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K리그/드래프트
역대 K리그 드래프트 | ||||
2000 드래프트 | ← | 2001 드래프트 | → | 2006 드래프트 |
1. 개요
2000년 7월 13일과 2000년 12월 12일 2차례로 나뉘어 열린 K리그 1기 드래프트의 마지막 드래프트. 과열되는 스카우트 열기를 분산시킨다는 목적 아래 고교 선수 드래프트를 7월로 앞당겨 실시하고, 12월 드래프트에는 대학-실업 선수 드래프트만 실시한다.2002 시즌부터는 드래프트가 전면 폐지되고 자유계약제도로 운영이 전환되었으나 2006년 다시 부활한다.
2. 진행방식
- 고교선수 임의지명 제도가 확대되어 각 클럽이 연고지 내의 최대 3개의 고등학교를 지명해 졸업자들을 우선 지명할수 있게 되었다. 각 학교당 3명으로 총 9명을 지명할 수 있는 시스템.
- 또한 고교 선수 드래프트에 지명학교 상관없이 지명할 수 있는 시스템이 새로 생겼다.
- 번외 드래프트 개념이 사라진 2000년 드래프트에서 한 걸음 더 나가, 7라운드 지명자부터는 사실상의 자유계약협상을 하는 지명제로 바뀌었다. 번외지명자의 계약 사항인 최저 1200만원의 연봉 하한선이 사라지고 구단과 연봉협상을 하는 시스템으로 바뀐 것인데, 이 제도가 하순위에만 적용되어 많은 논란이 일었다.
- 지명은 한 라운드에 1명만 지명 가능하다.
- 4라운드 지명은 연고 대학의 선수를 드래프트 시작 전 미리 지명하는 우선지명으로 진행된다. 우선지명이 없을 경우 다음 라운드로 자동 패스된다.
- 추첨과 순위 역순을 혼합한 방식으로 순번이 정해졌다. 먼저 지난 시즌 8위~10위 3팀은 추첨을 통해 1~3순위의 순번을 정하고, 나머지 7팀은 성적 역순을 통해 4~10순위의 순번을 정한다.
3. 지명결과
- 7월 고교졸업 선수 드래프트
구단 | 자유지명 | 연고지명 |
부산 아이콘스 | 김태민 김진우 김효길 | 황달영 |
안양 LG | 구용찬 | 한정화 신재필 김경수 안성훈 박성호 김상운 |
수원 삼성 | - | 김두현 조성환 오규찬 손승준 이여성 김민성 |
울산 현대 | 전광철 | 최배식 |
전남 드래곤즈 | 윤영웅 고세민 | 하기윤 |
전북 현대 | 박성우 | 김현기 남궁도 |
포항 스틸러스 | 박주호 | 신수진 유현구 |
성남 일화 | 없음 | |
대전 시티즌 | 없음 | |
부천 SK | 없음 |
- 12월 대학-실업 선수 드래프트
구단 | 1차 | 2차 | 3차 | 4차 (우선지명) | 5차 | 6차 | 7차 | 8차 | 9차 | 10차 | 11차 | 12차 |
포항 스틸러스 | 김상록 | 강용 | 나희근 | 최종범 | - | 이정민 | 장우창 | 허인무 | 이정운 | 윤호영 | - | - |
대전 시티즌 | 김영근 | - | 탁준석 | - | 정영훈 | - | - | - | - | - | - | - |
울산 현대 | 조세권 | 서덕규 | 권정혁 | 박기욱 | - | - | 박경삼 | - | 정성화 | - | - | - |
전남 드래곤즈 | 김길식 | 이창원 | 최정호 | 이영수 | 윤영종 | - | - | - | - | - | - | - |
부산 아이콘스 | 송종국 | - | 김기종 | 오종석 | - | - | - | 박준홍 | 정상수 | - | 황철민 | 김경진 |
수원 삼성 | - | - | - | - | - | - | - | - | - | - | - | - |
전북 현대 | - | 추운기 | 박경환 | - | 고민기 | - | 권종민 | 이석 | - | - | - | - |
성남 일화 | 백영철 | 김용희 | - | 김종대 | - | - | 박종남 | 김현재 | 신동열 | - | - | - |
부천 SK | 윤원철 | 정필석 | - | 최현 | - | - | - | 이범직 | 김기택 | 김만중 | - | - |
안양 LG | 박윤화 | 김장현 | 길경호 | - | 권진우 | - | 연정흠 | 정호교 | - | - | - | - |
당시만 해도 마지막 드래프트였기 때문에 다음 해 자유계약을 노리고 이번 드래프트에 참가하지 않는 선수들이 대다수였다. 그런 와중에 송종국이 부산에 1순위로 뽑혀 K리그 데뷔를 한 해기도 하다. 전체 1순위로는 고려대 미드필더 김상록이 지명되었는데 이후 그는 K리그에서 쏠쏠한 활약을 보이며 크게 스타가 되진 못했어도 롱런하는 미드필더가 된다. 또한 강용, 조세권, 나희근, 서덕규, 추운기, 윤원철 등이 주목할만한 자원이었으며 특히 부산은 송종국과 김용희를 얻으며 최악의 드래프트라고 불리는 2001 드래프트에서 그나마 성과를 보인 팀이었다.
울산은 조세권, 서덕규라는 쏠쏠한 자원을 선발했다. 또한 울산대 졸업 후 지역 연고 대학 우선지명으로 선발된 박기욱은 선수로는 빛을 보지 못했지만 은퇴 후 현대중, 현대고 코치를 거쳐 약 11년 간 울산 현대 유스 지도자로 활약하며 설영우, 홍현석, 박규현 등 울산의 97년생~05년생 나이대 유망주를 육성한 유소년 레벨의 대표적인 지도자로 거듭났다.
드래프트 폐지가 예정되고 열린 마지막 드래프트였기에 이미 10개 구단들은 이에 대비해 유소년 시스템을 마련하고 있던 상황이었고, 당시 그 선두주자는 안양과 수원이었다. 유소년 시스템으로 이미 유명한 포항과 전남과는 결이 다르게, 이 두팀은 2군팀을 유망주팀으로 만들어 집중 육성하는 방식을 채택하며 K리그의 강호로 떠오르고 있었다. 두 팀은 드래프트에서도 고졸 선수들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그나마 안양은 박윤화 등 6명의 지명권을 행사하면서 대졸 드래프트에 의욕적으로 참가했으나 수원은 지역 유망주인 김두현, 조성환을 7월 고교 드래프트에 지명하는 대신 12월 드래프트에선 단 한장도 지명권을 행사하지 않는 파격적인 선택을 했다. 졸지에 취업문 하나가 없어진 대학축구계는 수원 구단에 맹렬히 반발했을 정도. 그러나 김호의 유망주 정책은 대졸 대신 고졸 선수들을 구단에서 직접 키워 만들겠다는 정책으로 이미 구단의 중심 정책이 됐기 때문에 수원 구단은 아랑곳하지 않고 사상 초유의 무지명을 행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