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ffd700> 야구의 기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투수의 기록 | 구종 가치 · 규정이닝 · 평균자책점 · 승리 투수 · 패전 투수 · 승률 · 탈삼진 · 완투 · 완봉 · 세이브 · 블론세이브 · 홀드 · WHIP · 퀄리티 스타트 · K/BB · DIPS(FIP) · pFIP · RA9 · ERA+ · kwERA · SIERA · 게임 스코어 |
타자의 기록 | 규정타석 · 타석 · 타수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OPS+ · 안타 · 장타(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득점 · 도루 · 도루실패 · 사사구(볼넷 · 사구) · 삼진 · 병살타 · 삼중살 · 희생(희생번트 · 희생플라이) · BB/K · RC(RC27) · RE24 · IsoD(순출루율) · IsoP(순장타율) · XR · wOBA · wRAA · Offense · wRC+ · GPA · EqA · UEQR · DRS · UZR | |
투·타 공통 | 실책 · WAR · WPA · cWPA · BABIP · VORP · 컴투스 프로야구 포인트 · 웰컴톱랭킹 | |
관련 문서 | 세이버메트릭스 · 투승타타 · 윤석민상(김혁민상) | |
관련 사이트 | 스탯티즈 · KBReport · 베이스볼 레퍼런스 · 팬그래프 닷컴 |
1. 개요
Isolated Power. 약자는 ISO.타자의 고유 힘(raw power)을 측정하기 위한 스탯으로, 장타(그리고 장타의 유형)만을 이용해 계산된다.mlb 공홈
한국어로는 순장타율로 주로 불린다.
어째서인지 나무위키 문서명은 ISO도 순장타율도 아닌 IsoP이다. Mlb 공홈, 위키피디아, 팬그래프 모두 ISO를 약어로 사용한다.
2. 뜻
계산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Isop=SLG-BA 즉, 장타율에 타율을 빼는 것이다.장타율이 타자가 한 타수당 얻어내는 루의 개수라면, 순장타율은 타자가 안타를 칠 때마다 기본으로 얻어내는 1개의 루를 제외하고 한 타수당 얻어내는 루의 개수이다.
예를 들어 KBO 역대 장타율 및 순장타율 1위에 올라있는 선수인 이승엽은 통산 장타율은 0.572, 순장타율은 0.270이다. 즉, 이승엽은 한 타수당 평균 0.572개의 루를 얻어내고, 한 타수당 장타를 통해 0.27개의 루를 추가로 얻어낸 타자라는 뜻이다.
3. 장타율과의 관계
장타율도 타자의 장타력을 가늠할 수 있는 수치이긴 하지만, 단타만 많이 쳐도 높일 수 있는 지표인 장타율과는 달리 순장타율은 단타를 철저히 배제하는 수치이다. 극단적인 예시이긴 하나 어떤 타자가 모든 타수에서 단타를 쳐냈다면 그 타자의 타율과 장타율은 모두 10할이지만, 대신 순장타율은 0이다. 이 타자는 한 타수당 장타를 통해 추가로 얻어내는 루의 개수가 0개라는 것이다. 즉, 순장타율은 말 그대로 타자의 순수 장타력을 더 확실히 가늠할 수 있는 수치로서 그 가치가 있다.다만 어쨌든 장타율도 2루타 이상의 장타를 많이 쳐낸다면 높아지는 수치이므로 보통 장타율과 순장타율은 정비례한다.
유의미할 정도로 샘플이 크면서 오차가 큰 예외는 이대형이 있다. KBO 역사에서 생산성 없는 똑딱이 타자 중 하나로 평가 받는 이대형의 커리어 하이 시즌인 2016년의 성적을 보면, 얼핏 보기엔 0.320의 타율과 192안타로 상당히 준수한 성적을 올렸으나 장타율과 순장타율이 각각 0.358과 0.038밖에 되지 않는다. 안타를 192개나 쳤음에도 2루타 이상의 장타가 18개에 불과했기에 한 타수당 얻어내는 평균 루의 개수는 0.358개, 한 타수당 장타를 통해 추가로 얻는 평균 루의 개수는 0.038개 밖에 되지 않는 타자라는 뜻이다.(...) 반대로 2022년 이정후는 안타 갯수는 이 당시 이대형보다 딱 1개 많은 193안타를 쳐냈는데, 장타율은 0.575에 순장타율은 0.226에 달했다.
4. 문제점
- 세이버매트릭스가 야구 선수의 실력 및 가치를 판단하는 가장 중요한 척도가 된 뒤로 타자의 장타력을 판단하는 기준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다른 야구의 지표들과 마찬가지로 순장타율 역시 결점이 있으니 완전히 맹신해선 안 되고 목적(순수한 힘의 측정) 이외에는 사용되서는 안 된다. 다른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 문제점이 커진다.
그 이유는 바로 종합적인 지표로서는 공갈포형 타자에게 지나치게 유리한 지표이기 때문이다. 이런 선수에게 순장타율만 보고 "힘이 좋다."와 "종합적으로 좋다"라고 평가하는 것은 옳지 않다. 전자의 평가만 올바르다.
홈런은 꽤 치긴 하나 타율 및 안타 개수가 낮은 공갈포형 타자들은 어쨌든 힘은 좋으니 순장타율이 굉장히 높게 나온다. 극단적인 예시를 들자면, 10번의 타석에 서서 한 타석에서만 홈런을 치고 나머지 타석에서는 아웃 당한 타자의 성적을 계산한다면 타율과 출루율은 1할, 장타율은 4할이며, 순장타율은 무려 3할이다. 보통 순장타율이 2할만 넘어도 뛰어난 장타력을 보유한 타자라 할 수 있는데, 3할이면 거의 홈런왕 및 시즌 MVP 타자급의 순장타율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순장타율을 보유했음에도 불구하고, 이 타자는 타율과 장타율이 1할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결코 종합적으로는 좋은 타자라 할 수 없다. 야구에서는 홈런을 꽤 잘 때린다 해도 결국 타율과 출루율이 충분히 받쳐줘야 강타자라 할 수 있고, 홈런'만' 칠 줄 아는 공갈포는 타격 생산력 및 팀 기여도가 매우 낮으므로 강타자라 할 수 없는게 일반적인데, 순장타율을 종합적인 용도로 쓴다면 그런 맹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전 세계 야구 선수를 통틀어서 이런 순장타율의 맹점을 보여주는 선수는 숱하게 많은데, 대한민국의 KBO에서 대표적인 예시를 들자면 2000년 현대 소속이었던 용병 내야수 톰 퀸란이 있다. 2000년 당시 퀸란은 37홈런 91타점에 무려 0.284에 달하는 3할에 가까운 순장타율을 기록했는데, 여기까지만 보면 그야말로 리그를 씹어먹은 생태교란종 강타자처럼 보이겠으나 실상은 전혀 그렇지 않았다. 왜냐하면 다른 스탯들은 죄다 쓰레기에 가까웠기 때문. 타율은 0.236, 출루율은 0.302에 지나지 않았고, 심지어는 다른 시즌이었다면 홈런왕도 가능했을[1] 37홈런이나 쳤음에도 장타율은 0.520로 5할 초반을 간신히 넘기는 수준에[2] wRC+가 91.6에 지나지 않았다. 이런 문제들로 인해 퀸란은 37홈런이나 쳤음에도 팀에서 가장 약한 타자가 맡는다는 8번에 주로 위치했다.[3]물론 퀸란은 3루 수비는 매우 훌륭했고 한국시리즈 7차전에서는 혼자서 팀의 모든 타점을 책임지는 맹활약을 펼치는 등 현대 유니콘스의 우승에 매우 큰 역할을 한 선수인 것은 맞으나, 예나 지금이나 강타자로서는 전혀 인정받지 못하는 선수다.
정리하자면, 순장타율은 단타를 완전히 배제하는 특징으로 인해 종합적인 지표로서는 공갈포형 타자에게 지나치게 유리하다. 한 타자의 기량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순장타율만 따져서는 당연히 안 되고 타율 및 출루율 등 여러 지표와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 고급 지표로는 war, wrc 등이 있다. - 순수한 힘을 판별하는 데에서도 적절하지 못하다는 지적이 있다. 엠팍
"1번. 10타석 10타수 8헛스윙삼진 2안타(1루타 1개, 2루타 1개) -> 타율 0.20 장타율 0.30 순장타율 0.10"
"2번. 10타석 10타수 6헛스윙삼진 4안타(1루타 2개, 2루타 2개) -> 타율 0.40 장타율 0.60 순장타율 0.20"
"3번. 10타석 10타수 6헛스윙삼진 4안타(1루타 3개, 2루타 1개) -> 타율 0.40 장타율 0.50 순장타율 0.10"
위와 같은 예시를 생각해보자. 힘과 무관한 컨택트가 발전하여 헛스윙 삼진만 줄어들었고 힘은 그대로인데 2번의 순장타율은 1번에 비해 2배가 되었다. 반대로 힘이 줄어들었는데 3번의 순장타율은 1번과 동일하다.
이는 순장타율이 측정하는 것이 "한 타수당 단타가 아닌 장타를 통해 진루한 루의 개수"를 측정하기 때문이다. 분모가 타수다. 이는 곧 "한 안타가 이루어진 타수당 (이하동일) + 한 안타가 이루어지지 않은 타수당 (이하동일)"로 분해될 수 있고 전자보다 후자가 힘이 아닌 다른 변수들(컨택트, 선구안 등)에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 따라서 순장타율도 다른 변수들의 영향을 받게 된다. 이 때문에 분모를 타율, 즉 한 안타가 이루어진 타수로 바꾸자는 의견이 있다.
'''이게 바로 파워 팩터(power factor)고 예전부터 있던 스탯이다!" 근데 인기가 없다. 한국도 마찬가지라서 검색 결과가 잘 나오지 않는다.2015년 영어 블로그
"Perhaps you only want to know what happens when the batter actually puts the ball in play, and want to ignore both at bats in which the ball is not put in play (which are included in ISO’s denominator). This school of thought would hold that strikeout rates not relevant to the question of power."영어 블로그. 번역하자면 "삼진은 힘이 아니기 때문에 분모를 인플레이 타구로 보아야 한다는 학파가 있다.". 세부 사항은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엠팍 글과 동일한 논지이다.
5. 순장타율 관련 기록
- KBO 역대 통산 순위. [A]
순위 | 선수 명 | IsoP |
1 | 이승엽 | .270 |
2 | 박병호 | .265 |
3 | 심정수 | .247 |
4 | 최정 | .244 |
5 | 김재환 | .226 |
5 | 한유섬 | .226 |
7 | 나성범 | .224 |
8 | 이만수 | .223 |
8 | 장종훈 | .223 |
10 | 김기태 | .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