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5 15:12:54

SK실트론

LG실트론에서 넘어옴
파일:SK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 계열사
<colbgcolor=#f47725> 지주회사 SK주식회사 | SK주식회사 C&C
에너지 · 화학 SK이노베이션 (SK이노베이션 E&S (코원에너지서비스 | 부산도시가스 | 충청에너지서비스 | 영남에너지서비스 | 전남도시가스 | 전북에너지서비스 | 강원도시가스 | 부산정관에너지 | 나래에너지서비스 | 파주에너지서비스 | 여주에너지서비스 | 보령LNG터미널주식회사) | SK에너지 | SK지오센트릭 | SK온 (SK온 트레이딩인터내셔널) | SK엔무브 | SK인천석유화학 | SK아이이테크놀로지 | SK어스온) | SKC (SK넥실리스 | SK엔펄스 | ISC |SK피아이씨글로벌 | 앱솔릭스) | 대한송유관공사 | SK주식회사 머티리얼즈 (SK스페셜티 | SK레조낙 | SK트리켐 | SK머티리얼즈퍼포먼스 | SK머티리얼즈제이엔씨 | SK머티리얼즈그룹14) | SK바이오팜 | SK디스커버리 (SK케미칼 | SK가스 | SK디앤디 | SK플라즈마 | SK바이오사이언스 | SK이터닉스) | SK시그넷
정보통신 · 반도체 · 전자 SK텔레콤 (SK커뮤니케이션즈 | SK브로드밴드 (홈앤서비스) | 미디어에스 | SK텔링크 | SK스토아 | 원스토어) | SK스퀘어 (SK플래닛 | 드림어스컴퍼니 (FLO) | 11번가 | 티맵모빌리티) | SK하이닉스 (SK키파운드리) | SK실트론 | SK TNS | 에센코어
마케팅 · 서비스 SK네트웍스 (그랜드 워커힐 서울 | 비스타 워커힐 서울 | 더글라스 하우스 | 다락휴 | SK네트웍스 서비스 | SK매직 | SK스피드메이트 | SK일렉링크 | 민팃 | 엔코아 | 하이코캐피탈 | SK트레이딩 (예정)) | SK에코플랜트 (SK머티리얼즈에어플러스) | SK에코엔지니어링 | SK오션플랜트 | SK리츠
교통 서울공항리무진
재단 행복나눔재단 | 한국고등교육재단 | SK미소금융재단
스포츠단
제주 SK FC | 서울 SK 나이츠 | T1 | SK 호크스 | SK 슈가글라이더즈 | SK렌터카 다이렉트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RE100 참여 기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colbgcolor=#f2f2f2,#fff><colcolor=#000> 삼성 <colbgcolor=#fff,#1c1d1f>삼성전자 | 삼성바이오로직스 | 삼성디스플레이 | 삼성전기 | 삼성SDI | 삼성화재 | 삼성생명
SK SK텔레콤 | SK주식회사 | SK하이닉스 | SK아이이테크놀로지 | SK주식회사 머티리얼즈 | SK실트론 | SKC
현대자동차 | 기아 | 현대모비스 | 현대위아
LG LG에너지솔루션 | LG이노텍 | LG전자
롯데 롯데케미칼 | 롯데웰푸드 | 롯데칠성음료
금융기관 KB금융그룹 | 신한금융그룹 | 미래에셋그룹
공기업 인천국제공항 | 한국수자원공사
기타 KT | 고려아연 | HD현대사이트솔루션 | LS일렉트릭 | 카카오 | 네이버 | 아모레퍼시픽
출처 / (★ 표시는 Gold Member)
}}}}}}}}} ||

SK실트론
SK Siltron Inc.
파일:SK실트론 로고.svg
<colbgcolor=#ee7609><colcolor=#fff> 기업명 정식: 에스케이실트론 주식회사
영어: SK siltron Inc.
설립일 1983년 4월 25일
업종명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및 유사 반도체소자 제조업
기업 규모 대기업
상장 유무 비상장기업
법인 형태 외부감사법인
모기업 SK그룹
대표이사 이용욱
본사 및 본점 본사: 경상북도 구미시 3공단3로 132-11(시미동)
본점: 경상북도 구미시 임수로 53 (임수동)
웹사이트 파일:SK실트론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정보 더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상장 유무 <colbgcolor=#fff,#1f2023><colcolor=#000,#fff>비상장기업
자본금 335억 원(2022년 기준)
매출액 2조 3,546억 원(2022년 기준)
영업이익 5,649억 원(2022년 기준)
순이익 3,744억 원(2022년 기준)
자산총액 4조 6,281억 원(2022년 기준)
부채총액 2조 9,220억 원(2022년 기준)
직원 수 3,645명(2023년 6월 기준)
}}}}}}}}}}}} ||
1. 개요2. 사업 영역
2.1. 실리콘 웨이퍼2.2. SiC 웨이퍼
3. 지배구조4. 특성5. 역사6. 역대 로고7. 역대 임원8. 사업장

[clearfix]

1. 개요

SK그룹 계열 국내 유일의 웨이퍼 제조 회사로, 반도체칩의 핵심 기초소재인 200mm, 300mm 반도체용 실리콘 웨이퍼를 메모리 및 비메모리 반도체 제조업체들을 대상으로 제조 및 판매하고 있으며, 300mm 웨이퍼 분야에서 글로벌 3위의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1] 구미에 3개의 공장이 있으며, 서울에 영업, 마케팅, 전략 직무가 있는 사무소가 있다. 해외 법인으로는 상해, 미국, 일본이 있고, 대만지사, 미국 달라스사무소와 프랑스 유럽사무소가 존재한다.

반도체 8대 공정 중 첫 번째 단계인 웨이퍼 제조 공정을 통해 Polished wafer(연마 웨이퍼)와 Epitaxial wafer를 주력 생산하고 있다. 한국 최대이자 세계 3위인 실리콘 웨이퍼 기업이다. 반도체 소재 분야의 경우, 일본과 미국에서 독점하다시피하고 있는데 SK그룹은 하이닉스 인수 이후에도 OCI머티리얼즈(현 SK머티리얼즈)를 인수해서 SK트리겜, SK쇼와덴코 설립하고, LG실트론을 인수하므로써 반도체 수직 계열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계열사들 사이 시너지를 내는 밸류체인을 구축함으로써 반도체 기술을 강화하고 내재화된 사업이 많을수록 필요한 소재를 적기에 개발할 수 있어 차세대 반도체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SK실트론의 주 고객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인텔, 마이크론 등 글로벌 반도체 업체들로, 반도체의 핵심 기초소재인 실리콘 웨이퍼를 생산, 공급하고 있다. 메모리 반도체 선두 업체인 삼성전자, SK하이닉스, Micron Technology 등과 비메모리 반도체 제조업체인 Intel, TSMC 등 글로벌 주요 반도체 업체들을 주된 고객으로 확보하고 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양사와 거래로 발생하는 매출은 2020년 전체 매출액의 약 60%를 차지한다. 이들 고객과의 비즈니스를 더욱 확대하면서, 고객 포트폴리오 다변화 또한 진행하고 있다. 2021년 반기 누적 지역별 매출 비중은 국내 48%, 아시아 39%, 북미 8%, 유럽 5% 수준으로 국내 영업과 해외 영업의 균형있는 성과를 내고 있다.

전기차, 5G, 인공지능 등 산업의 변화로 SK실트론은 미국의 듀폰사의 SiC Wafer 사업부를 인수하여 SiC 기반 전력반도체를 대비한 웨이퍼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있다. 고객사 대부분 유럽, 미국, 일본 등 해외업체이며, 수요가 확대될 전망에 따라 SiC 웨이퍼 제조 업체들은 적극적인 투자로 생산 능력을 대폭 확대하는 추세이다.

2. 사업 영역

2.1. 실리콘 웨이퍼


SK실트론이 생산하고 있는 웨이퍼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웨이퍼가 무엇인지 알아야 하는데, 웨이퍼란 반도체 등을 제조할 때 쓰이는 공정 중 가장 기본이 되는 재료이다.
고순도의 다결정 실리콘(Poly-Si)에 p-type, n-type 등의 특정 도판트를 혼합하여 산소를 차단하고 아르곤 가스가 가득한 석영 도가니에 넣어 고온, 고열로 용융시키고 특정 방향으로 단결정 실리콘인 순수한 ingot(잉곳)을 성장시키는 공정을 기본으로 최종적으로 폴리싱, 에칭, 혼합가스 등을 이용한 증착과정을 거친 실리콘 원판을 웨이퍼라 한다.

자세한 내용은 웨이퍼 문서 참고

2.2. SiC 웨이퍼

SiC Wafer는 Si Wafer 대비 耐고압, 耐고온, 低저항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전력 반도체의 핵심 소재로 에너지 효율이 중요한 전기차 등에 사용되는 차세대 반도체 소재이다. Si Wafer 대비 높은 다결정 성장 경향을 보이는 특성으로, SiC Wafer의 경우 제조기술 및 양산제품의 품질을 확보하기 난해한 특징을 가지고 있어, 기술 진입장벽이 높은 시장에 해당된다. 현재 주력으로 공급 중인 제품은 100mm 제품과 150mm 제품으로 구성되고, 150mm제품의 기술개발 및 생산시설 확충에 따라, 100mm 제품의 시장이 150mm 제품 중심의 시장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으며, 200mm 제품 기술 개발도 동시에 이루어 지고 있다.

향후 전기차 시장의 확대에 따라 전력반도체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전력반도체의 핵심소재인 SiC Wafer 시장도 같이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SiC Wafer 시장은 전기차용 전력반도체 시장의 성장에 따라 2017년부터 2020년까지 지속 증가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빠른 속도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SiC Wafer 시장의 성장을 견인하는 핵심요인은 전기차 시장의 성장과 전기차向 SiC 인버터 채택률 확대이다. 전세계 전기차 시장의 성장 전망에 따라 차량용 인버터의 핵심 소재인 전력반도체의 수요도 성장할 것으로 판단된다. 전기차용 인버터 시스템에 SiC 반도체 소자를 사용하면 고내열, 고속 스위칭, 고온 동작 등의 장점으로 인해 인버터의 고효율화, 저소음, 소형 경량화, 공간 절약 등을 기대할 수 있다. 전기차의 에너지 효율성 증대, 배터리 원가절감 필요성 등에 따라 기존 Si 인버터 대비 에너지 효율성이 높은 SiC 인버터의 채택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SiC Wafer의 주요 고객은 STMicro, Infineon 등 전력반도체 제조업체로 대부분 유럽, 미국, 일본 등 해외업체이다. SiC Wafer를 제조하는 주요 업체는 미국 Cree(Wolfspeed), 미국 II-VI, 일본 SiCrystal(ROHM)의 업체들이 있으며, Cree(Wolfspeed)사가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수요가 확대될 전망에 따라 SiC Wafer 제조 업체들은 적극적인 투자로 생산 능력을 대폭 확대하는 추세이다.

SiC Wafer를 제조하는 업체는 미국, 독일, 일본 등 다수의 업체들이 존재하나, 150mm 제품의 양산에 본격 진입하여 전력반도체 고객에 공급할 역량을 확보한 업체는 당사를 포함하여 소수 업체에 불과하다. 현재 SiC Wafer 시장은 빠르게 150mm 제품 중심의 시장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선도업체와 후발업체들과의 기술격차로 향후 SiC Wafer 시장의 경쟁구도는 상위 선도업체 위주로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

2021년 반기 누적 지역별 매출 비중은 유럽 59%, 북미 12%, 아시아 29%이다.

3. 지배구조

주주명 지분율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SK주식회사
51.0%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키스아이비제십육차주식회사
19.4%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워머신제육차주식회사
11.5%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더블에스파트너쉽2017의2유한회사
10.0%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워머신제칠차주식회사
8.1%

4. 특성

Si Wafer는 고순도의 다결정 실리콘을 용융시켜 특정 방향으로 성장시킨 단결정 실리콘 잉곳을 얇게 자른 박판으로 반도체 소자 제조의 핵심 원재료이며, 반도체 경기 변동에 민감한 특성을 갖고 있다.

2020년 Si Wafer 출하량은 전년대비 약 5% 증가하여 사상 최고치 출하량이었던 2018년 실적에 근접한 회복세를 보였다. COVID-19 영향에도 불구하고 재택근무, 원격교육이 확대되면서 PC와 태블릿 등의 통신기기나 클라우드 등에서 웨이퍼 수요가 확대되었습니다. 중장기적으로는 서버, 스토리지 등 정보 저장기기의 수요 증가 및 사물인터넷(IoT), Automotive 등 신규 시장의 성장 등으로 웨이퍼 수요도 지속적인 증가가 기대된다.

실리콘 웨이퍼(Silicon Wafer)는 일본, 독일 등 소수기업만이 제조 기술을 보유한 기술 진입 장벽이 높은 분야이다. SK실트론은 세계 최고 수준의 결정도 (Defect Free Crystal), 청정도(Small Size Particle control), 평탄도 (Super Flat Surface control)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 기업으로는 유일하게 글로벌 반도체 기업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전세계 Wafer Suppliers 內 매출 기준 시장점유율은 10.6% GLOBAL TOP 5, 300mm Wafer Capa. 기준 시장점유율은 15%로 GLOBAL TOP 3를 기록했다.(* 2018년 기준)

SK실트론은 과거 10년간 연평균 3.2%의 견조한 매출 성장세를 이어오고 있다. 특히 2018년은 반도체 시장의 성장세 속에서 고객과의 장기계약 확대로 안정적인 판매 기반을 확보하는 가시적인 성장의 틀을 마련한 시기로, 전년 대비 40% 이상 성장률 기록하며 창사 이래 최고 매출액을 경신했다.

1998년 최초 녹색기업 지정을 시작으로, 국내 전 사업장에서 SHE 관련 인증을 획득하고, SHE의 자발적인 지속 개선을 추진하고 있으며, 모든 경영활동 단계에서 SHE경영을 최우선으로 실천하는 ‘친환경·무재해 사업장’을 추구하고 있다.

5. 역사

본사의 모태는 두 가지로 나뉘는데, 전자는 1981년 동부그룹 계열 삼척산업(훗날의 동부산업)이 상공부로부터 외국인 투자 인가를 받아 미국 몬산토와 반반씩 합작해서 1983년 '코실'을 세웠고, 1986년 외국인 투자기업으로 등록하고 경북 구미공단 내에 공장을 세웠다. 1987년 외국인투자업 변경 등록 후 1989년 사명을 '동부전자통신'으로 변경했다. 후자는 1984년 럭키금성그룹 계열 럭키소재가 미국 실텍과 실리콘 웨이퍼 기술제휴를 맺은 게 시초이며, 1987년 경북 구미공단 내에 100~150mm 실리콘 웨이퍼 공장을 세웠다.

1990년 럭키소재가 동부전자통신을 인수하여 법인명을 '실트론'으로 바꾸고, 1991년에 럭키소재의 웨이퍼사업부문을 넘겨받은 뒤 이듬해 부설 연구소를 세웠으며, 1994년 32,000장 가량을 생산할 수 있는 8인치 웨이퍼 생산라인을 세우고 1995년 동양전자금속의 이천공장을 인수했다. 1996년 200mm 웨이퍼공장, 1997년 대구경(64MD 램용) 실리콘웨이퍼 공장을 각각 세웠으며, 1998년 구미1공장이 환경친화기업으로 인정받았다. 2001년 8인치 프라임 잉곳 그로워를 국내 최초로 자체 생산한 후 2003년 12인치까지 국내 최초로 생산했으며, 2005년 자체 브랜드 및 새 CI를 제정한 후 2009년 솔라 웨이퍼 생산라인을 차렸다. 2010년 일본에 첫 해외법인을 세우고 이듬해 사명도 'LG실트론'으로 바꿨다. 2011년 사파이어 웨이퍼 공장을 세웠다가 2013년 실적이 부진한 솔라 및 사파이어 웨이퍼 사업에서 철수했고, 2017년 SK로 매각되어 현 사명으로 개칭했다. 2019년 300mm 반도체 웨이퍼 제조를 위한 단결정 성장 기술인 잉곳 그로잉이 국가핵심기술로 채택됐고, 2020년 미국 듀폰 사의 SiC 웨이퍼 사업부를 인수했다.

2022년 9월, EUV 공정 메모리 칩 생산을 위한 10 nm 4 세대(1a) D랩 연마 웨이퍼 개발을 발표했다. 삼성과 SK하이닉스의 DRAM 메모리 칩이 EUV 공정을 적용하기 시작했으며, 필요한 EUV 등급 실리콘 웨이퍼는 이전에 일본 2개사인 신에츠화학과 섬코(1위와 2위 실리콘 웨이퍼 공급업체)만이 생산할 수 있었고, 삼성은 일본 제조업체의 제품을 수입해야 했다. 하지만 이제 SK 실트론이 EUV 실리콘 웨이퍼를 양산함에 따라, 삼성전자, SK하이닉스도 한국산 제품을 소싱해 일본 업체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공급망을 다각화할 예정이다.

2022년 매출액이 5년 연속 1조 원을 돌파했으나 영업이익률은 낮아지고 있다. #

6. 역대 로고

코실 파일:동부그룹 상징.png 파일:LG 로고(1995-2015).svg 파일:LG실트론 로고.png 파일:SK실트론 로고.svg
<colbgcolor=#ee7609> 1983년 <colbgcolor=#ee7609> 1989년 <colbgcolor=#ee7609> 1995년 <colbgcolor=#ee7609> 2015년 <colbgcolor=#ee7609> 2017년 ~ 현재

7. 역대 임원

8. 사업장







[1] 1,2위는 일본의 신에츠와 SUM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