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07090C><colcolor=#4AD0F9> 코어 키퍼 Core Keeper | |
| |
개발 | Pugstorm |
유통 | Fireshine Games Game Source Entertainment[1] |
플랫폼 | PS4 | PS5[2] | XB1[연기] XSX|S | Switch Windows | Linux | Xbox Cloud Gaming |
ESD | Steam | GOG.com | 험블 번들 | PlayStation Store Microsoft Store[4] | 닌텐도 e숍 |
장르 | 샌드박스, 어드벤처 |
출시 | 앞서 해보기 2022년 3월 8일 정식 출시 및 콘솔 출시 2024년 8월 27일 Xbox One[연기] 미정 |
현재 버전 | 1.0 |
플레이 인원 | PS, XBOX, PC 1인(온라인:2~8인) NS 1인(온라인:2~4인)[6] |
엔진 | Unity |
한국어 지원 | 지원 |
심의 등급 | |
관련 페이지 |
1. 개요
이 1~8인 플레이어용 채굴 샌드박스 모험 게임에서 여러 생물과 유물, 자원이 가득한 끝없는 동굴을 탐험해 보세요. 채굴, 건축, 전투, 제작, 농사를 즐기며 고대 코어에 얽힌 수수께끼를 풀어보세요.
Core Keeper는 2022년 3월 8일에 공개된 샌드박스 게임이다. 1~8명의 플레이어가 거대한 동굴을 탐험하며 여러 컨텐츠를 즐길 수 있다.
2022년 7월 5일부터 공식적으로 한국어를 지원하게 되었다. 그 이전에는 유저가 비공식 한글 패치를 제작해 제공한 바 있다. #
탑뷰형 샌드박스 게임으로, 대략 스타듀 밸리와 비슷한 뷰와 조작 방식을 가진다. 전투와 보스의 비중이 높다는 점에서는 테라리아와도 비슷하다. 하지만 보스 난이도는 테라리아에 비해 크게 낮으며, 음식의 강화 효과가 매우 강력해 딜찍누도 쉽다.
몇몇 아이템에서 20만 년 전 인류나 다윈을 언급하는 것으로 보아 배경은 지구로 추정되며, 높은 수준을 가진 문명의 흔적이나 아가르타 보고서 등 지구공동설과 초고대문명설의 요소가 나타난다. 후반에는 대놓고 외계인까지 등장한다.
2. 시스템 요구 사항
<colcolor=#4AD0F9> 시스템 요구 사항 | |
최소 사항 | |
<colbgcolor=#07090C> 운영체제 | Windows 10 64-bit |
프로세서 | Intel Core i5-2300 / AMD Ryzen 3 1200 |
메모리 | 8 GB RAM |
그래픽 카드 | GeForce GTX 460 / Radeon HD 5850 |
저장 공간 | 500 MB 사용 가능 공간 |
2.1. 플랫폼
- 크로스 플레이를 지원하진 않지만 같은 계열의 콘솔 플랫폼끼리는 온라인 플레이가 가능하다.[10]
- 정식 출시 당일 Xbox Game Pass에 게임이 등록된다. 발매 첫날부터 콘솔, PC, 클라우드에서 플레이가 가능하다.
- PS5 한정으로 듀얼센스의 햅틱 피드백 및 적응형 트리거 기능을 지원하지만 Steam에서는 Xbox 레이아웃만 지원하기에 듀얼센스를 연결해도 기능이 활성화 되진 않는다.
- 국내의 경우 PS5 및 NS의 패키지판이 8월 23일 부터 예판이 시작되며 9월 17일에 출시될 예정이다.
3. 시스템
<bgcolor=#07090c>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스킬 | ||||
채굴 | 달리기 | 근접 전투 | 활력 | 제작 | |
원거리 전투 | 원예 | 낚시 | 요리 | 마법 | |
소환 | |||||
아이템 | |||||
도구 | 무기 | 방어구 | 장신구 | 기타 장비 | |
애완동물 | 소모품 | 음식 | 귀중품 | 재료 | |
블록 | 가구 | 특수 오브젝트 | |||
시스템 | |||||
구조물 | 생물군계 | 가축 | 몬스터 | 보스 | |
영혼 | 이벤트 | }}}}}}}}} |
Core Keeper/스킬
Core Keeper/아이템
4. 공략 및 팁
- 장비
- 모루에서 만들 수 있는 장비 말고도 각 바이옴마다 상자 및 적에게서 숨겨진 장비들을 낮은 확률로 얻을 수 있는데, 이렇게 얻은 장비들은 제작 장비보다 장비레벨이 조금 더 높고 특수한 옵션을 가지고 있다.
- 직업 개념이 존재한다. 스킬트리와 장비가 달라질 뿐 재화만 있다면 스킬트리는 언제나 교체할 수 있으며, 로드아웃이 총 3개이니 F1 F2 F3같은 편한 단축키를 본인에 맞게 조정 하면 원하는 상황에 맞는 세팅으로 즉석 변경이 가능하다.
- 모든 장비는 웬만해선 내구도를 강화해서 쓰자. 기본 수치가 추가로 버프되며 내구도도 2배로 향상된다. 이렇게 강화된 장비는 강화 내구도를 먼저 소모하고 모두 소모되면 강화 전의 스펙과 내구도로 돌아간다. 이를 복구하려면 다시 강화를 해야 한다. 화폐로 강화하는 것도 있으나 이는 들어가는 재화에 비해 매우 비효율적이니 일단 기초 강화만 해두면 된다.
- 제작 불가 장비 중 망치 & 드릴 & 유탄발사기는 오직 탐험으로만 얻을 수 있다. 특히 망치는 기초 공사에 매우 유용하니 상위 단계가 나오기 전까진 챙겨두는게 좋다.
- 탐험
- 바닥에 나타나는 x자 표시는 삽으로 파내면 각종 귀중품, 재료 등 여러 아이템을 얻을 수 있으며, 낮은 확률로 해당 바이옴에 맞는 상위 장비를 얻을 수 있다.
- 맵 정중앙 코어를 중심으로 두고 원형으로 바이옴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심에서 멀어질 수록 상위 바이옴이 등장한다. 맵을 열고 원하는 위치에 마우스 커서를 대면 우측 상단에 중심에서 얼마나 먼 곳인지 거리를 알 수 있다.
- 한 바이옴 안에서도 여러 서브 구조물과 던전들이 존재한다. 이런 곳에선 특별한 아이템이나 재료 및 상위 장비를 얻을 수 있다.
- 탐험 중 자주 발견하는 2x2크기 거대한 광맥은 드릴에 전기를 연결해야만 지속적으로 캘 수 있다. 자원량이 정해져있기 때문에 하나의 포인트에서 무한정 캘 순 없지만 한 번 구비하면 1000여개의 광물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필수다.
- 스폰위치가 고정되어있는 보스들은 인근에 자연 포탈이 항상 존재한다. 반대로 포탈을 먼저 찾았다면 근처에 보스가 있단 뜻이다.
- 가장 효과적인 이동 수단은 진홍 단계에 뚫리는 '포탈'이 제일 좋지만 이동 대기시간이 있기 때문에 설치 과정동안은 다소 불편을 겪는다. 그 전엔 선로를 깔고 광산차를 타고 이동하는게 좋고, 선로 배치가 귀찮으면 카트 제작대에서 고성능 카트를 한 대 제작하고 선로처럼 일자로 맵을 쭉 뚫은 후 타고다니면 된다.
- 기본 3보스를 처치하고 나면 숨겨진 거인들을 처리해야하는데, 몇몇 보스는 보스방에 있는게 아니기 때문에 탐지 아이템을 이용해 위치까지 찾아야 한다. 슬라임 종류 보스들은 스폰 위치가 정해져 있어 아이템이 없더라도 운좋게 찾을 수 있다. 특히 근처에 갈 수록 슬라임 특유의 바닥을 꽝꽝 찍는 사운드와 화면울림을 통해 짐작할 수 있다.
- 슬라임 보스들은 '슬라임 왕관' 소환 아이템을 어느 스폰 장소에 놓냐에 따라 종류별로 재소환이 가능하다. 번외로 첫 슬라임 보스방에 왕관을 놓으면 테라리아 콜라보인 킹슬라임을 만날 수 있다.
- 바다거인, 하늘거인등 초반 외 보스들은 첫 사냥때에도 스폰 아이템이 요구된다. 예를들어 바다거인은 전용 미끼를 특수장비에 장착 후 낚시대를 스폰 위치에서 사용해야 한다.
- 사망했을 시 무덤이 생성되며 이 무덤은 맵에 마킹되어 사망 위치를 바로 파악할 수 있다. 반대로 말해 특수한 상황에 무덤까지 부숴진다면 사망 위치를 알 수 없으니 항상 폭발물을 사용할 땐 주의가 필요하다.
- 생활
- 농사는 '진홍' 등급까지 뚫은 뒤에 본격적으로 시작하는게 좋다. 진홍 단계 괭이가 5x5크기로 클릭 한번에 작업이 끝나기 때문. 자동 스프링클러의 범위가 정확히 5x5이기 때문에 여기에 맞추기도 편하다.
- 거대 광맥에서 드릴을 이용, 캐내지는 광물은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집 앞까지 전부 배달이 가능하다. 도착지점에 크레인과 상자를 연결해두면 편하게 보관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컨베이어 벨트를 타고 다양한 적이 집앞까지 배달되기도 하니 포탑도 설치해두는게 좋다.
- 'Q'버튼 한번으로 상자를 열 필요도 없이 알아서 인벤토리 내 아이템들이 상자안으로 보관된다. 상자내에 보관된 아이템만 감지하여 이동하니 굉장히 편리한 기능이다.
- 삽이나 천장 부수개같은 도구는 'R'버튼으로 크기 조절을 할 수 있다.
- 3부위가 필요한 세트장비는 상자에 보관하는 것보다 마네킹에 전시하는게 상자 칸을 절약도 하면서 보기에도 좋다.
- 각 바이옴마다 바닥에 깔린 스폰 바닥, 예를 들어 버섯이 자라는 버섯 바닥 등을 본적이 있을 것이다. 이는 해당 바이옴의 몬스터가 스폰되는 바닥이며 여러 개 깔아두고 시간이 지나면 적이 스폰된다. 이를 이용해 자동 사냥 공장도 만들 수 있다.
5. 관련 홈페이지
- 코어키퍼 위키
- 코어키퍼 마이너 갤러리
[1] 아시아권 PS/NS 플랫폼 유통[2] 진동 기능 및 트리거 효과 지원[연기] 상세페이지를 보면 어째선지 Xbox One 버전은 추후 출시를 발표한다고 하며 미뤄졌다.[4] 출시 당일에 Xbox Game Pass로 바로 플레이 (2024.8.27~)[연기] [6] 늘 그렇듯 사양 한계로 닌텐도 스위치 버전만 최대 4인 온라인 멀티를 지원 하며해외 닌텐도 공식 사이트에서 확인이 가능하다.[7] XBOX, Steam 플랫폼[8] PS 플랫폼[9] 한국 공식 계정[10] PS4<->PS5, Xbox One<->XSX|S끼리 지원하며 NS와 PC는 제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