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딜락에서 생산했던 대형차에 대한 내용은 캐딜락 DTS 문서 참고하십시오.
🎵 오디오 코덱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colbgcolor=#555>손실 압축 | <colbgcolor=#555><colcolor=#fff>일반 | MP1 · MP2 · MP3 · mp3PRO · AAC · Musepack · WMA · Vorbis · Opus · USAC |
음성 특화 | AMR-NB · AMR-WB · AMR-WB+ · WMA Voice · Speex · Opus · Codec 2 · EVS · Lyra | ||
다중채널 특화 | AC-3 · SDDS · DTS · AC-4 | ||
블루투스 | SBC · aptX · AAC · LDAC · SSC(Samsung Seamless Codec · Samsung Scalable Codec) · LC3 | ||
무손실 압축 | FLAC · ALAC · APE · TAK · WMA Lossless · TTA · WavPack | ||
무손실 무압축 | PCM (WAV · AIFF) | ||
관련 문서: MIDI · DSD | |||
관련 틀: 그래픽 · 오디오 · 비디오 |
[clearfix]
1. 개요
공식 홈페이지(영어)한국 자사 공식 블로그
DTS의 역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영상. |
1990년에 설립된 미국의 기업. 음향 엔지니어였던 Terry Beard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사명과 동일한 이름의 영화관용 디지털 음향 시스템을 시작으로 다양한 음향 기술을 개발/판매하는 기업이다. 본사는 캘리포니아 칼라바사스에 있다. 2016년 반도체 패키징 업체이자 특허괴물인 테세라[1]에 인수되었다.
DTS는 'Digital Theater System'의 약자이고 실제로 설립 당시의 정식 사명도 저것이었지만, 2019년 현재는 풀네임은 공식적으로는 사용되고 있지 않다.
한국 지사는 2007년에 설립되었으며, 위의 인수에 따라 2019년 한국 지사의 정식 명칭은 엑스페리 코리아가 되었다.
2. 규격
2.1. DTS
35mm 필름에 수록된 사운드트랙. 우측부터 SDDS, 돌비 디지털, 돌비 스테레오, DTS 타임코드 |
DTS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영화관용 디지털 서라운드 음향 시스템, 그리고 이 시스템에 사용되는 서라운드 음성 손실 압축 포맷. 처음 채용된 영화는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1993년작 쥬라기 공원.
유성영화 초창기에 반짝 등장했다 사라졌던 '필름과 별개의 디스크 매체를 통한 음향 재생'을 디지털로써 다시 구현한 시스템으로, 필름에는 싱크를 맞추기 위한 타임코드만 기록되어 있고[2], 실질적인 재생은 별도의 재생기에 데이터가 들어간 CD-ROM을 통해 이루어진다.
35mm와 70mm 필름 양쪽에서 사용할 수 있는데, 35mm에서는 1년 먼저 시장에 등장한 돌비 디지털이나 같은 해에 등장한 SDDS 등과 경쟁하는 관계였지만[3], 70mm에서는 사실상 단독 표준 디지털 음향 시스템으로 채택되었으며, 2010년대 이후에도 70mm 상영이 이루어지면 음향은 대부분 DTS로 돌린다.
1996년에는 가정용 시장에 진출하면서 가정용 비디오 소프트웨어에도 DTS 음향이 들어가기 시작하였다. 처음으로 DTS 음향이 들어간 가정용 비디오 소프트 역시 1997년에 발매된 쥬라기 공원의 레이저디스크판이다. DVD에서는 표준 규격이 아니었기 때문에 단독으로 수록할 수는 없고 표준 규격이었던 PCM이나 돌비 디지털을 기본으로 추가적으로 수록되는 형태였지만, 블루레이에서는 DTS 역시 표준 규격으로 들어갔기 때문에 DTS 단독으로 수록할 수 있다. 물론 정말 DTS 단독으로 들어가는 경우는 없고, 보통은 후술할 무손실 압축 포맷인 DTS-HD Master Audio를 넣는 경우가 많다. 하위호환이 가능해서 해당 포맷을 지원하지 않는 시스템에서도 DTS로 다운되어 재생되기 때문.
돌비 디지털보다 진보된 방식의 음향 포맷(압축률이 돌비가 12:1, DTS는 4:1)이며 돌비 디지털에 비해 다이나믹 레인지가 높아 큰 볼륨에 풍부한 음향을 들려준다.[4][5]
2007년에 DTS사가 사업부를 영화관, 가정으로 나누었고, 2009년에는 영화관 사업부를 영국의 기업 Datasat에 매각하여, 현재 영화관용 DTS 시스템은 Datasat 명의로 판매되고 있다. 다만 영화 업계가 필름에서 디지털로 넘어가기 시작하면서 수요가 팍 줄어드는 바람에, Datasat도 주로 고급 홈시어터 시장을 타겟으로 한 가정용 기기들을 만들어 팔고 있는 상황.
2.1.1. DTS-CD
DTS가 가정용 시장에 진출할 1996년~1997년 즈음 등장한 규격. 음악을 5.1채널 서라운드로 수록한 형태의 CD이다. 기본적으로 CD-DA와 규격 자체가 동일하여 디스크 자체는 어떤 CD 플레이어에서도 읽히지만, PCM이 아닌 DTS로 수록되어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재생은 안 되고 반드시 CDP가 SPDIF 출력(광 또는 동축 출력)을 지원해야 하며 이 규격으로 CDP와 연결된 디코딩이 가능한 시스템(A/V 리시버 등)에서 디코딩을 하여 재생하는 방식이다.2.1.2. DTS Connect
돌비의 돌비 디지털 라이브에 대응하는 기술. 음성(주로 게임)을 DTS로 실시간 인코딩하여 출력하는 기술로, 대역폭이 부족하여 무압축 서라운드를 보낼 수 없는 SPDIF 출력(광 또는 동축 출력)에 서라운드 음향을 보내야 할 때 사용한다. 원래는 DTS Interactive라는 이름이었으나 모노/스테레오 음향의 서라운드화 기술인 DTS:Neo와 합쳐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PC 쪽에서 유명하지만, 사실 처음으로 도입된 곳은 콘솔인 플레이스테이션 2이며 몇몇 게임(주로 EA제)에서 설정을 해주면 음향이 DTS로 출력이 되었다. 다만 문제가 여럿 있었는데 프로세싱 파워의 문제로 풀 5.1채널이 아닌 4채널로만 출력되는 데다가, 지원하는 게임이 20개도 안 될 정도로 극히 적으며, 시리즈물일 경우 후속작에서는 지원이 제외되는 경우도 있었다.[6] 후속 기기인 플레이스테이션 3부터는 OS 차원에서 공식적으로 지원된다.
엑스박스 쪽에서는 첫 출시부터 DTS 대신 돌비 디지털을 밀어줬기 때문에 엑스박스 360까지는 돌비 디지털만 지원했으나 엑스박스 원부터 DTS를 지원한다.
2.1.3. DTS-ES
최대 7.1채널을 지원하는 DTS의 확장 포맷이다.2.1.4. DTS-HD
2000년대 중반 블루레이가 시장에 나올 즈음에 등장한 규격. 기존 DTS 코어를 데이터로 넣고 추가 데이터로 보충하는 형태의 포맷이다. 손실 압축 포맷인 DTS-HD High Resolution Audio와 무손실 압축 포맷인 DTS-HD Master Audio로 나뉘며, DTS-HD 재생을 지원하지 않거나 대역폭 제한이 있는 광 오디오로 출력하면 코어 데이터인 DTS 부분만 재생된다.보급이 진척된 2010년대 말 시점에서 사실상 블루레이 음성 트랙의 대세가 되었다. DVD랑 달리 돌비가 라이선스 비용을 비싸게 책정하는 바람에 블루레이 제작사들이 너나할 것 없이 DTS-HD를 선택했기 때문. 또한 기존 포맷인 돌비 디지털과 무손실 압축 포맷인 돌비 TrueHD가 서로 호환되지 않아 블루레이에 넣으려면 둘 다 넣어야 하는[7] 돌비와는 달리, DTS-HD는 기존 DTS와 하위호환이 되어 하나만 넣을 수 있다는 것도 상당한 이점으로 작용하였다.
2.2. DTS:X
2015년에 나온 새로운 3D 입체 음향 기술이다. 객체 기반 오디오 포맷으로 돌비 애트모스에 대응된다. 무손실은 물론, 호환성, 유연성, 몰입감 등을 갖춘 사운드 기술이다.
돌비 애트모스보다 나은 점을 꼽자면 유연성과 호환성인데, DTS-HD Master Audio 데이터를 코어로 삼아서 구형 DTS 시스템까지 호환이 가능하며[8] 오버헤드 스피커를 천장에 달아야 하는 조건의 배치를 가진 애트모스보다 자유로운 스피커 배치가 가능하다. 다만 DTS-HD Master Audio 데이터 코어를 사용하는 DTS:X는 높은 오디오 대역폭을 요구하기 때문에 HDMI-ARC로 전송이 불가능하며 HDMI ver 2.1 케이블과 HDMI-eARC 단자가 있는 TV에서만 출력이 가능하다.[9]
Windows 10의 Microsoft Store에서 DTS Sound Unbound 앱을 설치하면 PC에서 사용하는 게 가능하다. 다만 해당 기능은 앱 설치 후 인앱 결제를 해야 한다. Xbox Series X를 사용하고 있거나 Windows 11과 돌비 애트모스, DTS:X가 지원되는 고가의 사운드바나 홈시어터, 리시버를 사용하고 있다면 DTS:X 홈시어터 버전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2.2.1. DTS HEADPHONE:X
기존의 스테레오 헤드폰으로 입체 음향을 재연해주는 기술이다.2.2.2. DTS Neo:X
기존의 2.1, 5.1, 6.1채널의 음향을 9.1, 11.1채널로 늘려주는 업믹싱 기술이다.2.2.3. DTS Virtual:X
DTS Virtual:X는 3차원 서라운드 사운드 기술로, 객체 기반 사운드에 상하를 표현하는 높이(height) 요소를 추가하여 온 공간을 아우르는 한층 입체적인 다차원 서라운드 사운드를 전달합니다.
DTS® Virtual:X™은 사운드바, TV 스피커, AV 리시버의 단 2개의 스피커만으로 몰입형 홈시어터 경험을 구현하여, 영화, 음악, 게임을 실제와 같은 입체적 사운드로 즐길 수 있도록 합니다.
DTS® Virtual:X™은 사운드바, TV 스피커, AV 리시버의 단 2개의 스피커만으로 몰입형 홈시어터 경험을 구현하여, 영화, 음악, 게임을 실제와 같은 입체적 사운드로 즐길 수 있도록 합니다.
사운드바는 TV 스피커의 업그레이드 용도이지만 방향성 오디오만으로는 서라운드 사운드를 경험할 수 없습니다. DTS® Virtual:X™ 기술은 스피커 추가 없이 사운드바에서 몰입형 사운드를 구현합니다. 영화를 보거나 게임을 할 때 명료한 목소리와 풍부한 저음이 에워싸는 경험은 오감을 자극하는 모험의 세계로 안내합니다. DTS® Virtual:X™는 공간이나 음향 시설에 제약없이 어떠한 방에서도 몰입형 사운드를 즐길 수 있도록 해줍니다.
DTS® Virtual:X™ 기술은 공간의 크기, 구조, 음향 시설에 상관없이 동작하도록 설계되어 어떠한 공간에도 적용이 가능한 솔루션입니다. 또한 DTS:X® 몰입형 디코더나 기타 몰입형 디코더와도 같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DTS 버추얼:X의 특징:
• 스피커의 수, 구성, 실내 레이아웃에 상관 없이 다채널 서라운드 사운드 구현
• 높이(height)와 서라운드 사운드를 표현해 풍부한 공간감 구현
• 풍부한 저음과 선명한 대사전달
• 모든 콘텐츠를 지원하며 DTS 코덱에 최적화
DTS 버추얼:X의 특징:
• 스피커의 수, 구성, 실내 레이아웃에 상관 없이 다채널 서라운드 사운드 구현
• 높이(height)와 서라운드 사운드를 표현해 풍부한 공간감 구현
• 풍부한 저음과 선명한 대사전달
• 모든 콘텐츠를 지원하며 DTS 코덱에 최적화
스피커 개수에 상관없이 기존 2개의 스피커나 사운드바, 리시버로 DTS Virtual:X 기술을 이용하여 스피커가 여러 대 있는 것처럼 느끼게 해주는 가상 서라운드 기술이다. 보통 보급형 사운드바에 자주 들어가나 일부 고급형 리시버에 들어가는 경우도 있다.
2.3. DTS Neo
스테레오 2채널의 사운드를 멀티채널로 분리하여 가상의 현장감을 만들어 주는 기술이며, 돌비 디지털 프로로직 또는 돌비 디지털 플러스에 대응되는 기술이다.- DTS Neo 2.5
2채널에서 최대 5.1 채널을 뽑아 주는 기술이다.
- DTS Neo:6
2채널 또는 5.1채널 입력으로 부터 최대 7.1 채널을 뽑아 주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DTS-ES를 지원하는 오디오 기기는 이 기술도 같이 탑재하고 있다.
- DTS Neo:X
더욱더 채널을 확장하여 최대 11.1 채널까지 출력하며, DTS:X 기술의 일부로 포함된다.
2.4. Play-Fi
오디오를 위한 무선 통신 솔루션이다.3. 여담
문제점이 있다면 어떤 이유에서인지 싱크가 어긋나는 경우가 있고 실제로도 종종 발생한다는 점이다. 그러면 관객에게 당장 클레임이 걸리게 되므로 한국의 극장에서는 기기를 들여놓고도 점점 기피하여 애물단지로 전락한 상태다.[10]그렇다고 아주 상영을 안 하는 건 아닌데 국내 극장에선 메가박스 파주출판도시, 이수, 아트나인이나 진주시에 있는 CGV 진주 엠비씨네에서 가끔 DTS 음향의 영화를 상영했다. 2000년대 초반에도 상영작이 없다시피 했던 SDDS에 비하면 명맥은 남아 있는 듯.
위 두 문단은 필름으로 상영하던 시절 얘기고 2024년 현재 한국의 영화관은 사실상 디지털로 완전히 전향한 상태라 과거의 얘기가 되었다. 현행 디지털 영화 상영 포맷인 DCP는 그냥 WAV 파일 쓴다.
위 영상에서도 나왔듯이 2013년 SRS Labs와 합병하였다. 그리고 이 DTS 코덱에 돈을 요구하는 바람에 스마트 TV를 비롯해 수많은 DTS 지원 동영상 플레이어, 인코더, 앱에서 DTS 지원을 하지 않게 되었다.
2020년대부터 나온 ASUS 보드들에 돌비 오디오 앱과 유사한 DTS 오디오 프로세싱을 제공한다. 다만 모든 음원및 게임에 적용가능하며 HDMI를 통해 연결된 오디오 기기나 무선은 안되고 오직 보드에 유선으로 직결해야 사용이 가능하다.[12]
[1] 이듬해 사명을 엑스페리로 변경했다.[2] CD, DVD 등에 있는 랜드와 홀을 직접 그려놓은 것이라 생각하면 된다.[3] 사실 어지간한 할리우드 블록버스터 영화에서는 세 음향 다 수록하는 게 일반적이었다.[4] 다만 이론상으로 그렇다는 거고, 실제로 블라인드 테스트 결과 구분해 낸 사람이 없었다고 한다.[5] DTS와 돌비 디지털 방식을 동시에 수록하고 있는 DVD나 블루레이 타이틀을 동일한 기기와 환경에서 재생했을 때, 확실히 다른 느낌을 주는 경우도 있고 구분하기 힘든 경우도 있다. 어떤 타이틀은 DTS 쪽이 낫고, 어떤 것은 돌비 쪽이 낫기도 하므로 어느 한 쪽이 채널별 분리도나 다이나믹 레인지가 좋다고 할 수도 없고. 즉 서라운드 음향 포맷이 무엇이냐보다 녹음과 믹싱을 어떻게 했느냐가 더 중요하다는 것.[6] 예: Grand Theft Auto: Vice City에서는 지원하나 Grand Theft Auto: San Andreas에서는 미지원. SSX 트리키나 SSX 3에서는 지원하나 SSX 온 투어에서는 미지원.[7] 블루레이의 표준 오디오 포맷은 무압축 PCM, 돌비 디지털, DTS로, 저 셋 중 하나 이상이 반드시 들어가야 한다.[8] 돌비 애트모스는 트루HD 코어라 돌비 디지털과 호환이 안된다. 예외로 스트리밍 서비스의 경우 넷플릭스는 돌비 디지털 플러스 기반의 돌비 애트모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호환이 가능하다.[9] TV, 사운드바, 홈시어터, 리시버 모든 디바이스가 HDMI 2.1 eARC 단자를 지원해야 한다.[10] 점장이 적극적인 의지를 가지고 상영시간표에는 DTS를 따로 표기하는 등의 정책을 시행했어도 막상 영상사고 몇 번이면… 마스킹도 자주 생략하는 국내 극장 환경에서는 계속될 수가 없다.[11] 그나마 모바일 앱은 인앱 결제를 통해 코덱 데이터를 추가 다운로드하는 방식으로 지원하기도 하지만, TV의 경우에는 DVD/블루레이 플레이어나 콘솔 기기를 연결해서 보는 것 외에는 마땅한 대응책이 없다.[12] 다만 블루투스로 연결하는 방식이 아닌 동글 방식은 불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