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픽셀| | |||||
[[하이픽셀/Zombies/무기| | [[하이픽셀/Zombies/머신| | [[하이픽셀/Zombies/파워업| | [[하이픽셀/Zombies/TMI| | ||
무기 | 머신 | 파워업 | TMI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하이픽셀/Zombies/팁| | [[하이픽셀/Zombies/문제점 및 버그| | |||
팁(인플레이, 외부 프로그램) | 문제점 및 버그 | }}} | |||
맵 | |||||
[[Dead End(하이픽셀/Zombies)| | [[Bad Blood(하이픽셀/Zombies)| | [[Alien Arcadium| | [[Prison(하이픽셀/Zombies)| | ||
Dead End | Bad Blood | Alien Arcadium | Prison | ||
챌린지(Dead End, Bad Blood, Alien Arcadium, Prison) 스피드런(Dead End, Bad Blood, Alien Arcadium, Prison) | |||||
{{{#!folding [ 데이터베이스(펼치기/접기) ] | |||||
{{{#!folding [ 아카이브(펼치기/접기) ] |
1. 개요
하이픽셀의 아케이드 게임 중 하나인 Zombies의 맵 중 Bad Blood의 챌린지에 대한 공략을 서술한 문서. 단, 스피드런 관련 내용은 이 문서를 참고한다.2. 플레이어 관련
인원 수 제한 챌린지로, 3인플레이(트리오), 2인플레이(듀오), 1인플레이(솔플)로 나눈다. 한편 일반적으로 진행하는 4인플레이는 "쿼드"라고 한다.2.1. 트리오
2.1.1. RIP
★ 개요- 이 챌린지는 자신의 상황 판단 능력 및 처리 능력을 올릴 수 있는 작은 다리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본다.
★ 읽기 전에
1. 기본적인 무기 세팅은 저격총 + 엘더 건(EG) + 금광꾼(GD) + 펀처이다. 특히 펀쳐는 1명쯤은 구비해놓는 것이 좋다.
2. 단일 적들의 공격력이 정말 높기에, 후방 기습 등 비상 상황에 항시 대비해야 한다.
★ 공략
• 라운드 1~2
- 치명타를 잘 내고, 슬라임을 빠르게 사살할 수 있는 연습을 한다. 9 HP의 슬라임 2마리를 효율적으로 사살하기 위해서는 칼 치명타 + 권총 2발 사격 순으로 진행하는 것인데, 이는 비단 이 챌린지뿐만 아니라 어느 챌린지든 정말 유용하니 연습해둔다.
• 라운드 3
- 웨이브 1부터 마녀가 스폰한다. 마녀를 빠르게 사살하여 원거리 공격을 차단시키면 슬라임 좀비, 슬라임, 일반 좀비 상대가 쉬워진다.
☆ 마녀와 더불어 경계해야 할 대상은 슬라임이다. 슬라임은 자신의 표적이 정해져있긴 하나, 자신에게 닿는 플레이어 모두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 따라서 슬라임한테 공격당해 무빙이 어그러질 수 있으니 무조건 주의한다.
• 라운드 4
- 웨이브 1부터 슬라임이 스폰했던 앞 라운드와 달리, 이 라운드는 슬라임이 늦게 스폰한다. 그러니, 웨이브 1에 스폰하는 적들을 최대한 사격한 뒤, 웨이브 2부터 스폰하는 슬라임을 사살하도록 한다. 또한 이 즈음에 도서관을 열어야 하는데, 대표 유형은 다음과 같다.
1. 라운드 4 s1
▷ 2번 전략보다 시간은 느리나 안정적이다. 플레이어 3명 중 1명은, 도서관이 열린 동시에 후방에 s1된 적을 사살하여, 스티브/아담 상대를 빠르게 지원해준다.
2. 라운드 5 웨이브 1
▷ 1번 전략보다 시간은 빠르나 불안정하다. 던전 입구 옆 창문에서 늑대가 기습할 수 있는 등 위험 요소가 많으니, 빠른 사살 능력을 요구한다.
☆ 도서관을 열되, 열자마자 앞으로 달려가 금 갑옷 & 산탄총을 마련한 후 스티브/아담을 사살하는 전략(Rush)도 있지만, 저택 문 앞으로 뒷걸음질치며 권총으로 처리하는 "안전" 전략도 있다. 사살 면에서는 다소 높은 안정성을 기대할 수 있으나 산탄총/금 갑옷 하의를 어떻게 마련할지는 생각해놔야 한다.
• 라운드 5
- 늑대한테 치명타를 띄워보는 연습을 해본다. 치명타를 띄우든 띄우지 않든 늑대가 받는 피해량은 같겠으나, 다소 높은 골드 축적을 기대할 수 있다. 릴리 및 엘리 3마리가 스폰되면, 앞마당까지 끌고 온 뒤 사살하는 것이 일반적인 전략이다. 단, 후방 기습 등은 주의한다.
☆ 엘리한테 주의가 끌린 상황에서, 자신의 체력이 높으면 산탄총으로 o1 critical을 사용해보는 것도 좋다.
• 라운드 6~7
- 마녀 및 슬라임 좀비를 주의한다. 대표적인 전략은 다음과 같다.
1. 앞마당(1명), 도서관 로비[1](1명), 서가[2](1명): 각개격파하는 전략이다.
2. 도서관 복도(2명), 도서관 안쪽(1명): 앞마당으로부터 다가오는 슬라임 및 각종 적들을 도서관 복도에서 사살하는 전략으로, 앞마당에서 혼자 버텨낼 자신이 없을 때 차용하는 전략이다.
3. 도서관 복도(3명): 안정성은 높겠지만 시간이 많이 걸린다.
• 라운드 8
- 돼지 좀비 및 권능을 부여받은 좀비에 대비하기 위해, 이 라운드 시작 즉시 던전을 여는 것을 추천한다. 던전을 연 후 동굴 거미들을 사살하기 위해서 뒷걸음질 치는 것도 좋으나, 가능하면 동굴 거미들을 제치고 던전 내부로 들어가 저격총을 마련한 후에 동굴 거미를 사살하는 것을 추천한다.
• 라운드 9
- 표면적으로는 다량의 슬라임을 사살해야 하는 라운드이나, 사실 이 라운드는 다음 라운드를 준비하는 시간에 가깝다.
1. s1 후 지하실을 열어 철 갑옷 풀 세트를 마련한다.
2. 다음 라운드에 등장하는 킹 슬라임 2마리를 상대하기 위해, 탄약을 넉넉하게 마련한다.
• 라운드 10
- 앞서 설명했듯 킹 슬라임 2마리가 스폰하는 라운드로, 자신에게 보스가 다가와 위험하다면 칼로 밀쳐 거리를 벌리는 연습을 해본다. 특히 킹 슬라임의 갑옷이 완전히 어두워져 이속이 최대가 되었다면 이 "칼 펀칭"은 더더욱 중요해진다. 앞마당에서 킹 슬라임들을 상대하는 유형은 다음과 같다.
1. Wide train: 앞마당 전체를 돌면서 전투하는 유형으로, 남은 적들이 많을 때 사용한다.
2. Stair train: 저택 앞 계단 근처만 돌면서 전투하는 유형으로, 남은 적들이 적을 때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계단이라 킹 슬라임의 고속력도 어느 정도 무력화할 수 있다. 단, 본인의 이속도 조절해야 한다.
☆ s1하고 던전으로 모인다. 혹시라도 던전 이동이 제한된다면 앞마당이나 저택-앞마당 문 근처 등 개활지에 머문다.
• 라운드 11
- 위더 좀비를 주의한다. 특히 위더 좀비 상대할 자신 없다면 굳이 다가가 산탄총 사용할 생각은 하지 않는 것이 좋으나, 자신의 체력이 높다면 조금씩 가까이 다가가 산탄총을 써서 골드를 축적한다.
• 라운드 12~14
- 48 HP의 위더 스켈레톤이 같이 투입되기 시작하는 라운드이다. o1 critical을 잘 해야 철 갑옷을 장비한 위더 스켈레톤에 효율적으로 대항할 수 있으며, 골드도 다량 축적이 가능하다. 이 라운드를 넘기는 유형은 다음과 같다.
1. 프론트(Front)
▷ 1명이 Lstep(던전-도서관 계단)에 머물러, 도서관에서 던전으로 오는 적들을 사살하는 전략이다.
▷ 후방 2명이 지하실 방면에 있는 적들까지 담당해야 하기에,[3] 후방 2명이 안정적으로 프론트를 보조해야 한다.
▷ 특히 프론트가 쓰러지면 부활시키러 가기 힘들며, 골드 밸런스(Gold balance)가 쉽게 무너질 수 있는 등 여러모로 불안정한 전략이다.
2. No front
▷ 프론트 없이, 3명 모두 던전에 머무는 전략이다.
▷ 프론트를 서는 것에 비해 골드 균형 등 안정성이 높다.
☆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1) 묘지(Graveyard) 및 발코니를 열어준다. 묘지에서 거트루드 상대할 때는 '즉시 처치' 파워업이 제격이나, 파워업이 없거나 골드가 필요하다면 히로빈 상대하듯 난간에서 상대하면 쉽게 사살할 수 있다.
2) 발코니 열어 전원을 활성화시키고, 각자 필요한 퍼크들을 구매한다.
3) 라운드 15에 대비해 "Lib-corner"에 가능하면 모인다.
• 라운드 15
- 기본적인 전략은 쿼드와 같다. 3마리의 킹 슬라임들을 상대하다가 늑대나 웨어울프한테 기습당하지 않도록 한다.
• 라운드 16~19
- 골드를 벌어가며 "추가 무기" 퍼크 구매 및 행운의 상자 무기도 슬슬 마련해간다. 그러나 자신의 골드가 부족하다고 생각하면 산탄총은 버리지 말고, "3번째 무기(3rd)"라고 생각하고 상자를 돌리도록 한다. 공통적으로 위더 스켈레톤 및 위더 좀비 등을 주의해서 사살한다.
☆ 행운의 상자 무기 종류에 따른 강화법
1) 금광꾼: V레벨까지 강화에 힘쓴다.
2) 엘더 건: 골드 넉넉하면 강화한다. 엘더 건은 무덤(Tomb) 바로 앞까지 적이 밀려들어왔을 때, 위더 스켈레톤을 제외한 적들을 잠시 정지시킬 수 있다.
3) 펀쳐: 강화는 나중에 해도 상관없다. 다만 펀쳐는 히로빈한테만 사용하는 것이 아닌, 자신의 위급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수단으로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꼭 기억한다.
4) 좀비 박멸기: 강화를 하든 말든 상관없으나, 발코니 코너(Bal corner)에서 전투할 때를 대비하여 강화를 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5) 그 외: 강화하지 않는다. 다만 3번째 무기로 이런 무기가 처음 나왔다면 가지고 있는다.
• 라운드 20
- 다른 난이도와 달리 웨이브 1부터 바로 위더가 스폰되면서 그레이트 홀이 열린다. 실력이 좋다면 그레이트 홀로 달려가도 상관없지만,[4] 안정성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위더만 남을 때까지 무덤(Tomb) 근처에 머물러있는 것을 추천한다.
☆ 골드가 너무 모자란 팀원이 있다면 위더를 혼자 쓰러뜨리게 한다. 왕좌 옆 작은 공간이라면 위더한테 물리 공격(위더 해골) 하나 안 받고 사살할 수 있다.
• 라운드 21~23
- 팀원들끼리 흩어져있어도 상관없지만, 쓰러지면 답이 없으니 안정성을 추구한다면 발코니 코너(Bal corner) 근처에라도 모인다. 다만 라운드 22는 크리퍼만 스폰하므로, 행운의 상자 돌려가며 무기를 마련하고, 강화한다. 그리고 라운드 24부터는 히로빈의 소환수(Herobrine's minion)가 스폰하니, 라운드 23 막바지에는 별표에 서술한 장소 중 택1하여 모인다.
☆ 라운드 24, 26~27 진행 유형
1) 발코니 코너(Bal-corner): 빠르게 적들을 사살할 수 있으나 팀원들의 '개인 DPS'나 현재 소지한 무기의 성능이 낮으면 독이 될 수 있는 장소이다.
2) 묘지(Graveyard) 앞 복도 코너: 안정감이 있는 장소지만 3명 모두 앞쪽에만 집중하면 묘지 내부에 있는 적들한테 기습을 당할 수 있다.
• 라운드 24
- 60 HP의 히로빈의 소환수를 주의한다. 다만 묘지(Graveyard)에 있으면 텔레포트는 무력화되어버리니 크게 상관은 없으나, 어느 곳에서 전투하든 방심은 하지 않는다.
☆ 다음 라운드를 대비해 엘더 건, 금광꾼 등 자신의 고화력 무기는 최대한 강화하고, As(Ammo supply)도 발동해놓는다.
• 라운드 25
- 킹 슬라임 5마리가 웨이브 3에서 스폰한다. CS에 머물며, 금광꾼을 가진 사람이 킹 슬라임에 집중한다. 다만 CS에 있는 창문 하나는 1명이 같이 봐줘야 한다. 킹 슬라임 체력이 많은 채로 근접했다면 펀쳐로 밀어주도록 한다.
☆ As(Ammo supply)하고 싶다면 s1을 하는 것이 좋다. 라운드 26에 나오는 히로빈의 소환수의 공격력이 일반 난이도에 비해서 엄청나게 높기에, s1을 안 하고 뒤늦게 발코니 쪽으로 돌아가려 하다가 이들에게 난도질당할 수 있다.
• 라운드 26~27
- 묘지(Graveyard)에 머문다면 골드가 부족한 팀원을 선두로 세우고, 후방 맡은 팀원들이 그를 보조할 수 있다. 다만, 여유가 된다면 발코니 코너에 머물러도 된다.
☆ 라운드 25가 끝나기 전 빠르게 돌아가지 못해 그레이트 홀에 갇혔다면, 라운드 26 웨이브 1에 Dragon's Wrath라도 사용해서 위기를 모면해본다.
• 라운드 28
- 던전 감옥 옆(던전 구석)에서 머무는 것이 좋다. 다가오는 적들을 엘더 건으로 몰살시키는 플레이가 가능하고, 이에 따른 안정성도 높다.
☆ 불안하면 s1 및 As(Ammo supply)를 미리 해놓는다. 본래 라운드 29 s1 이후 As(Ammo supply)하는 것이 정석이나, 크리퍼만 남았다면 s1이 망가질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라운드 28에서 As(Ammo supply)를 한 이후 라운드 29에 금광꾼 및 저격총을 남용하는 것을 지양하는 전략을 차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에 너무 의존하지는 않도록 한다.
• 라운드 29
- 묘지(Graveyard)에 머무는 것을 추천한다. s1을 안정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남은 적들 수가 약 5~10마리가 되면 사격을 중단하고, 히로빈의 소환수나 투명 좀비 등을 남겨놓는 방법을 사용하면 된다.
☆ s1하고 As(Ammo supply)하는 것 외에도, 히로빈 펀칭은 누가할 것인지, 저택-지하실 문을 열 것인지 등을 정하고, 묘지 내 창문도 모두 수리해준 뒤 마지막 라운드로 넘어간다.
• 라운드 30
- 히로빈 2마리가 스폰한다. 후방을 담당하는 사람들은 창문에서 나오는 적들을 사살해주되, 프론트(Front)보다 앞에 나가지 않도록 하여 히로빈의 주의가 따로 끌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 외에도, 프론트가 히로빈 외 다른 적들의 방해를 받지 않게끔, 후방 담당자들은 프론트 주변에 있는 모든 적들을 빠르게 사살해준다.
2.2. 솔플
파티를 모아 4명을 채운 뒤, 게임이 시작되면 솔플하는 사람을 제외하고 모두 게임을 나가면 솔플을 진행할 수 있다. MVP++ 랭크에서 사용 가능한 비공개 파티 게임/party private 기능의 경우 이 게임에서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점 참고한다.추가로 어떠한 난이도든 상관없이, 인벤토리(Hotbar) 중 무기 배열 순서가 엘더 건, 스나이퍼, 금광꾼이거나 스나이퍼, 엘더 건, 금광꾼이어야 사격이 편리하다.
2.2.1. 일반
★ 개요- 이 난이도의 챌린지는 자신의 펀칭·무빙 실력 발전에 작은 다리 역할을 한다고 본다.
★ 읽기 전에
1. 이 맵은 Dead End보다 적 물량이 적은 대신, 적 1마리당 공격력과 체력이 높은 편에 속한다. 즉, 방심하면 그대로 게임 오버되니 안전한 플레이가 매우 중요하다.
2. 가장 좋은 무기 세팅은 펀쳐 + 저격총 + 엘더 건 or 박멸기 + 금광꾼이며, 퍼크 세팅은 추가 무기 + 빠른 발사 + 추가 체력 세팅이다. 다만, 펀쳐가 없으면 라운드 30은 넘기기가 매우 힘들기 때문에, 펀쳐를 뽑기 위한 골드 소모가 많을 수 있다. 좀비 박멸기도 나름 유용하니 엘더 건이 나오지 않으면 끝까지 들고 간다.[5]
3. 라운드 25까지 저택-지하실 문을 열지 않는다.
★ 공략
• 라운드 1~3
- 앞마당 큰 나무를 중심으로 삼아 원을 그리며 적들을 사살한다. 실력이 부족하면 저택 앞 계단까지 이용해도 좋다. 뒷걸음질할 때는 주위의 장애물을 잘 보면서 이동하여, 적들에게 포위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 라운드 4
- 마녀가 처음으로 스폰하는데, 마녀의 경우 다인 플레이와 다르게 솔로 플레이에서는 쥐약일 정도로 경계 대상에 속한다. 이 때문에 적들의 스폰 지점을 조금이라도 분산시키기 위해서 미리 저택을 열어놓는 것도 방법이다.
1. 마녀들의 공격을 조금이라도 피하기 위해서는 자신 앞에 좀비 등을 두면 된다. 그렇게 되면 해당 적이 물약을 대신 맞기 때문에 플레이어는 그 공격을 피할 수 있다.
2. 마녀들은 권총으로 치명타 2번을 맞추면 대개 물약을 마시므로, 이를 이용해 시간을 버는 것도 괜찮다.[6]
• 라운드 5
- 저택 앞 계단을 적극적으로 이용해 늑대들을 사살한다. 이동하다가 후방에 웨어울프가 있는지 잘 보아야 하며, 늑대들이 선두에 다수 있을 때는 늑대를 우선적으로 사살한다는 느낌으로 진행해야 한다. 시간이 지나 릴리와 엘리가 스폰되었다면, 엘리를 최우선으로 사살해준다.
☆ 이 때 도서관을 연다. save 1을 해야 하는데, 릴리를 빈사상태로 만들거나, 지하실 앞 계단에 적이 있다면(Stuck) 사살하지 말고 열거나 한 뒤 산탄총을 구매한다.
• 라운드 6~8
- 면적이 굉장히 넓은 도서관이 열렸으니, 앞마당에서 나오는 적들 수는 줄어들 것이다. 이 점을 이용하여 마녀가 보일 때 저택 입구쪽 코너에 숨으면 마녀가 가까이 붙는데, 이 때 기습하여 산탄총으로 빠르게 사살할 수 있다.
☆ 이 때 일반 좀비들 공격에 대한 받는 피해량을 줄이고 싶으면 save 1하고 던전을 개방하여 철 갑옷 상의를 마련한다. 라운드 8이 끝나기 직전에는 앞마당에 복귀하도록 한다.
• 라운드 9
- 대량의 슬라임이 앞마당에 스폰된다. 나오면 산탄총으로 사살하다가, 3번째로 슬라임이 스폰하면 사살 후 던전에 가서 저격총을 구매하고, 앞마당으로 가면서 다음 라운드로 넘어간다.[7]
• 라운드 10
- 좀 어려운 라운드. 하지만 실력이 좋다면 무난하게 넘길 수 있을 것이다.
1. 킹 슬라임이 스폰하는데 마녀가 함께 스폰해 물약을 던져 플레이어의 체력을 깎는다. 마녀가 보이면 바로 저격총 등으로 사살해주고, 앞마당을 계속 돌며 킹 슬라임을 상대해준다.
2. 라운드 11에 대비해, 킹 슬라임의 체력이 많이 저하될 때 던전으로 유인하며 사살하는 것도 방법이다.
☆ 탄약이 부족하지 않게, 라운드가 끝나면 산탄총(+ 저격총)의 탄약을 채워주도록 한다.
• 라운드 11
- 위더 좀비가 처음으로 스폰한다. 위더 좀비는 보이면 바로바로 사살해주고, 이 때 save 1하고 지하실도 열어 철 갑옷 하의까지 마련한다. 이후로는 던전에 무덤(Tomb)으로 이동하면서 다음 라운드로 넘어간다.
• 라운드 12~14
- 위더 스켈레톤이 스폰하는 라운드이다. 위더 스켈레톤은 산탄총으로 잘 조준하면 1발에 죽는 동시에 많은 골드가 축적되니 조준 연습을 해두자. 중간에 마녀가 스폰하지만 위더 스켈레톤에 막혀 제대로 물약을 던지지 못하므로, 저격총으로 사살해준다.
1. 소지한 골드가 많아지면 save 1하고 발코니를 열고 전원을 활성화하고, 클라렌스만 살려두고 추가 무기와 빠른 발사, 추가 체력을 구입해준다.
2. 1을 시행해도 1,000 골드 이상 남는다면 행운의 상자를 1번만 돌려준다. 단, 이 무기는 주력으로 쓰기보다는, 탄약이 다 떨어졌을 때 등 비상 상황에 쓸 무기("3rd" 무기)라고 생각하고 쓰는 것이 좋다.
3. 라운드 14가 끝나기 직전 앞 마당으로 이동한다.
☆ 저격총 탄약이 부족하다면 묘지(Graveyard)를 열어 미리 강화를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즉, 라운드 10대 중반에 하든 후반에 하든 상관은 없으니, 본인 판단에 맡긴다.
• 라운드 15
- 첫 번째 고비. 늑대와 웨어울프가 스폰하는데, 저택 앞 계단을 이용하면 늑대에게 치명타를 맞추기 좋다. 늑대 물량이 생각보다 많고, 웨어울프 공격력도 높기 때문에 앞마당을 크게 돌며 안전하게 싸우도록 한다.
☆ 이 라운드에는 박멸기가 유용하다. 다시 말해, 실력이 부족하다면 이 라운드만은 3번째 무기도 주 무기로 사용하라는 이야기다. 어쨌든 라운드가 끝나기 직전에는 다시 무덤으로 이동한다.
• 라운드 16~19
- 라운드 18은 위더 스켈레톤이 스폰하지 않으니, 무덤 옆에 있는 감옥 앞에서 저격총으로 사격하며 대항하고, 나머지 라운드는 무덤에서 전투하면 된다.
☆ 라운드 20까지의 무기 세팅은 강화된 저격총 + 산탄총 (+ 3번째 무기)이 되어야 한다.
• 라운드 20
- 남은 적들 수(Zombies Left)가 1이 되고, 저격총이나 산탄총에 탄약이 많이 없다면 해당 총기의 탄약을 채워주고 그레이트 홀에 입장한다. 저격총이나 산탄총으로 위더를 사살해주거나, 3번째 무기가 화염방사기라면 그 무기부터 탄약을 다 쓰고 저격총과 산탄총을 사용한다.[8]
☆ 위더 사살 후 탄약 공급(Ammo supply)을 발동해준다.
• 라운드 21
- 발코니 구석(Bal-corner)에서 전투한다. 이후 라운드가 끝날 때 즈음에는, 활성화된 행운의 상자 옆에서 다음 라운드로 넘어가준다.
• 라운드 22
- 행운의 상자를 돌려 무기를 마련한다. 위에 세팅된 무기를 마련하되, 박멸기는 버리지 않도록 한다. 라운드가 끝나기 직전이거나 무기를 모두 마련했다면, 다시 묘지(Graveyard)로 이동한다.
☆ 이 때까지 무기를 마련하지 못했다면, 각 라운드에 save 1하고 무기를 뽑아준다.
• 라운드 23~24
- 라운드 23은 투명화 좀비만 조심하면 되고, 라운드 24부터 스폰되는 히로빈의 소환수는 보이는 즉시 빠르게 사살한다.
• 라운드 25
- 두 번째 고비. CS에서 전투한다. 웨어울프와 늑대가 스폰하는데, 웨어울프도 V레벨 강화된 금광꾼으로 3발에 사살될 정도로 강하므로 웨어울프가 창문에서 나온다면 매우 빠르게 사살해주고, 이후 적들이 몰려오면 저택-지하실 문을 열고 뒤로 이동하면서 화력을 최대한으로 높여준다.
• 라운드 26~29
- 발코니 구석(Bal-corner) 또는 묘지(Graveyard)에 머문다. 이 때 라운드 29에서 s1 후 묘지 내부에 있는 창문을 모두 수리하고 탄약 공급(Ammo supply)을 구매하는 등 준비를 한다.
☆ 라운드 28의 경우 던전 구석이나 CS[9]에 머무는 것을 추천한다. 돼지 좀비는 금광꾼 1발을 버티므로, 최대한 빨리 사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라운드 30
- 세 번째 고비. 묘지(Graveyard)에서 최후의 전투를 진행한다.
1. 묘지 내 창문에서 나오는 적들을 사살하고[10] 복도에 있는 적들을 엘더 건으로 사살해주다가, 히로빈이 오면 난간을 넘어 히로빈을 펀쳐로 민 후 최대한으로 사격을 가하는데, 히로빈이 빠르게 텔레포트하면 성공이다.
2. 히로빈이 다시 온다면 난간을 넘어, 펀쳐로 밀어 반대편 난간으로 보낸 뒤 사격을 가하다가, 히로빈이 난간을 넘어오면 난간 옆으로 피해서 반대편 난간으로 넘어간다. 히로빈이 난간으로 다가오면 다시 펀쳐로 밀고 사격하고…, 이를 반복한다.
3. 주의사항은 난간 옆으로 이동할 때 묘에 빠지면 곤란하다. 그러니 이동할 때 조심해야 한다.
4. 히로빈이 히로빈의 소환수와 투명화 좀비를 소환시키기도 하는데, 이 적들의 공격·이동 범위를 잘 생각하며 움직여야 방해되지 않는다.
5. 히로빈은 시간이 지날수록 이속이 증가하니, 히로빈에게 잡힐 것같다 싶으면 미리 피하는 것이 최우선이다. 히로빈이 사망하기 전까지는 방심하면 안 된다.
2.2.2. 어려움
클리어 영상[11] |
1. 전반적으로 일반 난이도와 진행이 비슷하나, 적들의 공격력과 체력이 높아진만큼 플레이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2. 무기 세팅은 저격총 + 엘더 건 or 박멸기 + 금광꾼이다. 라운드 30 전까진 엘더 건 대신 박멸기를 사용해도 괜찮지만 라운드 30에선 엘더 건이 필요할 수 있다. 퍼크 세팅의 경우 추가 체력 + 빠른 발사 + 추가 무기이다.
3. 라운드 25까지 저택-지하실 문은 열지 말자.
★ 공략
• 라운드 1~4
- 마녀를 조심하면서 진행한다면 크게 어렵지 않다. 다만 라운드 2~4에 스폰하는 슬라임은 권총 1발을 버티니 칼을 이용한 크리티컬 공격(Critical Attack)으로 사살하는 것을 추천한다. 라운드 3 or 4에서 save 1을 한다.
☆ save 1 후, 저택과 도서관을 열고 산탄총을 구매한 다음 던전까지 열어서 철 갑옷 상의와 저격총을 구매한다. 이때 아담, 스티브와 동굴 거미를 조심하자.
• 라운드 5
- 웨어울프와 늑대가 스폰하는데, 웨어울프는 53 HP이므로 산탄총 1발로는 사살되지 않으니 주의한다. 앞마당에서 돌아다니면서 전투하는 것을 추천하며, 릴리 1마리와 엘리 2마리가 스폰할 때는 히트박스가 매우 작고 공격력이 강한 엘리를 조심하면 된다.
• 라운드 6~8
- 난이도가 그리 높지 않지만 방심하면 안 된다. 중간에 지하실을 열어 철 갑옷을 구매하며, 특히 라운드 8에는 s1 후 발코니를 열고 전원을 활성화한다.[12]
• 라운드 9
- 이 때까지 묘지(Graveyard)를 열어 저격총과 산탄총 강화를 해야 한다. save 1을 하고 퍼크를 세팅하는데 추가 체력 3티어를 우선 순위로 구매해야 한다.
☆ 다 세팅했다면, 되도록 도서관 로비에서 시작해 다음 라운드로 넘어간다.
• 라운드 10
- 첫 번째 고비. 킹 슬라임이 스폰하는데, 어려움 난이도의 킹 슬라임은 일반 난이도와 다르게 가까이서 상대하기가 조금 위험하다. 도서관에서 전투하다가 킹 슬라임이 다가오면 저택 쪽으로 도망치며 빠른 발사 퍼크를 구매한다. 그런 다음 앞마당에서 킹 슬라임을 사살하도록 한다.
☆ 원거리 공격형 적인 마녀는 눈에 보이는 즉시 도망치면서 사살한다.
• 라운드 11~14
- 위더 스켈레톤 상대하기 위해 무덤에 머문다. 실력이 부족하다면 각 라운드마다 save 1하면서 행운의 상자를 돌려, 고성능 무기를 마련한다. 단, 추가 무기 퍼크를 미리 얻어야 한다.
☆ 라운드 14가 끝나기 전에는 앞마당으로 이동하고 다음 라운드로 넘어간다.
• 라운드 15
- 두 번째 고비. 늑대와 웨어울프가 나온다. 둘 다 체력이 좀 높으니 앞마당에서 전투한다.
• 라운드 16~20
- 라운드 18에 권능을 부여받은 좀비가 스폰한다는 것 외에는 일반난이도와 큰 차이 없지만, 적들 공격력이 정말 높으니 주의한다. 특히 라운드 20의 경우, 위더 상대 전 다른 적들을 모두 사살하는 것이 좋다.
• 라운드 21~24
- 전반적으로 발코니 구석(Bal-corner)에 머문다. 라운드 24부터 체력 높은 히로빈의 소환수가 예고없이 갑자기 스폰하기 때문에 주의하며 전투한다.
☆ 행운의 상자를 돌려 좋은 무기금광꾼, 엘더 건, 박멸기를 얻는다.
1) 금광꾼: 강화할 골드량이 충분할 경우, 얻은 후 바로 강화하고 비용이 없다면 금광꾼 강화에 집중하자.
2) 펀쳐 or 엘더 건: 무조건 얻는다. 강화는 추후 해도 괜찮다.
3) 좀비 박멸기 : 일단 얻고, 추후 엘더 건이 나올 경우 (엘더 건을 사용하겠다면) 이 총기와 교체한다.
• 라운드 25
- 세 번째 고비. CS에 머무는 것을 추천한다. 늑대와 웨어울프가 스폰한다. 둘 다 체력이 매우 높아서[13] 수월한 전투를 위해서는 금광꾼이 있어야 하며, 없으면 굉장히 어렵다.
• 라운드 26
- 12,000 골드가 넘는다면 팀 머신 왼쪽에서 드래곤의 분노(Dragon's Wrath)를 웨이브 시작 시 사용한다. 없다면 발코니 구석이나 묘지에서 전투를 진행한다.
• 라운드 27~29
- 발코니 구석에 머문다. 다만 라운드 28에서는 히로빈의 소환수가 스폰하지 않으니 던전 옆 구석에 머무는 것을 추천한다.
☆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1) 라운드 29에서 s1 할 때 주의하자. 크리퍼는 자폭하기 쉬운데다가 이 자폭 피해로 인해 다른 적까지 같이 사망할 수도 있다.
2) 어쨌든 s1을 한 후, 위에 언급한 무기 세팅을 못했다면 마저 완성하고 묘지(Graveyard) 내의 창문 수리, 탄약 공급(Ammo supply)을 발동한 후 마지막 라운드로 넘어간다.
3) 저택-지하실 문을 반드시 열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히로빈이 웨이브 3 시작과 동시에 플레이어와 대면하게 된다.
• 라운드 30
- 네 번째 고비. 처음 도전 시 정말 어려우므로 조심해야 한다.
1. 묘지(Graveyard) 내 창문에 스폰되는 적들을 사살하고,[14] 바로 엘더 건으로 복도에 있는 적들을 사살한다.
2. 웨이브 3 시작되면 잠시 후 히로빈과 대면할 텐데, 난간을 넘어 펀쳐로 히로빈을 미는 것을 반복한다. 이 때 히로빈 외 다른 적들을 우선적으로 사살한다.
3. 어느 정도 반복하면 히로빈과 그가 소환한 적들만 남는데, 이 때부터는 히로빈을 집중 공격한다.
4. 히로빈이 히로빈의 소환수와 투명화 좀비를 소환시키는데 이 적들이 히로빈 상대를 방해하므로 우선적으로 사살한다.
5. 히로빈은 시간이 지날수록 이속이 증가하니 히로빈을 펀쳐로 감당하지 못할 것 같다 싶으면 반대쪽 난간으로 피한다. 히로빈이 사망하기 전까지는 방심하면 안 된다.
2.2.3. RIP
No CS 클리어 영상[15] |
All open 클리어 영상 |
- 자신의 조준·이동 실력의 한계를 경험하고 그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는 챌린지. 이 챌린지가 바로 그러한 역할을 한다고 본다.
★ 공략 종류(라운드 30 기준)[16]
1. All open : 모든 문을 여는 공략이다. 히로빈 스폰 후 처음으로 묘지(Graveyard)에 도착하는 시간이 No CS 공략에 비해 늦으므로 라운드 초반 대처가 쉽지만, 이후 히로빈 2마리가 같이 다가오는 경우가 많다. 또한 라운드 25에서 cs에서 전투할 때, 유사 시 저택-지하실 문을 열고 도주할 수 있으므로 라운드 25의 난이도가 상당히 내려간다.
2. No CS : 저택-지하실 문만 닫는 공략이다. 히로빈 스폰 후 처음으로 묘지(Graveyard)에 도착하는 시간이 하필 다음 웨이브 시작 타이밍과 겹쳐서 라운드 초반이 매우 어렵지만, 이후 히로빈 2마리가 동시에 다가오는 경우가 적기에 all open보다 쉬워진다. 하지만 라운드 25에서 cs에서 버틸 때 전투할 때 저택-지하실 문을 열 수 없기에, CS에서 앞으로 탈출하거나, 처음부터 앞마당(정원)에서 전투해야 하기에 라운드 25의 난이도가 올라간다.
3. All close : 저택-지하실 문과 지하실-발코니 문을 닫는 공략으로, 갑옷 없이 클리어할 수 있을 정도로 매우 쉽지만, 앞서 서술한 2가지 공략에 비해 지나치게 쉽기에 라운드 30을 이렇게 진행하면 대부분은 클리어를 인정하지 않는다. 그 외에도 no cs와 마찬가지로 라운드 25의 난이도가 올라간다.
★ 읽기 전에
1. 무기 세팅은 저격총 + 금광꾼 + 엘더 건이다. 반면 자신이 탄약을 잘 아끼고, 저격총, 금광꾼, 박멸기 리듬을 잘 사용한다면 엘더 건 대신 박멸기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퍼크는 추가 체력 + 빠른 발사 + 추가 무기이다.
2. 탄약 관리를 잘 해야 한다. 특히 라운드 20 전과 라운드 30은 탄약을 최대한 아껴야 한다.
3. 절대 저택-지하실 문을 열지 않는다.[17]
4. 이 공략은 초반, 중반, 후반이 나눠짐에 따라 단락을 분리하여 서술하였다.
2.2.3.1. 초반(라운드 1 ~ 10)
★ 개요- 초반에는 갑옷 착용, 저격총 & 산탄총 구매 및 강화, 퍼크 구매를 중점적으로 수행하는 라운드이다. 가장 위험한 적은 마녀이니 마녀를 1순위 표적으로 두는 것이 중요하다.
★ 공략
• 라운드 1
- 웨이브 1이 시작될 때 슬라임이 나무 주변에서 스폰하니 슬라임부터 사살한다. 슬라임 상대법은 다음과 같다.
|
슬라임이 스폰하는 좌표 |
|
|
• 라운드 2
- 라운드 1에 비해 적 물량이 더 증가하고, 특히 슬라임이 4마리나 스폰한다. [칼(크리티컬 공격) 1타 → 권총 2발 사격] 과정을 2번 반복하여 모든 슬라임을 사살하며, 이후에는 트레인하며 전투를 진행한다.
☆ save 1 후, 도서관까지 열고 금 갑옷 하의, 산탄총을 구매한 후 스티브와 아담을 사살하자.
• 라운드 3~4
- 던전을 열지 않은 채 Lstep에서 전투를 진행하는데, 마녀를 1순위로 사살해야 한다는 점 유의한다. save 1하며 던전 열고 철 갑옷 상의와 저격총을 구매한 뒤(가능하면 발코니를 미리 열어도 된다), 앞마당으로 복귀하며 다음 라운드로 넘어간다.
• 라운드 5
- 첫 번째 고비. 늑대들과 웨어울프[18]가 스폰하므로 웬만하면 저택 앞 계단에 머문다.[19] 전투를 진행하다보면 웨이브 3에서 릴리와 엘리 3마리가 스폰하는데, 이들한테는 산탄총 사격을 특히 잘해야 한다. 특히 엘리를 조심한다.
• 라운드 6~7
- 던전 구석에 머무는 것을 추천한다. 중간에 발코니를 미리 열고 전원을 활성화한다.
• 라운드 8~9
- 즉시 처치 파워업이 스폰하는 라운드라면 시작하자마자 지하실을 연다. 동굴 거미를 사살해 즉시 처치[20]를 얻었다면, 바로 묘지(Graveyard)를 열어 거트루드를 일격사시킨다.
1. 라운드 8의 경우 이속이 높은 돼지 좀비랑 권능을 부여받은 좀비로 인해 아주 어려운 라운드이다. 방심하면 그대로 게임오버된다.
2. 라운드 9를 마치기 전까지 저격총과 산탄총을 강화하고, 추가 체력 3티어까지 구매한 뒤, 도서관에 대기한다.
• 라운드 10
- 두 번째 고비. 킹 슬라임 2마리가 스폰하는데, 다른 난이도처럼 골드 축적하는 라운드라고 생각해 방심하면 안 된다.[21] 도서관에서 다른 적들을 사살하다가 킹 슬라임이 스폰되면 저택 쪽으로 도망치며 빠른 발사 퍼크를 구매한다. 그런 다음 앞마당에서 킹 슬라임을 사살하도록 한다.
☆ 원거리 공격형 적인 마녀는 눈에 보이는 즉시 도망치면서 사살한다.
2.2.3.2. 중반(라운드 11 ~ 23)
★ 개요- 중반부터는 펀쳐를 포함한 고화력 무기를 구비해야 하는 라운드이다. 가장 위험한 적은 위더 좀비로, 던전에 머물 때 정말 주의해야 할 대상이다. 추가로, 라운드 15까진 3번째 무기(3rd)만 소지해도 된다.
★ 공략
• 라운드 11~14
- 위더 좀비와 위더 스켈레톤을 상대하기 위해 무덤(Tomb)에 머문다. save 1해서 행운의 상자에서 무기 뽑는 건 절대로 잊으면 안 된다.[22]
☆ 라운드 14가 끝나기 전에는 도서관 코너(Lib-corner)으로 이동하고 다음 라운드로 넘어간다.
• 라운드 15
- 세 번째 고비. 킹 슬라임이 웨이브 1부터 3마리가 스폰하므로 앞에서 나온 라운드들보다 상대적으로 어렵다고 볼 수도 있다. 웨이브 1 시작 직전까지 도서관 코너에서 대기하다가, 웨이브 1이 시작되면 바로 탈출한 후 저택 → 정원으로 이동하며 킹 슬라임을 사살한다.[23] 저택 앞 계단을 이용해 킹 슬라임의 속력을 떨어뜨려야 하므로 앞마당 내에 창문에서 나오는 적들을 주의하도록 한다.
• 라운드 16~19
- 무덤에 머물되, 경계를 늦춰서는 안 한다. 반면 라운드 18의 경우 던전 구석에 머물면 된다.
☆ 이 시기에 행운의 상자에서 좋은 무기들을 얻어야 한다. 탄약을 아끼기 위해서 엘더 건은 탄약이 부족하면 강화, V레벨 강화된 금광꾼은 난사하지 말고 신중히 사용하는 방식을 취한다.
• 라운드 20
- 위더 2마리가 스폰된다. 탄약 여유가 되면 다른 적들을 모두 사살한 뒤 위더를 처리하고 탄약이 부족하면 Ammo supply를 발동한 후 왕좌 옆 구석에서 버텨낸다.
• 라운드 21~23
- cs나 던전에 머문다. 히로빈의 소환수나 위더 스켈레톤같이 위험한 적들이 없어 전반적으로 무난하다.
2.2.3.3. 후반(라운드 24 ~ 29)
★ 개요- 후반은 DPS, 생존 싸움이다. 특히 히로빈의 소환수와 이를 서포트하는 투명화 좀비는 가장 위험하다.
★ 공략
• 라운드 24
- 히로빈의 소환수가 스폰하니, 발코니 구석(Bal-corner)이나 묘지(Graveyard)에 머문다.
• 라운드 25
- 네 번째 고비. 킹 슬라임이 5마리나 스폰한다. all open 공략을 따를 것이라면 CS에 머물고, 아니라면 CS나 정원 중 택1하면 되나 전자는 저택-지하실 문이 열릴 위험이 있기에 그렇게 추천하지 않는다.
1. cs에 머물 경우, 킹 슬라임이 너무 많으면 문을 열고 도망치거나All open 한정, 밖으로 탈출해 앞마당에서 마무리하면 된다.
2. 정원에 머물 경우, 웨이브 3 때 SLA로 최대한 멀리 스폰시킨다. 킹 슬라임이 다가오면 펀쳐를 사용하며, 트레인을 하며 상대한다. 또한 이속과 물량 모두 높은 늑대들은 박멸기로 빠르게 몰살한다.
☆ 후방 기습을 대비하기 힘들 경우,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진행해본다.
1) CS에서 전투하다가 웨이브 2에서 앞마당으로 돌진한다.
2) 저택 앞 계단을 계속 돌다가(Stair Train) 킹 슬라임 2~3마리가 사망할 시 그레이트 홀로 도망치면서 나머지를 사살하거나,[24] 나머지도 사살될 때까지 계속 저택 앞 계단을 돌면서 천천히 사살하는 방법 중 택1한다.
• 라운드 26
- 발코니 구석이나 무덤에 머문다. s1 하기 가장 좋은 라운드[25]이니 이 라운드에서 s1을 하고 (필요 시) 박멸기를 엘더 건으로 교체하는 등 되도록 여기서 무기 세팅을 끝내야 한다.
• 라운드 27~29
- 묘지(Graveyard)나 발코니 구석에 머문다. 다만, 라운드 28은 절대 묘지에 머물면 안 된다. 대신 던전 구석이 전투에 유리하니 그 장소에 머문다. 또한 라운드 29에선 무조건 save 1을 하고 탄약 공급을 하자.[26]
☆ 이제 all open, no cs, all close 중 하나를 고른다. 물론 라운드 25 때문에 무조건 all open으로 진행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2.2.3.4. 최후의 전투(라운드 30)
★ 전반적인 설명- 히로빈 2마리와 최후의 일기토를 벌이는 라운드로써, (all close가 아닌 이상) 그 난이도는 상상을 초월한다.[27] 고도의 상황 판단 능력과 조준 실력이 중요한 라운드이다. 자신의 탄약이 모두 소진될 때까지 히로빈 2마리를 모두 사살하는 것이 중요하다. 히로빈을 포함한 보스는 디스폰되지 않으므로 탄약이 소진되어버리면 가망이 없다.[28] all close 공략의 경우 이 단락을 보자.
★ 공략
• 웨이브 1
- 히로빈 1마리가 스폰한다. 웨이브 시작 전까지 창문을 조준하고 있으면 수월한다.
1. 저격총으로 묘지(Graveyard) 내 모든 창문에 있는 적들을 빠르게 사살하고 스티브 묘표와 릴리 묘표 사이로 들어가 복도를 조준한다.
2. 복도 내의 적들이 다가와 자신을 공격하기 직전에 엘더 건 2발을 발사하고 재장전을 한다.
3. 복도 내의 적들이 묘지 입구를 막 넘으면 엘더 건 2발을 발사한다(재장전하지 않는다).
• 웨이브 2
- 히로빈 1마리가 더 스폰한다. 웨이브 시작 타이밍에 맞춰서 아래와 같이 움직여야 수월하다.
1. 약간 전진 후 왼쪽 창문을 조준하다가, 웨이브 2가 시작되면 저격총으로 왼쪽 창문 내의 적들을 사살한다.[29] 이후 복도에서 엘더 건 2발을 더 발사한다.
2. 돌아서서 저격총과 금광꾼을 이용해 묘지 내부를 클리어한다. 그런 다음 스티브 묘표와 릴리 묘표 사이로 돌아간다.
3. 복도 내의 적들이 레드스톤 횃불(조약돌 담장 기둥)을 지나면 엘더 건 2발 발사 후 재장전한다. 재장전 끝난 즉시 빠르게 2발 더 발사한다(재장전하지 않는다).
• 웨이브 3
- 여기서부터는 계속해서 엘더 건으로 복도를 향해 사격해야 한다. 절대는 아니지만, 되도록이면 히로빈 외에는 저격총과 금광꾼을 사용하지 않아야 이후에 수월하다.
1. 약간 전진 후 왼쪽 창문을 조준하다가, 웨이브 3이 시작되면 저격총으로 왼쪽 창문 내의 적들을 사살한다. 이후 복도에서 엘더 건 2발을 더 발사한다.
2. 돌아서서 저격총과 금광꾼을 이용해 묘지 내부를 클리어한다.
3. 히로빈이 묘지에 왔는데 순간이동하지 않으면 오른쪽 난간 뒤로 이동하여 적들한테 총을 난사한다. 히로빈은 랜덤으로 순간이동해 사라진다.
Q. 이 과정에서 물량이나 혹은 컨트롤 미스로 인해 밀리게 된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A. 그럴 때는 강화 머신 코너에 간 다음 총을 난사해 적들을 빠르게 사살하고, 히로빈이 오면 히로빈이 강화 머신 외곽 코너를 돌 때까지 기다린 다음 왼쪽 묘비를 따라 달리고(묘 안으로 빠질 수도 있으니 주의.) 왼쪽 난간 바깥쪽으로 돈다.
☆ 묘지에서 트레인할 때 복도에서 적이 다가오면, 집중공격 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엘더 건 1발을 사격하여 히로빈의 소환수에게 살해당할 가능성을 없애야 한다(엘더 건에 의한 기절 시간이 단 2초에 불과하므로 이럴 때는 나무 그루터기를 이용하지 않는다).[30]
• 히로빈과의 전투 중[31]
- 아래 4가지 상황에 따라 대응을 잘 하며 전투한다.
1. 히로빈 2마리가 남은 상황
▷ 2개의 난간 사이에 머물면서 히로빈이 다가올 때까지 기다린다.
2. 히로빈 1마리와 맞닥뜨린 상황
▷ '오른쪽' 난간을 향해 뒤로 걸어가면서 히로빈한테 사격한다.[32]
3. 히로빈 2마리가 간격을 두고 다가오는 경우
▷ 오른쪽 난간 뒤로 넘어가면서 사격한다. 히로빈들이 엇갈려 있는 한, 그들이 난간에 붙을 때마다 각각 펀쳐로 민다. 서술한 "히로빈 1마리와 맞닥뜨린 상황"과 동일하다.
4. 히로빈 2마리가 모일 경우
▷ 오른쪽 난간 뒤로 넘어가면서 사격한다. 히로빈한테 펀쳐는 사용하지 않도록 하되,[33] 다른 적들한테는 계속 사격한다. 히로빈 2마리가 난간 위로 점프하려고 하는 것을 보면 난간 바깥쪽을 돌면서 다시 오른쪽 난간으로 이동한다. 이럼에도 히로빈이 아직 묘지에 있다면 이 과정을 반복한다.
☆ 펀칭 관련 도움말
》혹시라도 펀칭 미스를 하게 되면, 즉시 오른쪽 난간에서 빠져나와 왼쪽 난간 안쪽으로 돌아서 들어간다.[34]
》가끔 운이 안 좋아서 게임 오버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히로빈에게 펀칭을 하는 순간 히로빈이 히로빈의 소환수를 소환해버려서 펀쳐는 히로빈의 소환수를 때리고 히로빈은 그대로 난간을 타고 와서 집중공격을 당할 수 있는 것이다.
• 전투 시간 제한(권장)
- 히로빈 2마리 중 1마리는 늦어도 2분 안에 사살해야 한다. 그 정도 시간이 지나면 히로빈의 이속이 플레이어보다 높으며 여기서 1분이 더 지날 즈음에는 히로빈의 이속이 더 높아져 난간을 탈 때 마르세유턴을 시전하기에 히로빈을 조준하기 힘들다.
2.2.3.4.1. all close
★ 개요- all close의 경우 위 공략과 진행 방식이 매우 다르다. 덧붙이자면, 현재는 모든 보스가 시간이 지나도 디스폰되지 않기에, 320초를 버텨 히로빈을 디스폰시키는 전략은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다.
★ 공략
• 웨이브 1(0:10~0:22)
- 저격총으로 묘지(Graveyard) 내 모든 창문에 있는 적들을 빠르게 사살하고, 스티브 묘표와 릴리 묘표 사이로 들어가서 엘더 건으로 적들을 사살한다.
• 웨이브 2(0:22~0:34)
- 저격총과 금광꾼으로 묘지 내 모든 창문에 있는 적들을 빠르게 사살하고, 스티브 묘표와 릴리 묘표 사이로 들어가서 엘더 건으로 적들을 사살한다.
• 웨이브 3(0:34~)
- 여기서부터는 계속해서 엘더 건으로 복도를 향해 사격하며 표지판 벽샷으로 히로빈을 사살한다. 이 때 절대 묘지 앞으로 나가거나, 왼쪽 난간에 있지 않는다. 라운드 시작 후 4분이 지나기 전까지는 히로빈을 모두 사살하는 것이 좋은데, 이는 4분이 경과된 후부터는 히로빈의 이속이 아주 높아져 묘지에서 히로빈과 맞닥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3. 무기 관련
3.1. POC
Pistol only challenge. 무기 중 칼과 권총만을 사용하는 챌린지이다. 다만 퍼크나 갑옷은 여전히 자유롭게 구매할 수 있다.3.1.1. RIP(쿼드)
한국인 풀 파티 최초 클리어 영상 |
- 이 챌린지는 자신의 무빙 실력, 그리고 무엇보다 팀원 전체의 돌발상황 대처 능력(MUI) 테스트 역할을 한다고 본다.
★ 읽기 전에
1. '탄약 충전' 파워업의 첫 스폰은 라운드 2여야 한다. 라운드 3일 경우 10대 라운드 후반의 탄약 관리가 너무나도 힘들어진다.
2.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버티기 장소는 앞마당(정원)이다.
3. 도서관은 열지 않는다.
4. Dragon's wrath를 사용해야 함으로 골드를 최대한 축적해야 한다. 여유가 된다면 '즉시 처치' 파워업은 얻지 않도록 하자.
5. 퍼크 세팅은 다음 2가지 중 선택한다.
1) 추가 체력 + 빠른 발사 + 신속(3명), 추가 체력 + 빠른 발사 + 빠른 부활(1명) : DPS에 집중한 세팅이다.
2) 추가 체력 + 빠른 발사 + 신속(3명), 추가 체력 + 빠른 부활 + 신속(1명) : 모두 신속 퍼크를 소지함으로 보스전에서 생존력을 극대화한 세팅이다.
6. 'CS 벽샷'에 대해 익숙해야 수월한 클리어가 가능하다.
★ 공략
• 라운드 1~7
- 일반적인 공략과 같이 진행하되, 라운드 5에 나오는 릴리와 엘리 3마리를 조심하자. 또한, 다량의 슬라임을 빠르게 사살해, 이동에 방해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한다.
• 라운드 8
- 이 라운드에서 s1을 하고 다음 2가지를 잘 따른다.
1. 저택 → 지하실 → 던전을 연 다음 묘지(Graveyard)[35]와 발코니도 열고 스위치도 당겨준다.
2. 남는 골드로 철 갑옷 세트부터 모두 갖추고, 퍼크를 마련한다. 이 때 신속 퍼크를 먼저 구매하는 것도 좋다.
3. 모든 준비가 끝나면 앞마당으로 복귀한다.
• 라운드 9
- s1 후 권총을 강화해준다. 이후에는 마련하지 못한 갑옷이나 퍼크를 더 구매하고 다음 라운드로 넘어간다.[36]
• 라운드 10
- 킹 슬라임 2마리가 스폰한다. 앞마당 내 창문에서 나오는 적들을 빠르게 사살하고, 킹 슬라임 이외의 적들을 대부분 사살했다면 본격적으로 킹 슬라임을 상대한다. 킹 슬라임이 야외에 오랫동안 있을수록 공격력·이속이 높아지니, 상대 시 주의한다.
• 라운드 11~14
- 1명은 앞마당, 3명은 저택에 위치한다. 다만, CS 벽샷에 익숙하다면 2명은 앞마당에서 CS 벽샷을 하고, 나머지는 저택에 위치한다.
☆ 주의사항은 3가지가 있다.
1) 라운드 12의 '탄약 충전' 파워업은 최대한 늦게 얻는 것이 좋기에, 탄약 관리를 잘 하자.
2) '탄약 충전' 파워업을 얻은 순간부터 무조건 탄약을 아껴쓰도록 하자. 여유가 있다면 칼도 조금씩 사용해주도록 한다.
3) 라운드 14 s1 후, 앞마당 창문을 수리해준다.
• 라운드 15
- 어려운 라운드. 킹 슬라임이 3마리나 스폰한다. 다만 킹 슬라임보다는 늑대 및 슬라임을 우선적으로 사살하고, 웨어울프를 조금씩 공격하자. 그러다 이들이 어느 정도 사살되면 킹 슬라임을 공격한다. 탄약을 최대한 아껴쓰도록 노력해본다.
• 라운드 16~19
- 라운드 16에서 '탄약 충전' 파워업을 얻고, 탄약을 아껴쓰도록 한다. 특히 적들의 물량이 더 많아지기에, 칼도 조금씩 사용해야 한다.
☆ 포지션은 라운드 11~14처럼 1(앞마당) + 3(저택) 또는 2(앞마당 + CS 벽샷) + 2(저택)으로 잡는다.
• 라운드 20
- 위더가 2마리 스폰한다. 그레이트 홀이 열리면 탄약이 다 떨어진 플레이어 1명만 그레이트 홀에 들어가 Ammo supply(탄약 공급)를 발동한다. 이후 대부분의 적들이 사살되면 'Hide 유형'으로 위더를 사살해준다.
☆ 유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1) 그레이트 홀이 열리자마자 팀원 전체가 그레이트 홀로 들어가지는 말고, 먼저 그레이트 홀로 들어간 팀원이 쓰러지거나 남은 적들 수가 10마리 이하가 될 때쯤에 들어가는 것이 좋다.
2) 위더의 체력이 높기 때문에 라운드가 끝나면 Ammo supply(탄약 공급)를 한 번 더 발동해주자.
• 라운드 21~24
- 라운드 23까지는 투명화 좀비만 조심하면 무난하다. 한편 라운드 24를 시작으로, 앞으로 히로빈의 소환수가 스폰하는 라운드는 묘지(Graveyard)에 머물게 된다. 이 때 4명 중 묘지 앞 복도 코너를 수비하는 플레이어가 몇 명 있으면,[37] 라인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 라운드에 s1한 뒤, 저택 및 앞마당의 창문을 수리한다.
• 라운드 25
- 첫 번째 고비. 킹 슬라임이 무려 5마리나 스폰한다. 라운드 15처럼 킹 슬라임보단 그 외의 적들이 우선 표적이나, 적들의 물량이 라운드 15에 비해 훨씬 많기에, CS 벽샷을 통해 최대한 많은 적들을 사살하는 것이 필수이다.
☆ 플레이어가 쓰러지기 시작하면 적들의 주의가 완전히 분산되어버리기에, 난이도가 수직상승한다. 이동 중 적 무리 속에 갇히지 않게 조심한다. 특히, 무빙 중 슬라임과 최대한 충돌하지 않게끔 한다.
• 라운드 26~29
- 묘지(Graveyard)에서 최대한의 화력을 낸다. 묘지 앞 복도 코너를 최대한 수비하도록 한다.
☆ 라운드 28의 경우 앞마당에 머무는 것이 일반적이나, 묘지 앞 복도 코너에서 화력으로 버텨도 무방하다. 화력이 높다면 오히려 앞마당보다도 안정적일 수 있다.
• 라운드 30
- 두 번째 고비. 그레이트 홀에서 시작하며, 다음 순서를 잘 따른다.
1. 골드가 가장 적은 플레이어부터 Dragon's wrath를 라운드 시작 후 8.7초, 11초, 20.7초, 23초에 발동하여[38] 적들을 몰살한다.
2. 히로빈 2마리의 주의를 각각 다른 플레이어가 끌어야 한다. 히로빈의 주의가 끌린 플레이어는 앞마당에서 최대한 무빙을 하며 쓰러지지 않도록 한다.
3. 남은 적들의 수에 따라서 추가적으로 Dragon's wrath를 몇 번 더 발동한 뒤, 히로빈과 그가 소환한 적들만 남으면 팀원 모두 묘지(Graveyard)로 달려가서, 히로빈을 상대하도록 한다.
4. 이 때 중간에 팀원들의 탄약이 떨어지게 되면 히로빈의 주의가 끌리지 않은 1명이 그레이트 홀로 달려가서 As(Ammo supply)를 발동하고 되돌아와야 하는데, 이 때 묘지에 남아있는 팀원이 쓰러지기라도 한다면 히로빈의 주의가 As를 발동하러 간 팀원에게 끌릴 수도 있으니 이 때는 특히 더 조심해야 한다.
☆ 상상을 초월하는 히로빈의 속력을 권총으로, 최소 4분 이상 감당해야 하니, 고도의 조준·무빙·상황 판단 능력을 요구한다. 또한, 히로빈의 주의가 끌린 사람은 사격을 중지하고, 자신의 생존에만 집중한다. 특히 히로빈은 장시간이 지나도 디스폰되지 않으므로 히로빈이 모두 사살되기 전까지 긴장을 한순간도 늦춰서는 안 된다.
3.2. KOC
Knife only challenge. 사용 가능 무기를 오직 칼로만 한정하는 챌린지이다.3.2.1. 일반(쿼드)
★ 읽기 전에1. 이 유형의 챌린지는 사실상 일반 난이도 쿼드가 아니면 클리어가 불가능하다.
2. 퍼크는 신속, 빠른 부활, 추가 체력을 사용한다.
★ 공략
• 라운드 1~12
- 다음 3가지 특이사항이 있다는 것을 제외하면 일반적인 공략과 동일하다.
1. 무기는 칼만 사용한다.
2. 라운드 10에서 킹 슬라임을 사살한 후에는 갑옷을 최대한 맞추어야 한다.
3. 라운드 11~12는 앞마당에 머문다.
• 라운드 13~14
- 어려운 라운드. 본인의 무빙이 좋지 않다면 만만찮은 난이도이다. 최대한 빠르게 적들을 사살하되, 적 여러 마리를 한꺼번에 표적으로 삼지 말고 1마리씩 표적으로 삼아야 한다. 이 때 라운드 14에는 마녀를 조심한다.
☆ save 1 이후, 발코니와 묘지(Graveyard)를 열고, 전원 활성화 후 퍼크를 구매한다. 또한 칼을 강화하고, 앞마당에 모두 모여 다음 라운드를 시작한다.
• 라운드 15~17
- 라운드 15~16은 별 특이사항이 없으나, 라운드 17은 첫 번째 고비로, No-door 챌린지 라운드 17보다 어렵다. 마녀를 1순위 표적으로 삼으며, 최대한 빠르게 적들을 사살한다.
• 라운드 18~23
- 전체적으로 별 특이사항이 없으나, 적들을 확실하게 사살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한편 라운드 20에서 등장하는 위더는 재생 능력 때문에 사살이 매우 힘들다.
• 라운드 24~25
- 라운드 24의 경우 진행 방식은 No-door 챌린지와 동일하게 한다. 다만 앞마당-저택 문이 열려 있으므로 댄싱 경로만 서술된 챌린지와 똑같이 설정하자. 한편 라운드 25는 라운드 15의 강화 라운드일뿐, 라운드 자체의 특이사항은 없다.
• 라운드 26~29
- 라운드 26의 경우 정원에서 버텨내다가, 그레이트 홀에서 Dragon's wrath를 사용하자. 특히 라운드 27부터는 매 라운드가 고비로, 적들의 물량이 증가하기에 버텨내기가 힘들어진다.
• 라운드 30
- 가장 어려운 난이도이다. Dragon's wrath가 필요한데, 칼은 GPD가 낮아 골드 축적이 힘드므로 몇 번 사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플레이어들이 각자 흩어져 적들을 모아 Dragon's wrath를 사용하는 기술을 선보여야 한다. 또한 히로빈 상대할 때는 히로빈을 구석에 몰아넣고 칼로 크리티컬 공격[39]하는 고난도 기술을 선보여야 한다.
3.3. LC only challenge
No LC와 반대의 개념으로 행운의 상자 무기만 사용 가능한 챌린지이다. 단, 난이도 조정을 위해 칼도 사용 가능하다.3.3.1. 일반(솔플)
★ 읽기 전에1. 행운의 상자의 위치는 저택에 활성화되어야 한다.
2. 어느 정도 운이 필요하다.
★ 공략
• 라운드 1~4
- 칼로 적들을 사살한다. 창문 수리로 골드를 추가 축적하고 저택을 열어[40] 행운의 상자를 돌린다.
• 라운드 5~9
- 무기에 따라서 즉시 처치를 얻고, 행운의 상자에서 좋은 무기를 최대한 빠르게 얻어야 한다.[41] 중간에 지하실, 발코니, 묘지(Graveyard)를 열고 좀비 박멸기를 강화한다.
• 라운드 10~20
- 라운드 10, 15는 앞마당에서, 이외 나머지 라운드는 무덤에 머문다.[42] 행운의 상자를 돌려서 금광꾼을 얻었다면 조금씩 강화하는 방식으로 탄약을 충전하며 전투를 진행한다.
• 라운드 21~30
- 이제부턴 탄약 관리가 쉬울 것이다. 라운드 29까지 퍼크, 무기를 세팅한다. 무기 세팅은 금광꾼, 박멸기가 필수이며 금광꾼이 없다면 엘더 건이 필수가 된다. 아무튼 이렇게 세팅한 무기로 묘지(Graveyard)에서 라운드 30을 진행한다.
3.4. eco set
GPD가 가장 높은 무기인 화염방사기, 바람총, 산탄총만 사용하는 챌린지이다. 다만, 펀쳐도 사용 가능하다.3.4.1. 일반(솔플)
★ 읽기 전에1. DPS가 매우 부족하기 때문에, 묘지(Graveyard)에서만 머물게 되면 적 물량을 버티지 못한다.
2. 퍼크는 추가 체력, 추가 무기, 신속이다.
★ 공략
• 라운드 1~20
- 일반적인 공략과 동일하다. 다만, 화염방사기와 바람총은 이 사이에 맞춰놓도록 한다.
• 라운드 21~23
- 앞마당(정원)에서 전투한다. 추가로 무기 세팅이 완전히 되지 않았다면, 계속적으로 행운의 상자를 돌려 무기를 맞춘다.
• 라운드 24~29
- 히로빈의 소환수가 스폰하므로 매우 어렵다. 히로빈의 소환수가 없는 라운드 25와 라운드 28은 평상시처럼 앞마당에서 전투하면 되지만 나머지 라운드는 다음 순서를 따라야 한다.
1. 웨이브 1: 그레이트 홀-발코니 문 근처에서 시작한다. 그 지점에서 적들을 공격하지 않고 시간을 끌다가, 그레이트 홀로 이동한다.
2. 웨이브 2: 그레이트 홀 중앙에서 시작한다. 저택 앞 계단에서 적들을 공격하며 시간을 끈다. 시간을 충분히 끌었거나 체력이 부족하면 빠른 부활 퍼크 판매대 위로 올라간다.
3. 웨이브 3: 빠른 부활 퍼크 판매대 위에서 시작한다.[43] 앞마당을 넓게 돌아서 반대쪽 계단으로 가면 유턴을 해 앞마당을 한 번 더 돈다. 이 때 안전한 위치[44]에서 적들을 공격한다.
• 라운드 30
- 마지막 라운드. 기본적으로 히로빈의 소환수가 스폰하는 라운드와 진행 방식이 같지만 웨이브 3부터 약간 다르므로 웨이브 3부터 서술한다.
1. 웨이브 3은 똑같이 빠른 부활 퍼크 판매대 위에서 시작한다. 앞마당을 돌며 반대쪽 계단으로 간 후, 유턴을 해 다시 한 번 앞마당을 돈다.
2. 빠른 부활 퍼크 판매대 쪽 계단으로 간 후, 그 판매대 위로 올라가 유턴해 한 번 더 앞마당을 돈다. 이 정도면 적들이 충분히 쌓이는데 이제 그레이트 홀로 이동해 드래곤의 분노(Dragon's wrath)를 발동한다.
3. 이후 최대한 무빙을 하여 다시 앞마당으로 이동하고[45] 적당히 돌다가 그레이트 홀에서 드래곤의 분노(Dragon's wrath를 사용한다.
4. 이렇게 하면 히로빈 외 다른 적들이 모두 사살되는데, 이제 묘지(Graveyard)로 이동한 뒤 히로빈을 상대한다.
4. No power switch
전원을 활성화하지 않는 챌린지—즉, 머신을 사용하지 못 하는 챌린지이다.[46]4.1. 일반(솔플)
★ 읽기 전에1. No perk, No ult, No team machine을 각각 클리어 한 후 이 챌린지를 도전하는 것을 추천한다.
2. 팀 머신을 사용하지 못 하기 때문에 탄약을 잘 관리해야 한다.
3. 무기는 라운드 29 까지는 저격총 + 엘더 건이며, 라운드 30에서는 소총 + 엘더 건이다.
4. all close 공략(저택-지하실 문과 지하실-발코니 문을 닫는 공략)을 사용한다.
5. 표지판 벽샷을 이용해 히로빈한테 사격하는 법을 알아둔다.
6. 추가 체력 퍼크가 없어서 몇 번 공격당하면 그대로 사망할 수 있기에 최대한 조심히 전투한다.
★ 공략
• 라운드 1~10
- 일반적인 공략과 동일하다. 여기서 철 갑옷, 저격총, 산탄총을 얻어야 한다.
• 라운드 11~20
- 10대 라운드 중반으로 진행할수록 난이도가 어려워지며, 후반에는 각 라운드 하나하나가 고난이도를 가진다. 라운드 15는 앞마당에, 나머지 라운드는 무덤에 머물되, 위더 스켈레톤을 빠르게 잘 사살해야 한다.
☆ 라운드 20도 마찬가지로 무덤에서 적들을 다 쓰러뜨린 후, 모든 탄약을 충전 하고 위더를 잡으러 간다. 이후 위더가 잡혔다면 그 즉시 무덤으로 달려간다. 이 때 산탄총과 저격총 탄약을 충전한다.
• 라운드 21~24
- 행운의 상자를 돌려 엘더 건을 얻어야 하며, 라운드 24 전까지 묘지(Graveyard)를 열어야 라운드 24를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다. 발코니 구석에서는 화력 저하로 인해 적들을 감당할 수 있다.
• 라운드 25~26
- 라운드 25는 첫 번째 고비로, 앞마당에서 늑대를 우선으로 사살한다. 한편 라운드 26은 히로빈의 소환수만 스폰하니 묘지(Graveyard)에서 엘더 건으로 몰살하면 된다.
• 라운드 27~29
- 라운드 28은 히로빈의 소환수가 스폰하지 않으니 무덤 옆 구석에머물고, 나머지 라운드는 묘지(Graveyard)에 머문다.
☆ 라운드 29에서 s1을 하고 스나이퍼를 소총으로 교체한 후, 탄약을 모두 충전한다.
• 라운드 30
- 두 번재 고비. 히로빈은 디스폰되지 않으므로 벽샷으로 히로빈 사살에 성공해야 한다. all close 공략 특성상 히로빈이 라운드 시작 후 4:30이 지날 때부터 묘지(Graveyard) 문을 넘기 시작하니 그동안 최대한 히로빈을 공격해야 한다. 가장 중요한 점은 절대로 히로빈이 사살되기 전까지는 묘지 앞이나 왼쪽 난간에 있으면 안 된다. 이런 위치에 머물게 되면 히로빈이 CS가 아닌 묘지 입구로 텔레포트해서 히로빈을 상대해야 한다. 참고로 소총의 탄약만으로는 1,728 HP의 피해를 줄 수 있는데 이는 히로빈의 체력보다 낮으므로 엘더 건 또한 히로빈을 공격하는데 사용해야 한다.
1. 0:10~0:22(웨이브 1): 우측 창문에서 나오는 적들을 엘더 건과 소총으로 사살하고, 엘더 건으로 복도에 있는 적들을 사살하며 앞으로 나아간다. 충분히 나아가고 뒤를 보면 나머지 창문에서 나온 적들이 있는데 엘더 건으로 사살하고 정면을 보며 대기한다.
2. 0:22~2:00(웨이브 2~3): 웨이브 1과 같은 전투법을 각 웨이브마다 사용하되, 절대로 앞으로 나가거나, 강화 머신 반대쪽 난간에 있으면 안된다.
3. 2:00~4:30: 표지판 벽샷을 통해 히로빈에게 사격한다.
4. 4:30~: 이 시간부터는 히로빈의 이속이 아주 높아진 탓에 묘지(Graveyard) 문을 넘기 시작할 텐데, 이 때는 상술했듯 무조건 우측 난간을 통해 히로빈을 상대해야 한다. 만일 히로빈이 텔레포트하면 다시 표지판 벽샷을 통해 히로빈에게 사격한다.
5. 스피드런
[1] 도서관 행운의 상자 근처에 있는 넓은 장소를 말한다.[2] 도서관-던전 문 근처. 계단(Lstep)에 머무는 것도 방법이다.[3] 후방 담당자들이 무덤(Tomb)과 너무 가까이 있으면, 지하실 방면에 있는 적들은 기본적으로 프론트에게 주의가 끌려있다.[4] 이를 "위더 러시(Wither Rush)"라고 한다. 스피드런에서 자주 사용되는 단어이다.[5] 적들의 물량이 적기 때문에 박멸기 자체의 효율은 Dead End에 비해 떨어지나, 히로빈 주변에 있는 적들 다수를 빠르게 공격할 수 있어 박멸기를 가지고 가는 것도 나쁘지 않다.[6] 골드가 부족하다면 마녀가 회복 물약을 마신다는 점을 이용해 회복을 하게 만든 후 사살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7] 실력이 좋다면 저격총을 라운드 10에 구입해도 된다. 권총은 GPD가 높은 총기이기 때문이다.[8] 산탄총은 GPD가 높으니, 저격총 대신 산탄총만 사용해도 좋다.[9] 라운드 25에서 저택-지하실 문을 열지 않았을 경우 한정이다.[10] 참고로 창문에서는 적들이 라운드 시작 후 10초, 22초(이 때 히로빈도 같이 스폰된다), 34초가 지날 때 1번씩 스폰된다.[11] 해당 클리어자는 히로빈 사살 전까지 저택-지하실 문을 열지 않고 진행하여 히로빈이 웨이브 3 시작과 동시에 묘지(Graveyard)로 들어오게 했다.[12] 즉시 처치 파워업이 스폰되었다면 묘지(Graveyard)를 열고 즉시 처치를 얻은 후 거트루드를 일격사시킨다.[13] 늑대는 38 HP, 웨어울프는 70 HP다.[14] 적들은 매 웨이브마다—즉, 라운드 시작 기준 10초 후, 22초 후, 34초 후에 1번씩 스폰한다.[15] 해당 유저는 kmb2770이란 한국인 플레이어다.[16] 공략을 보면 3번 공략에서 2번이나 1번 공략으로 옮길 수 있지만 그 반대는 불가능하므로 이 문서에서는 라운드 29까지는 all close 공략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 외에도 all close 공략이 전체적으로 가장 쉬우며, 라운드 29까지는 all close 공략을 사용해도 클리어 인정에 크게 문제되지는 않는다.[17] 자신이 all close 공략을 따를 것이라면 지하실-발코니 문도 열면 안 된다. 방법은 발코니를 먼저 열고, 지하실-던전 문으로 지하실을 열면 된다.[18] 웨어울프은 이 라운드에선 53 HP이므로 산탄총 1발을 버티니 주의한다.[19] 이 장소는 늑대에게 치명타를 띄우기 좋다는 부가 효과가 존재한다.[20] 파워업은 먼저 스폰된 적에게 주어지므로 웨이브 1 전에 지하실을 열어버리면 먼저 스폰된 동굴 거미가 파워업을 무조건 가지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문 앞에 있는 3마리의 동굴 거미가 아닌 소총 판매대 쪽에서 오는 2마리의 동굴 거미들이 파워업을 가지고 있다.[21] 일반 난이도의 킹 슬라임은 만만하지만 RIP 난이도의 킹 슬라임은 정말 높은 공격력을 가진 보스이므로 근접해서 상대하다가는 순식간에 쓰러질 수 있다.[22] 이 라운드들 중에서 엘더 건, 바람총, 좀비 박멸기 중 하나라도 뽑았다면 라운드 15는 어렵잖게 진행이 가능하다.[23] 도서관 코너(Lib-corner)에서 웨이브 1을 기다리는 이유는, 도서관 코너가 적들이 스폰할 수 있는 창문이 적기도 하고, 킹 슬라임의 후방 기습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24] 킹 슬라임한테 따라잡히면 펀쳐로 밀어야 한다.[25] 다른 라운드에서 스폰하는 크리퍼의 경우 자폭할 위험이 있고 나머지는 시간이 지날수록 이속이 빨라져서 게임 오버될 위험이 상승한다.[26] s1 할 때 조심하자. 히로빈의 소환수가 전부 사살된 상태에서 남은 적들 수가 얼마 남지 않았다면 일단 크리퍼부터 사살 or 자폭시키고 투명화 좀비한테는 되도록 사격하지 않는다.[27] (후술할 All close 제외) No CS, All open 전략 중, 후자가 전자보다 훨씬 어렵다.[28] 정확히는 펀쳐로도 히로빈을 공격할 수 있지만, DPS가 매우 낮아 사실상 무의미하다.[29] 이 때 No CS의 경우 히로빈 1마리가 이미 묘지 안에 있을 것이므로 히로빈으로부터 도망치면 히로빈은 순간이동한다.[30] 여기서 말하는 "나무 그루터기"란, 묘지 내 왼쪽 창문 근처에 있는, 1㎥의 아카시아 원목 블록이 튀어나온 부분을 말한다. 이 블록 위로 올라가 곧바로 왼쪽 난간으로 점프하면 플레이어가 속력을 줄이지 않고도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고, 뒤따라오는 적의 이동 동선에도 혼란을 줄 수 있다.[31] 히로빈이 소환한 적 이외의 모든 적들이 사살된 상황을 뜻한다.[32] 왼쪽 난간을 이용하면 히로빈이 지하실-발코니 문 앞 창문 앞으로 순간이동해버려 단 2~3초만에 다시 묘지에 도착하므로 오른쪽 난간을 이용해야 한다.[33] 만약 펀쳐를 사용하면 펀쳐의 쿨타임도 쿨타임이지만 양쪽 난간에 히로빈이 위치하게 되므로 정말 위험해진다.[34] 특히, 이 때쯤이면 히로빈의 이속이 플레이어보다 높으니 바깥쪽이나 나무 그루터기를 이용했다가는 히로빈한테 따라잡혀 게임 오버될 가능성이 크다.[35] 거트루드는 묘지 난간에서 칼로 밀치며 상대하면 된다. 히로빈 상대와 매우 흡사하다.[36] 칼을 강화할 필요는 없지만, 10대 라운드는 탄약을 절약하기 위해(또는 탄약이 모두 소진될 경우) 칼로 적들을 상대하는데, 이 때 수월한 상대를 위해, 여건이 된다면 칼을 강화하자.[37] 묘지 클리어는 1~2명만 담당해도 된다.[38] 이 때 언급한 4번의 시간 중 짝수 번째로 언급한 시간(11, 23초)의 경우 창문 내부에 있는 소수의 적들만이 Dragon's wrath 효과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이 시간에 Dragon's wrath 사용은 선택적이다.[39] Critical Attack. '낙하하면서 공격'하여 사용 무기의 50% 피해를 더 주는 기술을 말한다.[40] 저택은 최대한 빠르게 연다. 창문의 수가 늘어 골드를 더 많이 축적할 수 있으며, 적이 CS에 stuck되면 창문수리가 편해진다.[41] 좀비 박멸기를 필수로 얻어야 하며, 이외에는 화염방사기나 바람총을 얻으면 된다.[42] 따라서 라운드 11에 던전을 열어야 한다. 또한 라운드 20의 경우 무덤과 그레이트 홀 중 택1한다. 안정성은 후자가 높다.[43] 불가능할 경우 그 앞에 있는 창문 쪽에서 시작한다.[44] 히로빈의 소환수 스폰 위치와 거리가 있는 곳을 말한다.[45] 골드가 충분하고 여유가 되면 중간에 드래곤의 분노(Dragon's wrath를 발동한다.[46] No perk + No ult + No team machine이라 보면 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