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19 12:29:47

BePo

파일:Bundes Bereitschaftspolizei 1.jpg
Die Bereitschaftspolizei (BePo oder Bepo, BP)
1. 개요2. 역사3. 여담4. 관련 문서

1. 개요

파일:Bundes Bereitschaftspolizei 9.jpg
BePo는 독일경찰기동대이다. 연방경찰 소속이든 주경찰 소속이든 다 BePo라고 한다. 총 가용경력은 연방과 주경찰을 합쳐 16,000명 정도이며 연방수사청(Bundeskriminalamt)과 하원경찰대는 기동대를 운용하지 않는다.

여느 나라 경찰기동대와 마찬가지로 임무는 대규모 경력 지원이 필요한 작전 수행. 집회 통제나 조직 범죄 제압은 물론 재난 대응 등에도 동원된다. 비상사태가 발생했을 때 최대한 빨리 전개되어야 하기 때문에 기동성이 생명이며, 그런 이유로 일반 경찰이 받지 않는 특수훈련을 받고 주둔지에서 합숙을 하기도 한다. 주경찰 소속 BePo의 경우 다른 주정부의 지원 요청이 있으면 타 주에도 전개될 수 있으며 주경찰만으로 해결이 불가능할 경우엔 연방경찰 BePo가 출동할 수도 있다. 기동대의 운영 총괄은 연방 내무부 소속 기동대담당관(Inspekteur der Bereitschaftspolizeien der Länder)이 맡는다.

편제는 독일군과 유사한데 분대에 해당하는 Gruppe(10 ~ 15명), 3개의 Gruppe가 모여서 구성되는 Zug(소대, 20 ~ 35명), 중대에 해당하는 Hundertschaft(120 ~ 150명), 대대에 해당하는 Abteilung(600 ~ 800명)으로 구성된다. 몇몇 주에서는 연대까지 편성하기도 하며 함부르크는 BePo가 올 때까지 시간을 벌어주는 소대를 일반 경찰관들로 따로 구성하기도 한다.

2. 역사

파일:Bundes Bereitschaftspolizei 6.jpg
물대포를 버티는 훈련 중인 BePo 경찰관들. 테이저처럼 운용 주체인 경찰관들이 직접 맞으며 해당 장비의 위력을 몸소 체험함으로써 물대포 운용에 대한 노하우와 장비 남용에 대한 경각심을 동시에 배양할 수 있다.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인 1919년에 창설된 보안경찰(Sicherheitspolizei, 略 SiPo)이 독일 최초의 경찰기동대이자 현재 BePo의 아버지에 해당한다. Bereitschaftspolizei라는 명칭을 처음 사용한 건 1926년 4월 30일 뷔르템베르크 자유인민공화국(Freien Volksstaat Württemberg) 경찰이 기존의 보안경찰을 개편하면서부터이며 이후 이 명칭이 독일에서 경찰기동대를 뜻하는 용어로 굳어지게 된다.
전쟁 연간에는 나치 독일의 공기관으로 흡수되어서[1] 전쟁수행에도 일부 보조했다. 당연히 크고 작은 전범행위에도 연관되었고, 점령지의 풀뿌리 부역자들이 보안경찰(SiPo)에 들어가는 경우도 많았다.

제2차 세계 대전이 종전된 후, 서독을 점령하고 있던 서방 3국(미국, 영국, 프랑스)는 6.25 전쟁 등 냉전이 격화됨에 따라 독일에 주둔하고 있던 병력들을 가만히 내버려둘 수가 없었고, 독일 연방정부는 연합군의 치안 공백 보강과 치안 주권 회복을 위해 경찰의 역량을 키우려고 시도했는데 연방경찰의 전신인 국경수비대(BGS)가 이 시기에 창설된 것도 그 일환이었다. 이를 위해 BePo도 창설하려고 했지만 이 과정은 순조롭지는 않았고 독일 정부 내에서조차 재무장 선언이나 다름없다는 비판이 흘러나오기도 했다.

1950년 10월 27일 연방정부와 주정부들간의 협의에 따라 주경찰 소속 BePo들만이 창설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1951년 독일 연방정부는 BePo 운영에 대한 논의를 위해 자신들이 생각하는 기본 개념을 공개했는데 첫째로 주경찰 소속의 BePo 1만 명, 연방 소속의 BePo 1만 명, BGS에서 또 1만 명을 선발해 유지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연방정부 직속 경찰을 조직하려면 당시로서는 헌법 개정이 필요했기 때문에 결국 연방 직속의 경찰기동대 창설은 좌절되었다.

또 연방 내무부 소속 기동대담당관이 모든 관련 업무를 총괄했기 때문에 주경찰 기동대의 장비 보급은 연방정부가 맡게 되었고 주정부는 주둔지와 제복, 생필품 제공 및 연방정부가 제공한 장비 보수만 담당하기로 합의되었다. 기동대의 편제는 과거 바이마르 시절의 보안경찰 편제를 그대로 따르기로 하였는데 실제로 바이마르 공화국의 보안경찰 역시 주정부에서 운영했지만 지원은 공화국 정부가 직접 했었던 바 있다.

사실 1948년부터 니더작센 주경찰은 연합국의 눈치를 살피며 암묵적으로 기동대와 비슷한 경찰예비대(Polizeireserven)을 운영하고 있었다. 니더작센주는 당시 동독과 국경을 맞대고 있었기 때문에 국경지대에서의 범죄행위 감시와 재산범죄 소탕을 할 경력이 추가로 필요했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정작 연방정부와 주정부들이 BePo 창설을 합의했을 때 니더작센은 다른 주들 따라 기동대를 창설하지 못했는데 주 재정이 허락을 안 해줘서... 연방정부가 1년 뒤 창설을 직접 명령하면서 연방 재정을 들이부어 비로소 경찰예비대가 BP로 전환되었지만 다른 주경찰 기동대들처럼 장비를 갖추게 된 건 1955년에 이르러서였다.

장비를 갖추게 된 사연도 기구한데 종전 이후 독일은 직접 무기를 생산할 수 없었기 때문에 프랑스가 빌려준 Kar98k(...)를 가지고 겨우 무장을 갖추었으며 차량은 자동차 회사들이 빌려주는 형식으로 제공한 자동차들로 겨우 보유할 수 있었다.

1972년까지 연합국의 직접 통제가 느슨해지면서 BePo는 그 공백을 채우기 위해 서서히 성장했는데 72년 기준으로 전국에 총 6개 연대 17,500명의 경비경찰관이 배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기동대의 의무복무 시기가 원래 7년이었다가 나중에 3년으로 줄어들게 되는데, 독일 연방군이 창군되면서 인사교류가 이루어지고 기동대 경력이 군 경력으로 인정되면서 경비경찰관 다수가 군으로 넘어가버렸다.(연방경찰, 당시엔 BGS의 상황도 마찬가지였다) 연방군으로 경찰관들이 넘어간 이유는 월급이 더 쎄고 경찰보단 군인이 당시 사회 기준으로 더 전망이 있는 직업이었기 때문.

당시 기동대의 주요 임무는 동독이나 소련 스파이에 의한 테러 방지와 국내 소요 통제였다. 독일 공산당을 비롯해 동독과 손을 잡고 서독 전복을 기도할 수 있는 세력들이 있었기 때문에 BePo의 훈련 또한 바이마르 공화국 당시 공산당원들이 일으킨 소요 사례들을 참고해 진행되었으며, 나아가 동독이나 소련 스페츠나츠의 침투를 상정하는 극단적인 시나리오까지 기동대는 대비하고 있었다. 이런 전투에 가까운 상황을 상정한데다 독일 연방군과 편제가 비슷했기 때문에 훈련 또한 군대식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뮌헨 올림픽 참사 이후 주경찰의 SEK와 연방경찰GSG-9이 출범하면서 대테러부대로서의 성격은 사라져 오늘날의 모습에 이르게 된다.

2008년 3월 1일 BPOL의 개편이 이루어지면서 마침내 연방경찰에도 BePo가 설치되었다.

3. 여담

파일:Bundes Bereitschaftspolizei 5.jpg
연방경찰물대포
시위가 한창일 때 의경 생활을 해본 이들이라면 알겠지만 노숙을 할 일이 종종 생기기 때문에 텐트와 비상식량을 항상 싸들고 다닌다... 그 외 장비에 관해서는 독일 연방경찰청 문서 참고. 주경찰 BePo도 비슷하게 운영된다.

2016년 쾰른 집단 성폭행 사건 당시 현장에는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경찰 80명과 쾰른 중앙역을 경비하는[2] 연방경찰관 70명이 있었으나, 이들은 일반 순찰 경찰관이라 집단 범죄를 통제할 장비도 없고 관련 훈련도 제대로 받지 못한 상태인데다 무엇보다 인원이 부족해 효과적인 대응을 하지 못했다. 핀란드 경찰헬싱키에서 비슷한 시기에 벌어졌던 난민들의 집단강간 미수 사건을 사전에 대규모 경력 투입으로 저지했던 것을 감안하면 독일 경찰도 BePo를 제때 전개시켰을 경우 참사를 막을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베스트팔렌 주경찰은 당시 중앙역 일대는 평화로웠다고 주장하는 등 기동대를 동원하긴커녕 상황 파악조차 제대로 하지 못했음을 증명해버렸고, 격노한 연방 내무부 장관이 직접 나서 주경찰의 안일한 대응을 질타했다.

4. 관련 문서


[1] 당시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가 SiPo도 관할했었다.[2] 독일은 연방경찰청이 철도경찰 업무도 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