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2 18:27:49

GM 뉴 룩 버스

파일:제너럴 모터스 로고(1964-2021).svg
파일:GM New Look Bus.jpg
New Look Bus

1. 개요2. 상세
2.1. 1세대2.2. 2세대2.3. 3세대2.4. 파생차종
3. 미디어4. 둘러보기


General Motors New Look Bus

1. 개요

미국의 자동차 제조사인 제너럴 모터스에서 생산한 버스이다. 미국에서는 1959년부터 1977년까지, 캐나다에서는 1962년부터 1986년까지 생산되었다. 44,484대가 제작 및 생산되었다.

2. 상세

강철 골격, 목재 바닥과 측면부의 알루미늄 패널을 결합한 경량 모노코크 바디, 올드 룩 버스 대비 커진 앞창문과 옆창문을 특징으로 하며, 넓은 면적의 유리창에 힘입어 어항(Fishbowl)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뛰어난 내구성으로 높은 평가를 받으며 오랜 기간동안 생산되었으며, 미국에서는 1977년에 후속 모델인 RTS가 출시되며 단종되었으나 RTS가 현지 운수업체들로부터 외면받은 캐나다에서는 1985년까지 생산되었다.[1]

캐나다에서는 캐나다의 GM 디젤 디비전이 뉴 룩 버스의 설계에 기반한 발전형으로 개발한 클래식을 1982년에 도입, 뉴 룩 버스의 직계후속차종으로 판매되었다.

2.1. 1세대

2.2. 2세대

2.3. 3세대

2.4. 파생차종

2.4.1. 클래식

3. 미디어

로스앤젤레스 시내 버스 중 하나로 뉴 룩 버스가 등장하며, 용암이 분출되어 시내를 뒤덮고 있던 긴급상황에서 용암의 속도를 늦추기 위한 방해물로 쓰였다. IMCDB에는 1972년형 GMC TDH 5307-A로 등재되어 있다.1기 11화 "Little Dipper" 중반부에 시내버스로 뉴 룩 버스의 외형을 차용한 시내버스가 등장하며 기울기가 주어진 평행사변형 옆창문, 극중에서 잠깐 등장하는 전면부를 뉴 룩 버스와 공유한다.2편 Driver 2: The Wheelman Is Back의 하바나, 3편 Driv3r의 마이애미에서 시내버스로 뉴 룩 버스 기반의 차량이 등장하며 플레이어가 직접 탈취할 수 있다. 3편에 등장한 차량은 Driver 76, Driver Parallel Lines에도 출연한다.

4. 둘러보기

파일:제너럴 모터스 로고 화이트.svg
제너럴 모터스의 차량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771d8,#191919><rowcolor=#fff> 차종 차량
승용차 EV1 · 하이드로젠3 · 하이드로젠4
상용차 올드 룩 버스 · 뉴 룩 버스 · 버팔로 버스 · 퓨처라이너 ·
TDH-4801 & TDM-4801 · PD-4103 · PD-4501 시니크루저 · 클래식
대전차 자주포 M10 GMC
<rowcolor=#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각 브랜드별 차량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현재 계열사별 차량들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771d8,#191919><rowcolor=#fff> 쉐보레의 차량 목록
GMC의 차량 목록
뷰익의 차량 목록
캐딜락의 차량 목록 }}}}}}{{{#!folding [ 과거 계열사별 차량들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771d8,#191919><rowcolor=#fff> GM대우의 차량 목록
마르퀘테의 차량 목록
홀덴의 차량 목록
브라이트드롭의 차량 목록
올즈모빌의 차량 목록
허머의 차량 목록
폰티악의 차량 목록
새턴의 차량 목록
아스나의 차량 목록
지오의 차량 목록 }}}}}}}}}}}}
}}}}}}}}} ||



[1] 특히 RTS는 미국에서 낮은 내구성, 에어컨 유닛의 낮은 신뢰성같은 수많은 결함으로 비판받고 판매실적도 뉴 룩 버스보다 한창 떨어져 제너럴 모터스가 대형 트럭 및 버스 시장에서 철수하는 원인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