 이상 찾는 경우가 드물어졌다. 심지어 L85가 M416보다 안정성이 더 높다는 사실이 밝혀져 픽률이 더욱 위축되었다. 팀 데스매치도 사정은 다르지 않았는지 벡터나 베릴에 밀리고 있으며 그나마 아레나 모드에선 원거리 교전도 많은데다 엄폐물이 많아 반동이 강한 베릴보단 M416이 좋은 취급을 받고 있는데 오히려 베릴과 조합하여 중장거리는 M416, 근거리는 베릴이 역할분담되고 있다. 이밖의 특이사항으론 서구권은 도리어 M416이 킬카운트 전체 1위를 차지하고 있다.
6. 성장형 무기 스킨
6.1. 트릭 오어 트릿
트릭 오어 트릿 Trick or Treat |
크로마 | |
기본 | 그린 네이비 |
6.2. 피닉스
피닉스 Phoenix |
크로마 |
기본 |
6.3. 저팔계
저팔계 Zhu Bajie |
크로마 | ||
기본 | 마젠타 피치 | 청록색 |
성장형 무기 역대 최초로 두 번째 크로마가 추가되었다. 신규 크로마와 함께 2025년 1월 1일 재출시되었다. 업데이트와 함께 공개된 확률표에 재출시 밀수품 상자의 확률이 고지됨에 따라 재출시 사실을 미리 확인할 수 있었다.
6.4. 노 시그널
노 시그널 No signal |
크로마 | |
기본 | 퍼플 차콜 |
7. 기타
실총은 상술했듯 독일의 총기 개발사인 H&K의 HK416인데, 상표권 문제인지 게임 상의 명칭은 M416으로 표기된다.[14] 때문에 주로 엠포라고 불린다. 하지만 M4 카빈이 있는 FPS게임을 했던 사람들은 M4 카빈을 편의상 "엠포"라고 부르기 때문에 M4 카빈과 HK416이 혼동될 여지가 있다. 실제로 혼동하는 사람이 상당히 많다. 이러한 이유로 "엠포"라는 명칭에 종종 논란이 생기기도 하는데, "HK416과 M4 카빈은 엄연히 서로 다른 총이니 "M416" 혹은 "416"으로 불러야 한다"는 주장과, "M416이 줄어서 M4가 된 것이고 PUBG에는 M4 카빈이 없으니 문제없다"는 주장이 서로 충돌하기도 한다. 어차피 M416이라는 이름을 가진 총기는 실존하지 않고 선술했던 HK416을 모티브로 낸 총기기 때문에 뭐라 부르던 상관없다.[15]여담으로 HK416의 미국내 민수용[16]버젼은 MR556[17] 이라는 모델인데, 공교롭게도 이름이 비슷하다. 대신 MR556의 개량 버젼인 MR556A1 기준으로 미국 맥풀사의 M-LOK규격의 미국제 제품이 장착되어 있으며, 실제 배틀그라운드에 등장하는 총기와 비슷한 외형을 만들고자 하면, HK사의 Quad Rail을 따로 구매하여 장착해야 한다.[18] 공식 HK부품 홈페이지에서 구매할 수 있으며, 가격은 세금을 제외하고 $419.95이다. 가끔 품절되어 있을 때가 있으니,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좋다.
모바일버전이거나 리마스터가 아닌 일반 소음기를 장착한 소리가 SCAR-L과 비슷하다.
[1] 장전 캔슬 2.02초[2] 장전 캔슬 2.03초[TTK] [뉴스테이트] [5] 에이스, 벡터, MP5K 등과 함께[6] 공동으로[7] 캔티드 사이트가 없던 당시 기준으로[8] 너프가 체감되지 않고 탄 낙차가 덜한 모배에선 M4그라운드 문제가 더 심하다. 거의 반이 넘게 얘만 들고 다닌다.[9] 비슷한 시기에 같이 사운드가 리마스터링된 Kar98k, M249, SKS도 마찬가지로 격발음을 두 종류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10] 1위는 SKS, 2위는 Mk47 뮤턴트.[11] 정작 FAMAS는 900이라는 극도로 빠른 연사력 덕분에 5탄 AR 최강의 DPS를 자랑한다.[12] 연사를 지원하지 않는 M16이나 뮤턴트보다는 일반적으로 근접전에 강하나, 이 둘도 어느정도 숙달된 유저의 손에 들리면 연사 엠포를 심심찮게 이긴다.[13] 모배의 경우 탄 낙차가 적고 엠포의 화력도 강해 거의 없는 단점이나 마찬가지지만, 뉴배의 경우 엠포 성능이 매우 딸리므로 꽤나 심각한 단점이다.[14] 똑같은 사례로는 배틀필드 시리즈가 있는데, 이쪽도 상표권 문제로 HK416을 M416으로 표기한다. "배틀필드 배드 컴퍼니 2의 세계관에서 HK416이 미군 제식소총으로 채용되어서" 라는 설정으로 에둘렀었고 이후 3, 4, 하드라인에서도 M416으로 등장한다. 원래 이름은 HK416D였는데, M416으로 바뀌었다.[15] 초기 HK416은 진짜로 HK M4, HKM4D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얼마못가 콜트사의 소송으로 인해 명칭을 HK416으로 변경한 것이다.[16] 미국에선 일반인이 1986년 5월 19일 이후에 제작된 연발기능이 있는 총을 구매하는것이 연방법으로 제한 되어있다.[17] 5.56mm 나토 탄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다음과 같이 이름 붙임[18] 물론 외형에서 알수있듯이 이는 1913 피카티니 레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