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0 20:33:44

IsoP

순장타율에서 넘어옴
<colbgcolor=#ffd700> 파일:야구 픽토그램.svg
야구의 기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투수의 기록 구종 가치 · 규정이닝 · 평균자책점 · 승리 투수 · 패전 투수 · 승률 · 탈삼진 · 완투 · 완봉 · 세이브 · 블론세이브 · 홀드 · WHIP · 퀄리티 스타트 · K/BB · DIPS(FIP) · pFIP · RA9 · ERA+ · kwERA · SIERA · 게임 스코어
타자의 기록 규정타석 · 타석 · 타수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OPS+ · 안타 · 장타(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득점 · 도루 · 도루실패 · 사사구(볼넷 · 사구) · 삼진 · 병살타 · 삼중살 · 희생(희생번트 · 희생플라이) · BB/K · RC(RC27) · RE24 · IsoD(순출루율) · IsoP(순장타율) · XR · wOBA · wRAA · Offense · wRC+ · GPA · EqA · UEQR · DRS · UZR
투·타 공통 실책 · WAR · WPA · cWPA · BABIP · VORP · 컴투스 프로야구 포인트 · 웰컴톱랭킹
관련 문서 세이버메트릭스 · 투승타타 · 윤석민상(김혁민상)
관련 사이트 스탯티즈 · KBReport · 베이스볼 레퍼런스 · 팬그래프 닷컴
}}}}}}}}} ||

1. 개요2. 뜻3. 장타율과의 관계4. 문제점5. 순장타율 관련 기록

1. 개요

Isolated Power. 약자는 ISO.

타자의 고유 힘(raw power)을 측정하기 위한 스탯으로, 장타(그리고 장타의 유형)만을 이용해 계산된다.mlb 공홈

한국어로는 순장타율로 주로 불린다.

어째서인지 나무위키 문서명은 ISO도 순장타율도 아닌 IsoP이다. Mlb 공홈, 위키피디아, 팬그래프 모두 ISO를 약어로 사용한다.

2.

계산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Isop=SLG-BA 즉, 장타율에 타율을 빼는 것이다.

장타율이 타자가 한 타수당 얻어내는 루의 개수라면, 순장타율은 타자가 안타를 칠 때마다 기본으로 얻어내는 1개의 루를 제외하고 한 타수당 얻어내는 루의 개수이다.

예를 들어 KBO 역대 장타율 및 순장타율 1위에 올라있는 선수인 이승엽은 통산 장타율은 0.572, 순장타율은 0.270이다. 즉, 이승엽은 한 타수당 평균 0.572개의 루를 얻어내고, 한 타수당 장타를 통해 0.27개의 루를 추가로 얻어낸 타자라는 뜻이다.

3. 장타율과의 관계

장타율도 타자의 장타력을 가늠할 수 있는 수치이긴 하지만, 단타만 많이 쳐도 높일 수 있는 지표인 장타율과는 달리 순장타율은 단타를 철저히 배제하는 수치이다. 극단적인 예시이긴 하나 어떤 타자가 모든 타수에서 단타를 쳐냈다면 그 타자의 타율과 장타율은 모두 10할이지만, 대신 순장타율은 0이다. 이 타자는 한 타수당 장타를 통해 추가로 얻어내는 루의 개수가 0개라는 것이다. 즉, 순장타율은 말 그대로 타자의 순수 장타력을 더 확실히 가늠할 수 있는 수치로서 그 가치가 있다.

다만 어쨌든 장타율도 2루타 이상의 장타를 많이 쳐낸다면 높아지는 수치이므로 보통 장타율과 순장타율은 정비례한다.

유의미할 정도로 샘플이 크면서 오차가 큰 예외는 이대형이 있다. KBO 역사에서 생산성 없는 똑딱이 타자 중 하나로 평가 받는 이대형의 커리어 하이 시즌인 2016년의 성적을 보면, 얼핏 보기엔 0.320의 타율과 192안타로 상당히 준수한 성적을 올렸으나 장타율과 순장타율이 각각 0.358과 0.038밖에 되지 않는다. 안타를 192개나 쳤음에도 2루타 이상의 장타가 18개에 불과했기에 한 타수당 얻어내는 평균 루의 개수는 0.358개, 한 타수당 장타를 통해 추가로 얻는 평균 루의 개수는 0.038개 밖에 되지 않는 타자라는 뜻이다.(...) 반대로 2022년 이정후는 안타 갯수는 이 당시 이대형보다 딱 1개 많은 193안타를 쳐냈는데, 장타율은 0.575에 순장타율은 0.226에 달했다.

4. 문제점

5. 순장타율 관련 기록

순위 선수 명 IsoP
1 이승엽 .270
2 박병호 .265
3 심정수 .247
4 최정 .244
5 김재환 .226
5 한유섬 .226
7 나성범 .224
8 이만수 .223
8 장종훈 .223
10 김기태 .222



[1] 00년의 홈런왕은 같은 팀의 박경완으로 40홈런을 기록했다.[2] 보통 30홈런 이상 친 타자는 장타율이 아무리 적게 잡아도 5할 후반은 되어야 한다.[3] 물론 당시 현대의 타선은 박재홍, 박종호, 박경완 등등 KBO 역대 최강의 타선 논쟁에 꾸준히 끼는 그야말로 초호화 타선이었던 건 감안해야 한다.[A] 현역은 굵은 글씨로 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