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9 13:03:25

Alien Arcadium/챌린지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Alien Arcadium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하이픽셀/Zombies/맵/챌린지
,
,
,
,
,

[[하이픽셀|
파일:Hypixel_logo.png
]] Zombies
[[하이픽셀/Zombies/무기|
파일:좀비즈 칼......png
]]
[[하이픽셀/Zombies/머신|
파일:좀비즈 빠른 발사.png
]]
[[하이픽셀/Zombies/파워업|
파일:SSM 패시브_스켈(좀비).png
]]
[[하이픽셀/Zombies/TMI|
파일:좀비즈 TMI.png
]]
무기 머신 파워업 TMI
{{{#!wiki style="margin: -16px -11px" [[하이픽셀/Zombies/팁|
파일:좀비즈 가이드 북.png
]]
[[하이픽셀/Zombies/문제점 및 버그|
파일:좀비즈 문제점.png
]]
(인플레이, 외부 프로그램) 문제점 및 버그 }}}
[[Dead End(하이픽셀/Zombies)|
파일:DE 아이콘.png
]]
[[Bad Blood(하이픽셀/Zombies)|
파일:BB 아이콘.png
]]
[[Alien Arcadium|
파일:AA 아이콘..png
]]
[[Prison(하이픽셀/Zombies)|
파일:Prison 아이콘.png
]]
Dead End Bad Blood Alien Arcadium Prison
챌린지(Dead End, Bad Blood, Alien Arcadium, Prison)
스피드런(Dead End, Bad Blood, Alien Arcadium, Prison)
{{{#!folding [ 데이터베이스(펼치기/접기) ]
{{{#!folding [ 아카이브(펼치기/접기) ]

1. 개요2. 플레이어 관련
2.1. 트리오2.2. 듀오2.3. 솔플
3. 시스템 관련
3.1. No-Ferris
4. 무기 관련
4.1. No Skill
4.1.1. 트리오
4.2. No Chest Guns(NCG)
4.2.1. NCG + No shotgun4.2.2. NCG + No rifle4.2.3. 듀오
5. 스피드런



1. 개요

하이픽셀아케이드 게임 중 하나인 Zombies의 맵 중 Alien Arcadium챌린지에 대한 공략을 서술한 문서. 단, 스피드런 관련 내용은 이 문서를 참고한다.

2. 플레이어 관련

인원 수 제한 챌린지로, 3인플레이(트리오), 2인플레이(듀오), 1인플레이(솔플)로 나눈다. 한편 일반적으로 진행하는 4인플레이는 "쿼드"라고 한다.

2.1. 트리오

한국인 클리어 영상
★ 개요
- 이 맵은 4인플레이 클리어마저 타 맵에 비해 압도적으로 정말 어려운만큼, 플레이어 1명이 없는 상태로만 진행하는 이 챌린지부터 고난이도를 보여준다.[1]


★ 읽기 전에
1. Alien Arcadium을 4인플레이(쿼드)로 여러 번 클리어하여, 4인 플레이에 완전히 익숙해졌을 때 도전하는 것을 추천한다.
2. 라운드 80 이후 라운드는 언제 게임 오버되어도 이상하지 않을 난이도가 되어 버리니 항상 주의한다.[2]
3. 치명타를 잘 내야 한다. 물론 치명타라는 것은 어느 맵에서든, 어느 난이도든간에 공통적으로 중요한 사항이긴 하지만, 여기서는 전 라운드 총합 7,500마리가 넘는 적들의 물량과, 체력이 210은 기본에 나중 가면 420까지 올라가는 다이아몬드 갑옷 풀 세트 자이언트의 존재 등 방어력이 높은 적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반드시 치명타를 잘 내야만이 조금이라도 수월하게 넘길 수 있다.
4. 플레이어 1명이 없어 화력이 크게 줄어들기 때문에, 프론트(Front)가 필수적이다. 이외에도 엄청난 실력, 그리고 전략까지 요구한다.
5. 입문자들을 위한 공략이 있다. 이 링크에 들어가면 공략을 참조할 수 있다.

6. "Chat Revive" 전략을 익혀본다.
1) 트리오에선 팀원 2명 중 1명이 Fail-rev[3]를 할 가능성이 생기므로, 채팅창에 "(플레이어1) revived (플레이어2)!"라는 채팅이 출력될 때까지 검 가드를 하는 전략이다.
2) 쿼드에선 이 전략 수행이 힘들 수 있지만 트리오에선 가장 중요한 전략이기도 하다. 팀원이 누군가를 부활시켰다는 메시지를 보았으면 바로 Lshift랑 검 가드를 풀어야 수월한 진행이 가능하다.


★ 공략
• 라운드 1~14
- 우선적으로, 권총과 산탄총의 강화가 먼저이다. 그 이후, 철 갑옷까지 구매한다.[4]

☆ 지름신 강림이 라운드 5에 스폰되었다면 재시작을 추천한다. 라운드 36, 42, 45 등의 초반 라운드부터 좀비 박멸기를 주 무기로 사용하는 경우가 적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라운드 29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좋은 '3rd'의 구비는 필연적이므로, 해당 경우에는 재시작을 추천한다.


• 라운드 15
- 자이언트한테 치명타를 내는 방법이 매판마다 조금씩 다르기에, 이 때부터 늦어도 라운드 30 전까지는 자이언트를 상대로 치명타를 많이 맞추는 방법을 확실히 숙지해야 한다.


• 라운드 16~17
- 기본적으로 쿼드 공략과 동일하지만, 원거리 공격형 적들을 먼저 사살하면 진행이 조금 더 수월하다.

☆ 라운드 17에 s1을 하고 관람차를 열어 퍼크를 구매한다. 퍼크는 빠른 부활 + 빠른 발사 + 추가 체력 3티어[5]로 맞춘다.


• 라운드 18~19
- 라운드 18은 쿼드와 같이 블롭을 30~40초 정도 키워야 하나, 키우는 방법이 다르다. 우선 1명이 나가서 댄싱을 하고 오거나, 대략적인 프론트(Front, 앞에서 적들의 주의를 끌어주는 플레이어)를 통해 우주대원들의 주의를 모두 끌어야 한다. 빠른 부활 퍼크가 있더라도 위험할 수 있으니 주의한다. 반면 라운드 19는 특이사항이 없다.

☆ 앞으로도 대부분의 블롭 라운드들이 이와 같은 프론트를 요구하게 된다.


• 라운드 20~21
- 라운드 20은 라운드 36의 축소판이므로, 약간의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자이언트는 무조건 치명타를 통해 빠르게 사살해야 진행이 수월해진다는 점 염두에 둔다. 한편 라운드 21은 즉시 처치를 반드시 얻어야 한다는 점만 기억하면 된다.


• 라운드 22
- 자이언트가 철 갑옷 세트를 착용한 채 스폰하며, 동시에 체력이 높은1마리당 34 HP 일반 좀비들이 다량으로 스폰하기에 생각보다 화력을 잘 내야 한다. 자이언트를 최대한 빨리 사살해야 한다.


• 라운드 23~24
- 라운드 23은 라운드 18처럼 프론트나 댄싱(1명)을 통해 블롭을 키우나, 우주대원보다 쓰러뜨리기 난해한 지렁이 좀비가 같이 스폰하므로, 이 라운드가 즉시 처치가 스폰하는 라운드라면 즉시 처치를 회피하기 약간 힘들다. 한편 라운드 24는 자이언트만 빠르게 사살하면 된다.


• 라운드 25
- 팀원들의 Eco 차이가 거의 없으면 상관없으나, Eco 차이가 많이 난다면 골드의 분배가 필요할 수 있다.


• 라운드 26
- 무조건 Ent(Gate)에 머문다. 행여 지름신 강림이 라운드 X6에 스폰된다고 하더라도 Ent가 필수이다. Ent는 cc보다 블롭에 의한 피해를 더 적게 받고, 권총의 탄약보다 산탄총의 탄약이 더 빠르게 감소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함이기도 하다.

프론트가 필요하다. 블롭의 외형은 슬라임 계열 적인데, 슬라임 계열 적들은 공격력 자체는 낮지만 공격 속도를 빠르게 한 적이다. 그런데, 이 게임에서는 블롭의 공격력이 높은 편이다.[6] 따라서 플레이어가 쓰러지는 시간대를 약간 지연시켜야 한다. 다시 말해, 라운드 26의 프론트는 쓰러지는 시간을 2.5초 정도 지연시켜주는 역할이다.


• 라운드 27~28
- 진행 방식은 일반적인 공략과 같지만, 파워업 등의 이유로 1명이 창문에 가 있다면, 한 장소에 머무르는 것은 추천하지 않는다. 특히 라운드 28은 무지개 좀비가 많이 스폰해서, 초반에 2명이서만 이들을 상대하면 적들이 좀 쌓이게 되기에 진행이 약간 힘들 수 있다.


• 라운드 29
- 쿼드와 달리 블롭을 키울 수 없다. 이유는 광대의 광역 폭발 공격 때문인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광대를 우선적으로 목표삼아, pc와 mid 사이를 계속 움직여주거나 alt에 모두 머물러 사격을 실시한다. 공통적으로 박멸기는 사용하지 않는다.

☆ 거듭 강조하지만, 이 라운드에서 블롭을 키우려고 시도하면 순식간에 부활 사이클을 만들 정도로 위험해진다!


• 라운드 30
- 자이언트가 다이아몬드 갑옷을 착용한 채 스폰하고, 체력도 40이나 더 증가하므로, 이제부터는 정말 자이언트에게 전탄 치명타를 띄워야 한다. 라인이 밀려 수많은 적들한테 포위당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는 자이언트를 빨리 사살하는 것만이 살 길이다.


• 라운드 31~32
- 라운드 31은 프론트(1명)가 필요하며, 블롭은 일반적인 공략과 비슷하게 키워도 상관없다. 그러나, 이 라운드는 블롭의 수보다 블롭 외의 적들 수가 더 많으므로, 프론트 담당자가 사실상 가장 많은 골드를 가져가게 된다. 한편 라운드 32는 특이사항이 없다.


• 라운드 33~34
- 두 라운드 모두 프론트(1명)가 필요하다. 블롭은 쿼드와 비슷하게 키우나, 라운드 31과는 약간 다르다.

1. 전반적으로 라운드 31과 대비해, 실질적인 공격력이 거의 없던 눈알 파수꾼이 다른 적으로 대체되는 등 블롭 키우기에 방해되는 요소가 많아진다. 따라서 프론트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고, 최대한 오랜 시간 동안 관람차에서 버티다가 pc로 들어와야 한다.
2. 프론트는 pc로 들어오자마자 쓰러지게 되는데, 바로 살린 후 약 5~13초[7] 뒤에 일제사격을 개시한다.


• 라운드 35
- 이 시기까지 모든 팀원이 다이아몬드 레깅스를 구매해야 한다. 다이아몬드 레깅스를 구매한 이후에는 추가 체력 4티어를 구매해야 한다. 트리오의 경우 쿼드에 비해 생존이 훨씬 어렵기 때문에 추가 체력 4티어의 구매는 필연적이다.

☆ 정확히 이야기하자면, 다이아몬드 바지는 라운드 31~34에서 구매하는 것이 베스트이다. 그러나, eco에 편차에 따라 특정 플레이어에게 골드가 부족할 수 있으므로, 1명 정도는 못 맞춰도 상관없다. 단, 이 경우에는 나머지 2명이 다이아몬드 레깅스 + 추가 체력 4티어 + 5,000 골드 정도가 있어야 한다.


• 라운드 36
- 자이언트 3마리, 그리고 광대를 포함한 72마리의 적들이 함께 몰려오므로, 이제부터는 세미 프론트(Semi-front)가 무조건 필요하다.

1. 세미 프론트는 회복 기술을 가지고 있는 플레이어가 수행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회복 기술이 모두 없을 경우에는 더블 배럴 산탄총(DBSG)을 보유한 플레이어가 맡으면 된다.
2. 라운드 50 전까지는 회복 기술/번개 막대 기술을 각 1/2개 또는 2/1개 들고 있는 것이 좋다. 그러나, 라운드 50 이후에는 번개 막대 기술을 3명 모두 소유하는 것이 필수이다.
3. 3번째 무기를 사실상 무조건 사용해야 한다. 사용하지 않고도 클리어 자체는 가능하나, 부활 사이클을 만들어야 할 수 있고, 운이 안 좋다면 광대의 광역 폭발 공격으로 인해 게임 오버될 수 있다. 따라서 좀비 박멸기, 무지개 소총, 더블 배럴 산탄총 등이 있으면 주 무기로 사용토록 한다.
4. 거듭 강조하지만, 자이언트한테 전탄 치명타를 잘 띄워야 한다!


• 라운드 37~38
- 지금부터는 무조건 중앙에 오래 있지 않는다. 또한, 이제부터 자이언트한테는 3번째 무기로 공격하는 것을 허용한다. 특히 팀이 너무 위험해지면 3번째 무기(총기)를 난사해도 된다.


• 라운드 39
- 일반적인 공략처럼, cc에서 블롭을 키운다. 다만 3명이 동시에 자이언트한테 공격당하는 것을 막기 위해, 1명 정도는 앞에 나가 자이언트의 주의를 끌어준다.

☆ 해당 전략은 라운드 43, 47에도 사용된다.


• 라운드 40
- 다음 2가지를 잘 따른다.

1. 자이언트 수가 이제부터 4마리로 증가한다. 또한 이 라운드에는 오래된 자가 스폰하므로, 웨이브 3에 스폰된 적들을 박멸기로 최대한 빨리 사살한다.
2. 오래된 자와 맞닥뜨릴 경우 번개 막대 기술부터 사용하고, 대략적인 부활 사이클을 형성한다. 특히 2명이 쓰러졌다면, 무조건 칼 가드를 하여 팀원을 살리는 것에 집중하여야 한다.


• 라운드 41
- 치명타를 잘 내도록 하며, 3번째 무기는 가급적 자이언트한테만 사용한다.


• 라운드 42
- 무조건 3번째 무기를 사용한다. 전체 적 물량도 물량이지만 자이언트가 6마리2-2-2나 등장하는데다가, 1마리당 체력도 전 라운드보다 140이나 증가하였기에260 HP → 400 HP 박멸기 사용은 필수적이다. 박멸기 소유자는 자이언트 외의 적들한테 사격하고, 프론트 담당자는 자이언트한테 사격한다. 자이언트 : 그 외의 적들 사격 비율은 [math(2:1)]이 이상적이다.

☆ 이 라운드에서 자이언트를 제외한 모든 적들은 1마리당 체력이 40을 넘지 않는다. 때문에 번개 막대 기술이 한 명이라도 있다면, 자이언트를 제외한 적들은 마지막에 한꺼번에 몰살할 수 있다.


• 라운드 43
- 블롭 라운드지만, 자이언트가 6마리나 스폰하고, 블롭도 아주 많이 스폰하여 진행이 어렵다. 특히 세미 프론트(Semi-front)는 적어도 자이언트 3마리[8]주의를 끌어야 한다.

무조건 자이언트부터 사살해야 한다. 또한 웨이브 1에 스폰하는 작은 블롭 역시 키우지 않고 사살해도 상관없다.


• 라운드 44
- 자이언트한테만 집중사격한다. 또한 번개 막대 기술 또는 박멸기 소유자가 1명뿐이라면 다음 라운드 진행이 약간 불안정하므로, 박멸기/번개 막대 기술의 개수가 부족하다면 s1을 한 뒤, 행운의 상자를 돌려 이 무기들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 라운드 45
- Ult에 머물며, 다음 2가지를 잘 따른다.

1. 세미 프론트를 통해 웨이브 1에 소환된 광대들을 모두 사살하고, 웨이브 2에 스폰된 모든 자이언트들의 주의를 끈 후 ult로 복귀한다.
2. 오래된 자가 ult에 들어오자마자 번개 막대 기술을 사용하고, 부활 사이클을 필요에 따라 만든다. Ledge는 불가능하다!


• 라운드 46
- 일반적인 공략과 동일하다. 필요 시 bc에 머물며 오래된 자를 먼저 사살하고, 그 이후에 골렘 무리를 모두 사살한다.


• 라운드 47
- 라운드 43보다 자이언트의 숫자도 적고, 블롭의 수도 적다. 심지어 자이언트가 한 웨이브에 모두 스폰하므로, 부활 사이클을 유지하기가 더 쉽다.

이 라운드가 끝날 때까지 전원이 다이아몬드 흉갑을 착용해야 한다. 그래야 라운드 48~49에 축적한 골드로 라운드 50을 대비할 수 있다.


• 라운드 48
- 크리퍼가 상당히 위협적이지만, 박멸기가 1명이라도 있다면 순식간에 전멸해버린다. 사실상 쉬는 라운드이기에, 축적한 골드로 최대한 장비를 맞추면 된다.

☆ 무기의 중요도를 나열하자면 좀비 박멸기, 번개 막대 기술 > 무지개 소총, 더블 배럴 산탄총 > 금광꾼 순서이다. 다만, 골드가 충분하다면 무기 세팅을 모두 해나가도 된다.


• 라운드 49
- 일반적인 공략과 동일하다. 다만, 벽샷 능력이 떨어진다면 진행이 상당히 힘들며, 좀비 박멸기를 3명 모두 소지해야 수월하게 넘길 수 있다. s1을 하고, 라운드 50를 대비해 만반의 준비를 마친다.


라운드 50
- 첫 번째 고비. 아주 높은 공격력과 체력(80)을 가진 일반 좀비들이 엄청난 물량으로 스폰한다.

1. 우선 프론트를 통해 웨이브 1에 나온 적들을 거의 대부분 사살해야 한다.
2. 프론트가 ult에 들어올 때, 웨이브 2가 시작되며 2마리의 자이언트가 스폰되는데 이들의 주의를 모두 끌어야 한다. 적들이 ult에 들어올 때 번개 막대 기술을 사용한다.
3. 이후 본인의 체력이 많이 남았다면 다시 나가서 대략적인 프론트를 수행하지만, 체력이 부족하다면 다른 플레이어가 대신 수행해도 된다. 어쨌든 적들이 다시 ult에 오면 번개 막대 기술을 사용한다.

☆ 3명 모두 정말 실력이 좋다면, 단 한 번의 쓰러짐 없이 통과할 수 있다.


• 라운드 51~52
- 3rd를 사용하면서 골드를 축적하고, 행운의 상자를 돌려 무기 세팅을 모두 한다. 만약 골드에 여유가 있다면 이 때 추가 체력 5티어까지 구매한다.


• 라운드 53
- alt에 머무는데, 박멸기가 없다면 매우 힘들다. 우선 프론트 담당자가 alt-wallshot을 하며 최대한 적들을 공격하고, 자이언트가 스폰되면 alt로 돌아온다. 이후 웨이브 3이 되면 다시 alt-wallshot으로 돌아가서 적들의 주의를 끌다가 유사 시 다시 alt로 돌아온다.


• 라운드 54
- 오래된 자 때문에 ult에 머무는데, 우선 프론트는 ult 최심부에서 대기하다가, 다른 플레이어들한테 골렘의 주의가 다 끌리면 앞으로 나가 프론트 역할을 수행한다.

☆ s1을 한 뒤, FB를 담당할 유저는 이제부터 계속 냉동탄을 사용한다.[9]


• 라운드 55
- 전반적인 플레이 양상은 라운드 54와 비슷하지만 프론트의 실력에 따라 최대 웨이브 4[10]까지 버틸 수 있다. 프론트가 ult로 들어와서 바로 쓰러진 이후 부활 사이클을 유지한다.

이제부터 번개 순서(Lrod order)가 필요하다. 번개 순서가 필요한 이유는, 2명 이상이 동시에 번개를 내리쳐 감전 버그가 걸린 적이 생기는 것을 막아야 하기 때문이다.[11] 번개는 최소 3~4초의 지연시간을 두고 내리쳐야 한다.


• 라운드 56~57
- 쉬어가는 라운드지만, 최대한 추가 체력 티어를 올리는 것에 집중하도록 한다.


• 라운드 58
- 라운드 54처럼 ult에 머물며, 골렘의 주의가 프론트한테 끌려버리는 현상을 피해야 한다. 그런데 라운드 54에 비해 오래된 자와 자이언트의 물량이 증가하여, 부활 사이클을 만들어야 할 수 있다.


• 라운드 59
- SG-ledge를 하면 된다. 다른 Ledge들 중 SG-ledge가 지형 특성상 제일 안전하다.


• 라운드 60
- 쿼드처럼 Ult strat을 사용하면 된다. 그런데, 미니 우주 블래스터들의 공격을 집중적으로 받으면 ult에서 쉽게 튕겨져 나가므로, 부활 사이클 유지 중에는 점프하지 않도록 각별히 유의한다.


• 라운드 X1
- 라운드 55 당시 번개 순서를 정하지 않았다면 라운드 61부터라도 번개 순서를 정해야 한다. 늑대의 공격력이 높기 때문에 먼저 이들에게 집중사격해야 한다. 특히 라운드 91에서는 늑대의 체력(250)과 더 높아진 공격력 때문에 부활 사이클을 유지해야 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따라서 라운드 91은 ult에 머무는 것이 권장된다.


• 라운드 X2
- alt에 머물 때는 1명이 alt-wallshot, 나머지 2명은 뒤에서 벽샷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고, cc에 머물 때는 '1-1-2 전략'에서 cc에 1명만 위치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면 된다.


• 라운드 X3
- cc 혹은 bc에 머물며 크리퍼만 조심한다. 굳이 cc나 bc를 사용하는 이유는 ult의 경우 시야각이 좁아 크리퍼가 쉽게 몰릴 수 있고 그렇게 되면 크리퍼들의 자폭으로 인해 순식간에 게임 오버될 수 있다. 따라서 시야각이 넓어 광역으로 화력을 내기 편한 cc, bc가 선호된다.


라운드 X4
- 두 번째 고비. 블레이즈의 화염구가 체력 유지를 방해하기에 alt에 머무는 것을 추천한다. 하지만 지렁이 좀비가 의외로 공격력이 높아 부활 사이클을 만드는 경우가 존재한다. 특히 라운드 94는, 지렁이 좀비의 체력[12]과 공격력이 너무 높아 사실상 무조건 부활 사이클을 유지하며 진행해야 한다.

☆ 점핑을 하면 alt 코너에서 튕겨나갈 수 있기 때문에 점핑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 또한, 앞을 보고 S키를 누르며 검 가드해야 alt 코너에 계속 버틸 수 있다.


라운드 X5
- 세 번째 고비. 프론트(Front)가 반드시 필요하다. 라운드 65, 75는 그나마 '전체 DPS'가 좋다면 부활 사이클 없이 넘길 수 있긴 하지만, 라운드 85, 95는 무조건 부활 사이클을 유지해야 할 만큼 '전체 DPS'가 부족하기 때문에 난이도가 매우 높다. 번개 순서를 잘 지켜서 감전 버그 발생을 최소화하고, 부활 사이클도 잘 유지해준다.


• 라운드 X6
- 가장 쉬운 반복 라운드이긴 하나, 완전히 무시할 수는 없다. 라운드 X3에 비해 크리퍼의 물량이 적어, cc, bc, ult 중 택1하여 머물면 된다.


라운드 X7
- 네 번째 고비. 전반적인 공략은 라운드 X5와 같으나, 녹은 좀비와 불의 제왕 외에도 블롭이 추가되고, 자이언트 대신 오래된 자가 스폰하니 무조건 부활 사이클을 만들어야 한다.


• 라운드 X8
- 전반적으로 라운드 X4보다는 쉽다. 특히 'Alt' 역할이 빠진 Ledge 전략을 사용하면 부활 사이클까지 대략적으로 만들 수 있다.


• 라운드 X9
- 부활 사이클을 만드는 경우가 있는 라운드니 조심한다. 특히 라운드 89, 99는 가디언 좀비로 인해 엄청난 피해가 들어와 사실상 부활 사이클 없이는 살아남을 수 없다. 벽샷을 위해 ult 대신 alt에 머물러도 상관은 없으나, 어디에 머물든 코너 밖으로 상당히 자주 튕겨나갈 수 있는 라운드이기에 점프는 하지 않는 것이 좋다.


라운드 X0
- 다섯 번째 고비. 역할 부여는 쿼드와 비슷하지만 나머지(Other, 댄서 공략을 사용할 경우) 또는 보조(Assist, No-alt Ledge 공략을 사용할 경우) 역할이 빠질 뿐이다.

1. 당연히 부활 사이클 유지 방법은 다르다. 검 가드는 살아나자마자 바로 해야 하고, 팀원이 다른 팀원에 의해 살려지거나 자신이 1명을 살렸을 때 풀어야 한다. 오래된 자가 모두 죽을 때까지는 검 가드를 사용하여 부활 사이클을 유지해야 한다.
2. 번개 막대 기술은 당연히 검 가드를 푼 후에 사용한다.
3. (댄서 공략을 사용할 경우) FB 담당자가 사실상 나머지(Other)까지 겸해야 한다. 즉, 댄싱을 방해하는 모든 적들을 사살해야 하므로 FB 담당자는 높은 실력이 필요하다.
4. (No-alt Ledge 공략을 사용할 경우) 'DPS' 역할이 최대한의 DPS를 내어주어야 한다.
5. '골렘' 역할은 골렘이 죽을 정도로 밀어야 한다.

☆ 트리오에서는 'Fail-Rev'를 하게 되면 커버가 정말 힘드니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라운드 101
- 세계 엔더가 스폰하는데, 트리오기 때문에 치명타에 더더욱 신경써야 한다. 세계 엔더의 머리보다 조금 더 위를 조준해야 치명타를 띄울 수 있다는 점을 참고해둔다.


• 라운드 102~105
- 이벤트 라운드임은 변함이 없다. 팀원들끼리 모여 스크린샷(기본 단축키 F2)을 찍는 등 승리를 만끽하면 된다.

2.2. 듀오

세계 최초 Legit 클리어 영상
세계에서 가장 빠른 Legit 기록
★ 개요
- Alien Arcadium 챌린지 중 단연 지옥의 난이도라고 할 수 있는 챌린지, 이 게임의 한계에 도전하는 챌린지가 바로 이 챌린지라고 본다.


★ 읽기 전에
1. 플레이어 1명이 아닌 2명이 없으므로 굉장한 난이도를 보여준다. 트리오보다 훨씬 더 높은 실력, 더욱 더 세밀한 전략을 요구한다.[13]
2. Alien Arcadium을 트리오로 안정적으로 클리어한 이후 도전하는 것을 추천한다.
3. CPS를 13 이상으로 높이고 도전하는 것을 권장하나, RR-GD set을 사용할 수 있는 8~11(cps) 정도여도 충분히 도전 가능하다.
4. 라운드 36부터는 언제 게임 오버되어도 이상하지 않다.

5. 추가 체력은 무조건 5티어까지 맞추고 다이아몬드 갑옷 풀 세트를 맞춰야 한다.
6. 라운드 26 이후, 모든 라운드에서 프론트(Front)를 해야 한다.
7. 2명 모두 RR-GD set을 사용하며, 프론트가 라운드 53부터 냉동탄 + 빠른 발사 + 추가 체력 세팅을, 다른 1명은 빠른 부활 + 빠른 발사 + 추가 체력 세팅을 사용한다.
8. 이 링크에 pastebin 형식으로 적혀있다. 참조하기를 바란다.


★ 공략
• 라운드 1~4
- 한 장소에서만 머무는 것이 아닌 트레인(Train)을 하며 진행해야 하는데, 원거리로 공격하는 적들을 먼저 표적으로 삼는다. 장비 구매 및 장소 개방 순서가 트리오와 약간 다른데, 산탄총 구매 -> 롤러 코스터 개방 -> 철 갑옷 구매 -> 관람차 개방 및 무기 강화 -> 범퍼카 개방 순서대로 한다.


• 라운드 5~9
- 라운드 5~7은 지름신 강림이 스폰하는 라운드이므로 롤러코스터를 연다. 라운드 10 도달 전까지 철 갑옷을 구매하는 것이 권장된다.

☆ 지름신 강림 도움말
1) 지름신 강림을 통해 좀비 박멸기, 회복 기술을 뽑는 것을 목표로 한다. 라운드 52 전까지는 회복 기술이 번개 막대 기술보다 더 좋은데, 자이언트의 주의가 바뀌어 위험해지는 경우에 생존을 유리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2) 지름신 강림이 라운드 5에 스폰되었다면, 재시작을 추천한다.


• 라운드 10~17
- 공통적으로, 방심하다가 적들에게 습격당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이외 특이사항은 다음과 같다.

1. 라운드 10은 CC로 모인 뒤 블롭을 50초동안 키우고 잡아야 한다.
2. 라운드 13에 관람차를 연다.
3. 라운드 15~16은 1번 항과 마찬가지로 블롭을 키워주되, 라운드 15에는 자이언트가 함께 스폰하니 주의한다.
4. 라운드 17 또는 라운드 18 시작하자마자 범퍼카를 열어준다.


• 라운드 18
- CC 또는 PC에서 블롭을 50초간 키우는데, 블롭을 키우기 위해서는 프론트(Front)가 부분적으로 필요하다. 프론트의 방식은 상관없으나, 프론트를 수행할 때는 자신의 생존이 최우선이라는 점을 알아둔다.


• 라운드 19~21
- 라운드 20에서 더블 골드가 나오면 바로 얻고, 라운드 21은 즉시 처치가 나온다면 댄싱 이후 보초병들을 한꺼번에 사살하면 된다. 그 외 특이사항은 없다.


• 라운드 22~24
- 라운드 22는 Eco 라운드가 아니니 적들을 최대한 빨리 쓰러뜨려야 한다. 반대로 라운드 23의 경우 CC 또는 PC에서 50초간 블롭을 키우는데, 자신과 근접한 지렁이 좀비들한테 집중적으로 사격하자.


• 라운드 25
- 이 라운드에서 골드를 추출하듯이 얻어야 한다. 이 때 골드를 많이 얻어두지 않는다면 나중에 진행하기 매우 힘들다.


• 라운드 26
- cc에 머문다. 단, 이 때 피해를 많이 받을 수 있으니 프론트가 블롭이 다가오는 것을 늦춰줘야 한다(권총으로 적당히 밀어도 괜찮다). 블롭은 50초간 키우며, 이 라운드에서 최대한 많이 골드를 얻어두자.


• 라운드 27~28
- 난이도 자체는 무난한 편이나, 플레이어 2명이 서로 가까이 붙어 사격하는 건 잊지 않는다. Mid를 중심으로 트레인하면서 진행하면 편하다.


• 라운드 29
- 블롭들을 50초 이상 키워야 한다. 1명이 프론트를 해야한다.

Q. 블롭 키우면서 산탄총을 써도 되는가?
A. 광대와 우주대원의 공격력이 상당하기에, 산탄총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리고 거리상 블롭한테는 공격이 잘 들어가지 않는다.

☆ 프론트(댄서) 역할을 맡은 한 명이 적들의 주의를 끌다 기절하면, 나머지 1명은 절대 프론트를 바로 살려선 안 된다. 바로 살리면 2명의 체력이 동일시되거나 한 명의 예상 체력이 어긋나버려 진행이 난해해진다. 즉, 자신의 체력이 한 줄(20 HP 이하)일 때 살려야 한다.


• 라운드 30
- 탄약을 채우는 라운드이며, 방어력이 크게 증가한 자이언트에게 치명타를 잘 띄워준다.


• 라운드 31~35
- 각 라운드들의 특징별로 다음을 따른다.

1. Grow 라운드라운드 31, 33~34 : pc에서 블롭들을 50초간 키운다. 나머지 1명은 자신의 체력이 20 HP 이하로 내려갈 때 프론트를 살려야 한다는 걸 잊어선 안 된다.
2. Non-grow 라운드라운드 32 : Mid에서 트레인한다.
3. 보스 라운드라운드 35 : 골드를 최대한 많이 얻어두자.


라운드 36(3rd)
- 이 라운드부터는 블롭 라운드, 또는 전체적으로 쉬운 라운드들을 뺀 나머지 라운드는 세 번째 무기(3rd)가 필요하다.

1. 1명이 프론트를 하고 1명은 뒤에 있는다. 자이언트가 스폰되면 프론트는 점차 후퇴한다.
2. 각 웨이브마다 1번 항과 같이 적들의 주의를 잘 제어하면서, "Front - Back"의 관계를 적절히 유지한다.


• 라운드 37~38
- 자이언트를 쓰러뜨린 후 라인이 밀렸다면 부활 사이클을 사용하고, 모든 적들이 쓰러지기 전까지 절대로 팀원과 떨어지지 말자.


• 라운드 39
- 블롭들을 22초간 키운다. 자이언트가 매우 위험하므로 주의하자. 자이언트의 주의가 갑자기 바뀐다면 팀원에게 알린다.


• 라운드 40~41
- 라운드 37~38처럼, 모든 적들이 쓰러지기 전까지는 절대 팀원과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Q. 오래된 자는 Ledge를 사용해 상대하는 것이 나은가?
A. Ledge를 사용하면 가스트의 화염구(넉백)에 취약하다. 따라서, 그냥 코너링을 하는 것이 더 안전하다.


라운드 42(3rd)
- 자이언트 외 다른 적들을 우선으로 사살하는데, 부활 사이클이 약간 필요할 수 있다. 부활 사이클을 피하고 싶다면 3rd을 강화하면 되는데, 이러면 eco가 안 좋아진다. 때문에 강화 여부는 팀원과 논의하여 선택하고, 강화된 3rd 무기를 너무 남용하지 않으면 된다.


• 라운드 43~44
- 라운드 43의 경우 블롭 스폰 즉시 사격하며, 자이언트에게는 3rd를 적당히 사용한다. 이 쯤되면 1명 정도는 다이아몬드 흉갑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라운드 44는 자이언트만 노리면 무난하다.


라운드 45(3rd)
- Ult에 머문다. 프론트 1명이 앞에 서 있다가 기절하면 나머지 1명이 자신의 체력이 20 HP일 때 살려야 한다. 이 때 오래된 자가 들어오면 부활 사이클을 만드는 것을 추천한다.


• 라운드 46
- 쿼드(4인전)와 마찬가지로 댄서(Dancer) 1명이 골렘을 끌고 온다.


• 라운드 47
- 블롭을 30초동안 키운다. 그런데 사격하는 과정에서 탄약이 좀 부족하기에, 1명 정도는 3rd를 사용해야한다.[14] 특히, 이 쯤되면 플레이어 모두가 다이아몬드 흉갑과 추가 체력 6티어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 라운드 48
- 쿼드처럼 크리퍼를 주의하며 사격한다. 오래된 자는 라운드 40처럼 상대한다.


• 라운드 49
- alt에 머문다. 1명은 alt-wallshot에 있고, 1명은 alt에 있는다. 회복 기술이 있다면, Alt-wallshot는 alt에 돌아오지 말고 계속 버틴다.


• 라운드 50~51
- 라운드 50은 Ult에 머물고, 프론트 1명이 필요하다. 진행 방식은 캐주얼(Casual)과 비슷하며, 부활 사이클을 적절히 유지하면 된다. 한편, 라운드 51은 Door가 아닌 cc에 머문다.


• 라운드 52
- 블롭을 22초 이상 키운다. 이 때부터 상자(LC)를 돌려도 좋다. 이 라운드가 끝난 후, 추가 체력 7티어를 얻자. s1을 한뒤 무기 세팅을 한다.


• 라운드 53
- alt에 머문다. 라운드 49와 비슷하게 Alt-wallshot을 쓰면 되지만, 자이언트를 신경 쓰자.


• 라운드 54
- Ult에 머문다.[15] 오래된 자를 조심하며, 웨이브별 공략을 잘 따른다.

1. 웨이브 1~2: 웨이브 1은 골렘을, 웨이브 2는 자이언트를 우선으로 사살한다.
2. 웨이브 3: 광대들을 우선으로 사살하는데, 오래된 자와 맞닥뜨리면 번개 막대 기술을 사용하자.


• 라운드 55
- 첫 번째 고비. 웨이브별 공략을 잘 따른다.

1. 웨이브 1~4: DPS를 최대한 높여 적들을 사살한다. 웨이브 3에 프론트는 ult로 복귀하고 이 때부터는 광대를 우선으로 사살한다.
2. 웨이브 5~6: 이 때부터는 부활 사이클이 필요할 것이다. 오래된 자가 ult로 오면 번개 막대 기술을 사용한다.


• 라운드 56~59
- 라운드 58은 ult에, 라운드 59는 SG-ledge에서 점프 없이 머무는 것 외에는 특이사항 없다.


• 라운드 60
- 번개가 2개뿐이라서 쿼드처럼 몰살이 불가하기에, 적들을 한 번에 모아서 들어올 필요는 없다. 따라서 제한없이 계속 사격하다가 오래된 자가 스폰된 후에만 부활 사이클을 유지하면 된다.

☆ 반복 라운드에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Ult에 머문다.


• 라운드 X1
- 듀오에선 기본적으로 '전체 DPS'가 부족하므로 CC에 머물 수 없고, Ult에 머물러야 한다. 역할은 프론트 1명, Ult 1명이 있으며,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프론트 : 프론트 유저가 DBSG-RR Set이라면 FB를 들어야 한다. 관람 차 주변 블롭 스폰 장소에서 블롭을 뭉치게 한 다음 번개를 쓰고, 그대로 몹 라인을 따라가며 후퇴한다. 블롭들한테도 조금씩 사격하여 이들을 밀어주는 것을 추천한다.[주의]

2. Ult : GD-RR 유저가 맡는 것을 추천한다. 계속 사격하다가 프론트가 기절하면 바로 살리지 않고, 자신의 체력이 20 HP일 때 살려야 한다.


• 라운드 X2~X3
- 라운드 X2는 Alt 구석에서 두 명이 전부 벽샷하며 진행하고, 라운드 X3의 경우 다음 라운드를 준비하기 위해 s1한 후 체력을 채우는 것을 추천한다.


• 라운드 X4
- 어려운 라운드. 프론트 1명이 오래된 자가 스폰할 때까지 주의를 끌고, 오래된 자 스폰 시 후퇴한다. Ult에 있는 유저는 뒤에서 지원 사격을 해주고, 프론트가 기절하면 역시 바로 살리지 않고 자신의 체력이 20 HP 때 살린다.

☆ 부활 사이클 말기(40초부터)는 벽에 낀 상태가 아닌 오래된 자가 플레이어를 바깥으로 밀어낼 수 있으니, 적들이 상당히 적은 상태일 때는 점프를 하는 것을 추천한다.


• 라운드 X5
- 두 번째 고비이자, 가장 어려운 라운드. Ult 대신 Opp-pc에 머문다.

Q. Ult 코너를 쓰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A1. 우선, 이 라운드가 어렵다고 평가받는 이유는 당연히 녹은 좀비가 죽으면 스폰되는 마그마 큐브들이 플레이어를 구석 밖으로 밀어 부활 사이클을 만드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A2. 그런데 Opp-pc는 마그마 큐브가 코너 뒤쪽에서 스폰될 가능성이 Ult에 비해 적다.[17]


• 라운드 X6
- 라운드 자체에서는 특이사항이 없으나, 다음 라운드를 위해 s1을 한다.


• 라운드 X7
- 세 번째 고비이자, 두 번째로 어려운 라운드. 이 라운드는 모두가 한마음으로 라운드 X5보다 어렵다고 평가할 수 있을 정도로 어려운데, 이는 블롭이라는 변수로 인한 미흡한 대처이기 때문이다. 다음 과정대로 수행한다.

1. 역할 분담을 한다.
▷ 프론트 : 라운드 X5와 달리 오랫동안 살아남을 필요는 없고 그냥 Ult 옆 창문에 붙어있다가 몹 라인이 좀 밀린다 싶으면 후퇴한 후 쓰러져야 한다. 왜냐하면 어차피 오래된 자가 오면 무조건 부활 사이클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 Ult : 자신의 체력이 24~30 HP일 때 기절한 프론트를 살려야 한다.
2. 라인이 밀리기 전에 오래된 자가 들어오게 된다면 그 때부터 부활 사이클이 시작된다.
▷ 프론트가 들어오기 전에 Ult는 반드시 블롭들을 밀어내야 한다. 밀어내지 않으면 Ult 안에서 블롭이 자라나게 되어 라인이 그대로 밀린다.

3. 라운드 X7 전용 번개를 사용하는 방법
1번째 번개 : 마지막 웨이브 이후, 오래된 자가 오기 전에 내리쳐야 한다.
2번째 번개 : 오래된 자가 올 때 내리쳐야 한다.


• 라운드 X8
- 프론트 1명이 필요하다. 만약 '개인 DPS'가 월등하다면 프론트가 공격을 잘 받지 않고 버티겠지만, 오래된 자가 구석 안으로 들어온다면 부활 사이클을 만들어야 한다. 점프는 하지 않는 게 좋다.


• 라운드 X9
- 프론트 1명이 필요하다. 오래된 자가 안 온다면 빈사 상태인 사람이 앞으로 나가 빔을 맞아, 2명이 동시에 쓰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후 오래된 자가 오는 경우 부활 사이클을 만들어야 한다.


• 라운드 X0
- 네 번째 고비이자 Alien Arcadium 듀오에서 2번째로 어려운 라운드. 라운드 70 때쯤이면 모든 유저가 추가 체력 8티어를 소지해야 한다. 주의사항은 3가지가 있다.

1. 2명이서 No-alt Ledge처럼 진행한다. Ledge(프론트)는 자이언트가 스폰되자마자 바로 들어와야 한다. 프론트가 2번째로 쓰러지기 직전에 번개를 내리쳐야 한다.[18] 살아난 Ult도 살아나자마자 번개를 내리쳐야 한다.
2. 살아나자마자 사격하지 말고 즉시 검 가드를 하는 게 더 나을 것이다. 자신이 막 살아난 시기는 다른 플레이어가 아직 쓰러지지 않았을 시기이기에, 검 가드를 더 잘 유지할 수 있다.
3. 3인 이상 플레이와 달리, 듀오에서는 자이언트만 남아도 게임 오버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혹시나 팀원 체력에 대해 알 수가 없다면 살아나자마자 검 가드를 한다.

☆ 맨 아래를 보면서 점핑을 하면 1.5초 버그가 걸려도 아슬아슬하게 팀원을 살릴 수 있다.


• 라운드 101
- 세계 엔더(World ender)에게 치명타를 잘 날린다.


• 라운드 102~105
- 어느 때나 마찬가지로 이벤트 라운드이므로, 팀원과 함께 스크린샷으로 클리어를 기념한다.

2.3. 솔플[클리어불가]

★ 개요
- 클리어가 불가능한 챌린지이다. 즉, 이 챌린지는 클리어가 목적이 아닌, '개인 DPS' 강화를 위한 테스트에 가깝다.[20]


★ 읽기 전에
1. CPS를 11~12 이상으로 높이고 도전하는 것을 추천한다.
2. 다만 무기 조합은 CPS와 관계 없이 금광꾼 + 무지개 소총 + 좀비 박멸기(RR-GD set)이다. 퍼크 조합은 추가 체력 + 빠른 발사 + 냉동탄이며, 기술은 라운드 50을 제외하고는 회복 기술이다.

3. 펀쳐는 여전히 얻으면 안 된다. 솔플이라 칼이 필요 없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라운드 45, 특히 라운드 50의 경우에는 칼 가드를 통해 체력 감소를 최대한 줄여야 하므로 결국은 칼이 필요하다.[21]

4. 솔플이라 즉시 처치를 얻어도 상관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의외로 정말 위험한 상황이 아니면 절대 얻으면 안 된다. 라운드 35에 고화력 무기, 다이아몬드 갑옷 3쿼터, 추가 체력 5티어를 세팅하고[22], 라운드 40 전까지 다이아몬드 흉갑을 갖추어야 그 이후의 라운드를 좀 쉽게 넘길 수 있기에, 다인 플레이보다도 골드를 더 많이 축적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5. 3번째 무기를 주로 사용하는 라운드는 라운드 X(3rd) 같이 표시한다.
6. 3번째 무기를 반드시 적어도 한 번은 사용해야(= 보조 무기로 사용해야) 하는 라운드는 라운드 X(semi-3rd) 같이 표시한다.
7. 부활 사이클마저 사라진 솔플인만큼 고도의 DPS, 그리고 트레인(Train) 실력을 요구한다.
8. 버티기 장소에 대한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한 장소에서만 머물지 않고 트레인을 하며 진행한다.


★ 공략
• 라운드 1~9
- 산탄총, 철 갑옷을 구매하고 롤러코스터도 개방한다. 또한, 이 라운드들에는 원거리 공격형 적들 역시 스폰하니 이들을 먼저 표적으로 삼자. 특히 눈알 파수꾼 및 우주 블래스터의 공격력은 갑옷이 없을 경우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높으니 반드시 우선적으로 사살하자.[23]


• 라운드 10~14
- 관람차, 범퍼카를 연다. 라운드 10에 스폰되는 블롭은 트레인하며 키운다.


• 라운드 15
- 중앙에서 트레인을 하며 블롭을 키우다가, 자이언트가 스폰될 때 쯤에 cc나 alt 쪽으로 도망치고, 그대로 자이언트를 사살한 후 블롭도 사살한다.


• 라운드 16~19
- 라운드 18에 pc에서 블롭을 20초동안 키운다. 이 시기에 좀비 박멸기, 무지개 소총, 더블 배럴 산탄총, 회복 기술 중 하나를 얻어야 하며, 다이아몬드 헬멧도 착용해야 한다.


라운드 20(3rd)
- 첫 번째 고비. 라운드 15의 강화판이자 라운드 36의 축소판이다. 일단 중앙에서 적들을 사살하다가, alt 앞에서 벽샷으로 원거리 공격형 적들을 산탄총, 좀비 박멸기로 사살한다. 2번째 자이언트까지 사살하면 alt에서 빠져나온다.

☆ 좀비 박멸기, 회복 기술이 없다면 즉시 처치를 얻는 것도 좋은 판단이다.


• 라운드 21~25
- 다음 4가지를 잘 따른다.

1. 라운드 21: 적들을 살려둔 채 마지막 웨이브까지 버틴 후 즉시 처치를 얻으면 eco가 좋아진다.
2. 라운드 22: 중앙에서 전투하다가 cc로 이동한다. 벽샷은 필요없다.
3. 라운드 23: pc에서 블롭을 20초간 키운다.
4. 라운드 24: 자이언트한테 우선적으로 사격한다.


• 라운드 26~28
- 라운드 26은 ent나 cc에 머문다. ent에 머문다면 블롭이 스폰하자마자 바로 사격하고,[24] cc에 머문다면 20초동안 키운다. 한편, 나머지 라운드는 트레인하며 전투해야 하는 것 외에는 특이사항 없다.

☆ 라운드 26 정도에 다이아몬드 바지, 추가 체력 5티어, 40,000 이상의 골드가 있어야 한다.


라운드 29
- 두 번째 고비. alt에서 광대를 우선으로 사살한다. 근처에 있는 블롭 역시 키우지 말고 바로 사살한다.


• 라운드 30
- 4마리의 자이언트를 상대해야 하지만 cc의 특성상 자이언트의 공격을 잘 당하지 않는 장소라서, 다른 적들만 제때 사살하고 자이언트한테 사격해도 상관없다.

☆ 이 라운드에 60,000 골드는 있어야 한다.


라운드 31(semi-3rd)
- pc 또는 Opp-pcPC 반대편 구석에서 머물며, 다음 순서대로 진행한다.[25]

1. 블롭 이외의 적이 가까이 오면 좀비 박멸기로 몰살한다.
2. 어느 정도 클리어되면 다시 권총 및 산탄총만 사용하자.
3. 1~2의 과정을 계속 반복하며 골드를 축적한다.

☆ 추가사항
1) 이후 eco 라운드는 탄약이 많이 소모되는데, 라운드 시작 전에 탄약 충전을 하는 대신 초반에 댄싱을 통해 중앙에서 박멸기와 탄약이 부족한 무기로 적들을 적당히 사살하며 탄약을 충전한 후 pc나 Opp-pc로 이동하면 탄약을 아낄 수 있다.
2) 이 라운드부터 모든 eco 라운드는 DPS가 블롭이 자라는 속도를 못 따라가기에 블롭을 키우는 시간이 의미가 없다.


• 라운드 32
- 꽤 어려운 라운드. 트레인을 하며 전투하지만 골렘들의 주의가 최대한 끌리지 않도록 한다. 상황에 따라 좀비 박멸기를 몇 발씩 사격해준다.


라운드 33~34(semi-3rd)
- pc나 Opp-pc에 머문다. 라운드 31과 마찬가지로 블롭 이외의 적들의 공격력이 좀 높으니 라운드 31과 같은 방식으로 전투하자. 라운드 34에 100,000 골드가 넘어야 한다.


• 라운드 35
- 이 라운드에서 무조건 save 1을 한 뒤 무기 세팅을 한 후, 다이아몬드 흉갑을 구매한다.


라운드 36
- 세 번째 고비. Leaf cornerult 반대쪽에서 머물며 웨이브별로 다음을 따른다.

1. 웨이브 1: 광대와 무지개 좀비를 빠르게 사살한다. alt와 ult 창문에서 스폰하는 적 및 근거리 공격형 적들은 자신의 앞으로 다가오므로, 박멸기로 사살하면 되니 이들은 크게 신경쓰지 말자.
2. 웨이브 2: 자이언트를 우선으로 사살한다. 자이언트가 죽으면 곧바로 광대들에게 사격을 가한다.
3. 웨이브 3: 자이언트한테만 사격해 빠르게 사살한다. 자이언트 상대 중 자신이 쓰러질 것 같다면 alt로 후퇴하고, 이후 자이언트가 사살되면 중앙으로 도망친다.

☆ 이 라운드부터 버티기 장소에 대한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cc에 머문다.


• 라운드 37~38
- 라운드 37은 정찰병 다수를 상대하다가 자이언트가 스폰하면 자이언트에게 집중사격하고, 라운드 38은 자이언트 외의 적들을 빠르게 사살한 뒤 자이언트에게 집중사격한다.


• 라운드 39
- 다인 플레이에서는 부활 사이클을 만들 수 있으니 문제가 안 되지만, 이번에는 혼자서 블롭 및 자이언트를 모두 사살해야 하니 '개인 DPS'가 아주 높아도 운이 없다면[26] 게임 오버될 수 있다. 이미 무기 세팅을 모두 했을 뿐더러 블롭을 키우다가 게임 오버될 수 있으니 블롭이 스폰하면 곧바로 사격한다.[27] 솔플에서는 절대로 eco 라운드가 아닌 DPS 라운드라는 걸 기억하자.

☆ 초반에 블롭을 최대한 빨리 사살하고, 자이언트가 롤러코스터로 들어온다 싶으면 최대한의 화력을 내서 사살한다.


• 라운드 40~41
- 공통적으로 cc에서 적들을 빠르게 사살한다. 다만, 라운드 40에서 오래된 자가 스폰할 때는 cc에서 빠져나와 중앙에서 빙빙 돈 뒤 Ledge를 해서 오래된 자를 사살하면 된다.


• 라운드 42
- 네 번째 고비. 체력이 크게 증가한 자이언트 6마리를 포함하여 총합 105마리의 적들이 스폰한다(단, 골렘은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정말 높은 DPS가 필요하다.

1. cc 특성상 자이언트가 2마리 이하이면 자이언트가 제대로 공격을 못 하니, 다른 적들을 먼저 사살하고 자이언트를 사살한다.

2. 웨이브별 공략
1) 웨이브 1: 자이언트가 1순위 표적이다. 적어도 1마리는 사살해야 하며 다른 1마리는 조금씩 공격해서 감속시킨다. 자이언트 1마리를 사살했다면 다른 적들한테 사격하는 동시에 2번째 자이언트를 공격한다. 우주 블래스터는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2) 웨이브 2: 역시 자이언트를 조준한다. 자이언트 1마리가 사살되거나 다른 적들이 너무 가까이 오면 다른 적들한테 사격한다.
3) 웨이브 3: 자이언트는 감속만 시키고 다른 적들부터 사살한다.

☆ s1 후, 자신이 원하는 방법을 선택한다.
1) 좀비 박멸기를 산탄총이나 더블 배럴 산탄총으로 교체한다. 산탄총으로 교체 하더라도 더블 배럴 산탄총을 강화시킨 후 산탄총을 얻자.
2) 회복 기술을 번개 막대 기술로 교체한다. 웨이브 1에서 나온 블롭을 모아서 번개 막대 기술로 한번에 잡고 행운의 상자에서 회복 기술을 다시 얻는 전략이다. 운이 상당히 좋아야 한다.


라운드 43
- 다섯 번째 고비. 블롭 및 자이언트만 나오는 라운드39, 43, 47, 52 중에서 제일 어렵다.[28] '개인 DPS'의 한계를 테스트할 정도로 엄청나게 높은 DPS와 운이 필요한 라운드이니, 최대한의 화력을 내서 자이언트를 사살해야 하며, 탄약이 부족하니 행운의 상자를 지속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 라운드 44
- 자이언트 외의 적들은 공격력이 사실상 없는 수준이므로 자이언트한테만 집중해서 사격한다.


라운드 45
- 여섯 번째 고비. 1마리만 있어도 솔플에서는 상대가 난해한 오래된 자가 2마리나 스폰한다.

1. 웨이브 1: cc에서 중앙에 있는 적들을 빠르게 사살한다.
2. 웨이브 2: 자이언트 3마리가 한꺼번에 스폰한다. 이 때는 광대들이 거의 없기 때문에 자이언트한테 집중적으로 사격하자.
3. 웨이브 3: 오래된 자 2마리가 스폰한다. cc에서 빠져나와 탄약 충전 판매대, 갑옷 판매대에 튀어나온 발판을 타면서 ult로 간다(가면서 door에 있는 골렘을 공격한다). 그리고 오래된 자를 ult에 칼 가드를 하면서 stuck시킨 후 빠져나와 남은 적들을 사살하자.


• 라운드 46
- alt 반대편 구석에서 door에 있는 골렘을 사살한 후, 오래된 자가 스폰할 때까지 기다린다. 오래된 자를 alt쪽에서 사살하고, 나머지 골렘들을 사살하자.


• 라운드 47
- 블롭 및 자이언트가 스폰한다. 다만 자이언트 수는 라운드 43에 비해 절반이 줄어든다.


• 라운드 48
- alt에서 라운드 46과 같이 전투하되, 관람차 창문에서 크리퍼가 스폰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둔다.


• 라운드 49
- alt에서 벽샷을 한다. 또한 이 라운드를 완전히 마치기 전, 회복 기술을 번개 막대 기술로 교체하며 롤러코스터와 범퍼카의 창문만 수리한다.


라운드 50
- 일곱 번째 고비. 아주 높은 DPS 및 전략을 요구하는 관문. Legit 기준, 이 챌린지의 거의 한계선이라 보아도 무방하다.

1. 웨이브 1 시작 전 : Rail에서 범퍼 카 내부의 창문을 조준한다.[29]
2. 웨이브 1
1) 범퍼 카 내부 창문에서 스폰되는 일반 좀비들을 모두 빠르게 사살한다.
2) Rail로 다가오는 일반 좀비들 중 선두 5마리를 사격하여 감속시킨 후, Rail 앞 코너에 들어가 칼 가드를 한다.
3) 자신의 체력이 40 HP쯤 되었을 때 번개를 내리친 후, 나머지 일반 좀비들도 사살한다.

3. 웨이브 2
1) 자이언트 2마리가 스폰한다. DPS를 최대한 높여 자이언트를 빠르게 사살한다.
2) 자이언트가 사살된 즉시 pc 앞을 거쳐 cc 쪽으로 이동하는데, 이 때 무지개 소총의 탄약을 충전하고, cc에 있는 골렘을 사살하여 cc에 원활히 자리잡을 수 있게끔 한다.
▷ 웨이브 3이 시작되기 직전까지 중앙 화단을 지나가야 게임 오버를 피할 수 있다. 때문에 웨이브 2는 천문학적인 DPS가 요구된다.

4. 웨이브 3
1) cc에 있는 골렘들을 전부 사살한 후 cc에 자리잡는다. 이후 곧장 뒤돌아 자이언트한테 먼저 사격하여 자이언트를 감속시킨다.
2) 웨이브 1 마지막처럼 칼 가드를 하다가, 자신의 체력이 30 HP일 때 번개를 내리쳐 일반 좀비 다수를 몰살한다.
3) 남은 일반 좀비들을 사살하고, 골렘을 사살한 후 자이언트도 사살한다.[30]

☆ 번개 막대 기술을 회복 기술로 다시 교체한다.


• 라운드 51
- 대량의 눈알 파수꾼이랑 자이언트가 스폰하지만, 눈알 파수꾼의 공격력은 골렘과 마찬가지로 아예 없기 때문에 cc에서 자이언트한테만 사격하자.


• 라운드 52~54
- 라운드 52의 경우 블롭과 자이언트가 스폰한다. 다만 라운드 43, 47과 다른 점이 있다면 블롭의 공격력이 거의 없기 때문에 cc에서 자이언트한테만 사격한다. 스폰되는 자이언트의 수는 총 4마리로 라운드 43보다 2마리 더 적지만, 체력이 높은 블롭, 골렘이 총합 78마리나 스폰하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탄약 충전은 행운의 상자를 통해 충전한다. 한편, 라운드 53부터는 alt에서 최대한의 화력을 낸다.


라운드 55 이후
- 현재 솔플 클리어자(Legit)가 단 1명도 없는 라운드들이다.

3. 시스템 관련


3.1. No-Ferris

★ 개요
- 관람차를 열지 않는 챌린지로, 일반적인 플레이(Casual)와 비교했을 때 60% 정도의 '전체 DPS' 밖에 내지 못한다.


★ 읽기 전에
1. 무기 슬롯 순서를 좀비 박멸기, 산탄총, 무지개 소총, 번개 막대 기술로 맞추는 것이 좋다.
2. 번개 순서가 필요하다.[31]
3. 라운드 x5, x7은 프론트(Front)가 필수적이다.


★ 공략
• 라운드 1~54
- 이 챌린지는 무기 강화가 제한되기 때문에, ('더블 골드'가 많이 스폰하지 않는 이상) 다이아몬드 흉갑을 갖추기가 일반적인 플레이에 비해 더 힘들 수 있다. 라운드 54까지 다이아몬드 흉갑을 갖출 수 있다면 갖추고, 제한 시 추가 체력 5티어를 구매한다.


• 라운드 55~60
- Ult, Alt 사용이 제한되는 것 외에는 일반적인 공략과 동일하다. 다만, 라운드 55는 부활 사이클이 약간 필요하니 주의하여 진행한다.


• 라운드 X1~X3
- 공통적으로 cc에 머문다. 이 때 라운드 X2의 경우 '1-1-2 전략'으로 진행하는 방법과 mid에서 댄싱으로 진행하는 방법 중 택1하면 된다.


• 라운드 X4
- cc나 pc 중 택1한다. cc의 경우 번개를 내리치기 전 적들한테 피해를 많이 입힐 수 있고, pc의 경우 적들한테 입힐 수 있는 피해량이 cc에 비해 떨어진다.


• 라운드 X5~X6
- 라운드 X5는 pc도 괜찮지만, 가능하면 Opp-pc에 머무는 것을 권장한다. 어디에 머물든 프론트 1명이 필요하며, 프론트는 자신이 쓰러지기 전 번개를 내리친다. 이후 나머지가 1.5~3초 간격으로 번개를 내리친다. 한편 라운드 X6은 cc에 머물면 된다.


• 라운드 X7
- 라운드 X5처럼 Opp-pc에 머무는 것을 권장한다. 프론트가 필수이며, 웨이브 1에는 번개를 내리치지 않는다.


• 라운드 X8~X9
- 라운드 X8은 cc, 라운드 X9는 pc에 머문다. 특히 라운드 X9에서는 프론트 1명도 필요한데, 프론트는 웨이브 4~5까지 앞에 머물다가 pc로 돌아온다. 그 후, 자신이 쓰러지기 직전 번개를 내리치면 된다.


• 라운드 X0
- pc에 머문다. 프론트 1명은 오래된 자들의 주의를 끌어주고, 이후 부활 사이클을 pc에서 유지한다.


• 라운드 101~105
- 일반적인 공략과 동일하다. 다만 빠르게 진행하고 싶다면 팀원 모두 mid에 머물도록 한다.

4. 무기 관련

4.1. No Skill

기술 사용이 제한되는 챌린지이다.

4.1.1. 트리오

한국 최초 클리어 영상[32]

★ 개요
- 트리오 + 기술 사용까지 제한되는 챌린지이나, 최근 Opp-pc 전략이 생겨서 난이도는 비교적 쉬운 편으로 예상된다.


★ 읽기 전에
1. 트리오 라운드 85를 부활 사이클 없이 넘길 수 있거나, 부활 사이클에 자신이 있다면 도전해본다.
2. '개인 DPS'가 좀 높아야 한다. 번개가 없기에, '개인 DPS'가 낮으면 적잖게 위험해진다.
3. 버티기 장소 "Alt" , "Opp-pc"에 익숙해져야한다.
4. 모두 RR-GD set을 사용하며, 퍼크는 2명은 빠른 부활 + 빠른 발사 + 추가 체력 세팅을, 1명은 빠른 발사 + 냉동탄 + 추가 체력 세팅을 쓴다. 단, 후자의 경우 "1.5초 부활"에 익숙해져야 한다.


★ 공략
• 라운드 1~59
- 일반적인 트리오 공략과 동일하다. 단,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추가 체력 티어가 높아야 유리하기 때문에, 라운드 52까지는 다이아몬드 흉갑을 갖추었어도 골드를 계속 다량 축적하며, 그 이후에 무기 세팅을 한다.
2. 라운드 50까지 박멸기는 최소 1자루 정도 마련하는 것이 좋다.


• 라운드 60
- Ult에 머문다. 그러나 번개 막대 기술이 없기 때문에 프론트 없이 그냥 Ult로 바로 들어와도 된다.


• 라운드 X1
- Ult에 머물며, 프론트가 있어야 한다. 1명은 살리고 쓰러져야 부활 사이클이 쉽게 유지된다.


• 라운드 X2
- alt에 머무는데, 전략은 기존 alt 전략과 비슷하다. 1명이 alt-wallshot을 하고, 나머지 2명은 뒤에서 벽샷을 하는 것이다.


• 라운드 X3
- cc나 ult에 머물며, 강화된 크리퍼만 조심하면 어렵잖게 넘길 수 있다.


• 라운드 X4
- 라운드 64, 74는 alt를 사용하는 반면, 라운드 84, 94는 부활 사이클을 계속 유지해야 하기에 Ult에 머문다.

1. 번개 막대 기술이 없기에, 칼 가드를 하지 않을 때는 스왑을 하거나 박멸기를 사용하자.[33]
2. 스왑에 자신 없다면 광역 무기인 박멸기만 계속 사용한다. 다만, 총 잠김 버그를 최대한 회피해본다.

☆ 점핑을 하면 코너에서 튕겨나갈 수 있기 때문에 점핑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 또한, 앞을 보고 검 가드해야 안 튕겨져 나간다.


• 라운드 X5
- Opp-pc에 머물되, 마그마 큐브들한테는 사격하지 않는다.[34] 그리고 프론트 1명도 있어야 한다. 라운드 65, 75, 85는 화력이 좋다면 부활 사이클 없이도 넘길 수 있지만, 라운드 95는 운이 안 좋으면 부활 사이클이 필요할 수 있다.


• 라운드 X6
- 가장 쉬운 반복 라운드이긴 한데 적들의 공격력이 높다. cc나 ult에 머물며, 강화된 크리퍼의 자폭에 많이 휘말리지만 말자.


• 라운드 X7
- 일반적인 트리오 공략과 동일하지만, 상당히 높은 DPS가 요구된다.


• 라운드 X8
- Ult나 Alt에 머문다. 트리오인데다가 번개도 없기에, Ledge는 잘 하지 않는다. 그러나 프론트 1명은 필요하다.


• 라운드 X9
- 프론트가 웨이브 4~5까지 적들의 주의를 끈다. 이후 오래된 자가 Ult로 들어오면 부활 사이클을 유지해야 한다. 상당히 자주 코너 밖으로 튕겨져 나가는 라운드이므로 점프는 하지 않는 것이 좋다.


• 라운드 X0
- No-alt ledge에서 "보조(Assist)"만 빠진 형태이다.

1. Ledge—즉, FB를 들고 있던 플레이어는 FB를 FR(빠른 부활)로 교체해도 된다. 어차피 부활 사이클 위주로 진행되기에 FB가 크게 필요없다.
2. 번개 막대 기술이 없기 때문에 수많은 광대의 폭격을 맞아가며 부활 사이클을 유지해야 하는데, 광대 볼홀로그램에 의해 칼 가드가 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한다.
3. 라운드가 끝난 후, FB 담당자는 FR을 FB로 교체한다.

☆ 라운드 100에는 박멸기를 산탄총으로 바꾸면 좋다.


• 라운드 101~105
- 일반적인 공략과 동일하다. 다만 빠르게 진행하고 싶다면 팀원 모두 mid에 머물도록 한다.

4.2. No Chest Guns(NCG)

클리어 영상
한국 최초 클리어 영상
★ 개요
- 행운의 상자 전용 총기 없이 진행하는 챌린지이다. 총기만 제한되기 때문에, 번개 막대 기술과 회복 기술은 사용이 가능하다.[35]


★ 읽기 전에
1. 무기 슬롯 순서가 칼, 권총, 소총, 산탄총, 번개 막대 기술이어야 좋다.
2. 번개 순서가 필요하다.[36]
3. 라운드 x5, x7은 프론트(Front)가 필수적이다.


★ 공략
• 라운드 1~52
- 전반적으로 일반적인 공략과 동일하다. 블롭(eco) 라운드에는 블롭을 키우고, 다른 라운드는 CC에 머문다. 이 때 소총은 라운드 50에만 사용하며, 지름신 강림은 번개 막대 기술을 뽑는데 사용한다.[37]

☆ 다이아몬드 흉갑을 갖췄다면, 번개 막대 기술을 뽑는다.


• 라운드 53~60
- 라운드 53~54, 58은 Alt에 머물며, 나머지 라운드는 일반적인 공략과 동일하다. 또한, 이 때부터 FB 역할이 필요하다. 특히 라운드 55가 좀 어려우니 주의하자.


• 라운드 X1
- 프론트는 2명이 맡는다. 엄청난 물량의 늑대들이 스폰하지만 1마리당 공격력은 그렇게 높지 않기에 검 가드를 안하고 최대한의 DPS만 내도 괜찮다. 다만, 라운드 80대부터는 검 가드를 조금씩 해야할 수 있다.


• 라운드 X2
- 다음 순서대로 진행한다.

1. 프론트(이 라운드에서는 댄서) 1명이 mid 주위를 빙빙 돌아, 마지막 웨이브에 스폰하는 광대까지 모은다. 나머지는 광대들이 잘 뭉쳐지도록 사격한다.
2. 광대가 모두 모였다면, Door쪽으로 가서 번개를 내리쳐 광대들을 몰살한다.


• 라운드 X3~X7
- 라운드별 특성에 따라 진행한다.

1. 라운드 X3, X6: 프론트는 2명이 맡으며, 다음 라운드를 대비해 BC 내 가마솥에 Stuck된 적들을 이용해 save 1을 한다.

2. 라운드 X4: Ult에 머문다. 프론트는 2명이 맡으며, 블레이즈한테 사격하면 안 된다. Front가 Ult로 완전히 들어와도 나머지가 사격을 유지해도 되지만, 오래된 자가 Ult에 들어올 때부터는 사격을 중단하고 부활 사이클을 유지해야 한다.

3. 라운드 X5, X7: Ult에 머물며, 프론트(FB) 1명이 Ult에 들어온 직후 적들이 코너 앞에 모일 즈음에 1번째 번개를 내리친다. 이후에는 다시 적들이 모일 때 ~ 라인이 밀리기 전에 번개를 내리쳐 마그마 큐브나 블롭에 의해 코너에서 튕겨나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한다.


라운드 X8
- 세 번째 고비. DPS가 부족하기 때문에 Ult에서 벽샷을 한다. 1번째 번개는 프론트가 Ult에 들어온 순간에 내리치고, 이후에는 5초 간격으로 내리친다.


라운드 X9
- 네 번째 고비. 상당히 어렵다. 프론트가 필요하며, 프론트는 앞에서 웨이브 3까지 적들의 주의를 끌다 들어와서 쓰러지고, 이후에는 오래된 자를 통해 부활 사이클을 유지하면 된다.


라운드 X0
- 다섯 번째 고비. 다만, 이 라운드까지 도달한 플레이어들이라면 대부분 이 맵 클리어를 많이 해보았을 것이기에 오히려 나머지 라운드보다는 쉬울 것이다. 골렘 역할은 2명이 맡고, 프론트도 2명이 맡는다.


라운드 101
- 여섯 번째 고비. '전체 DPS'가 매우 낮기에 절대 만만하게 보면 안 된다. (순서대로 번개를 내리치면서) 산탄총을 사용한 뒤, 소총과 권총을 번갈아 사격하는 컨트롤과 함께 전탄 치명타를 띄워야 겨우 넘길 수 있다.


• 라운드 102~105
- 이벤트 라운드임은 변함이 없다. 팀원들과 함께 스크린샷을 남기자.

4.2.1. NCG + No shotgun

★ 개요
- 상술된 'NCG'에서 산탄총마저 빠진 챌린지로,[38] NCG와 비교했을 때 전체 DPS의 50% 밖에 내지 못한다.


★ 읽기 전에
1. 번개 순서가 필요하다. 특히 라운드 X5와 X7은 필수이다.
2. 이 챌린지의 공략은 NCG 공략과 공유하는 점이 많으므로 NCG 공략을 모두 숙지한 후 읽는 것을 추천한다.


★ 공략
• 라운드 1~52
- 일반적인 공략과 동일하다. 다만, 지름신 강림은 번개 막대 기술을 뽑는데 사용한다. 소총은 라운드 36, 40, 45, 48~50에서 사용하며, 다른 라운드에는 권총만을 사용해야 한다.

☆ 지름신 강림(SS)이 스폰하는 라운드에서 최대한 많은 번개 막대 기술을 뽑아야 한다. 특히, 처음으로 지름신 강림이 스폰하는 라운드 때 번개 막대 기술 1~2개가 안 나오면, 게임 재시작을 추천한다.


• 라운드 53~55
- 라운드 53~54는 alt, 라운드 55는 ult에 머문다. 이 때부터 FB 역할이 필요하다. 특히 라운드 55는 좀 어려우니 주의하자.


• 라운드 56~60
- 라운드 58은 Alt에 머문다는 것 외에는 일반적인 공략과 동일하다.


• 라운드 X1
- 프론트 1~2명이 필요하다. 라운드 61과 71의 경우, 늑대들의 공격력은 아직 그렇게 높지 않기에 검 가드를 안하고 Lshift만 누른 채로 사격만 해도 된다. 반면 라운드 81과 91은 늑대들의 공격력이 훨씬 높아지므로, 위험하면 검 가드를 하는 것을 추천한다.


• 라운드 X2
- 다음 순서대로 시행한다.

1. 프론트(이 라운드에서는 댄서) 1명이 mid 주위를 빙빙 돌아, 마지막 웨이브에 스폰하는 광대까지 모은다. 나머지는 광대들이 잘 뭉쳐지도록 사격한다.
2. 마지막 웨이브가 시작했다면, 2~3바퀴를 더 돌다가 천천히 Door쪽으로 광대들을 끌고 와 번개를 내리친다.


• 라운드 X3
- 진행 방식은 라운드 X1과 비슷하다. 다만 크리퍼의 자폭으로 인한 팀의 전멸은 필히 막아야 한다. 또한 다음 라운드가 고비이니, BC 가마솥에 Stuck된 적들을 이용해 save 1을 한다.


라운드 X4
- 첫 번째 고비. Ult에 머문다. Front는 1명이 있어야 하며, 블레이즈한테 사격하면 안 된다.

1. 프론트가 구석으로 들어온 뒤, 쓰러진 후 부활되자마자 첫 번째 번개를 내리친다. 그 이후 나머지는 1~2초 간격으로 내리친다.
2. 자신이 살아나면 1.5초 무적 시간을 이용해[39] 1초동안 사격한 후 검 가드를 하여 1명을 살리는 것이 좋다.
3. 라운드 84, 94에선 다른 적들이 너무 많아서 죽을 타이밍인데도, 자신이 받는 피해량이 약해 체력이 장시간 여유가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도 검 가드를 계속 해줘야 한다.[40]


라운드 X5
- 두 번째 고비. PC에 머문다.[41] 프론트는 반드시 1명이여야 하며, 최대한 앞에서 버텨내야 한다.

1. 프론트는 반드시 쓰러지기 직전에 번개를 내리쳐야 한다. 그렇지 않는다면 상당한 물량의 적들이 구석 안으로 들어오고, 결국엔 마그마 큐브가 구석 안쪽에 스폰되는 사태가 벌어져 플레이어들이 구석 밖으로 튕겨져 나가게 된다.
2. 특히 라운드 85, 95에선 적들이 상대적으로 많아지기에, 프론트가 쓰러지기 전이 아닌 피해를 받기 시작 ~ 완전히 쓰러지기 직전 사이에 번개를 내리쳐야 한다. 나머지 3명은 전부 1.5초 간격으로 번개를 내리치면 된다.


• 라운드 X6
- 진행 방식은 라운드 X1과 비슷하다. 다만 크리퍼의 자폭으로 인한 팀의 전멸은 필히 막아야 한다. 또한 다음 라운드가 고비이니, BC 가마솥에 Stuck된 적들을 이용해 save 1을 한다.


라운드 X7
- 세 번째 고비. 프론트는 반드시 1명이여야 하며, 프론트는 반드시 죽기 전에 번개를 내리쳐야 한다는 공략은 똑같지만 자라나는 블롭, 오래된 자 등으로 인해 약간의 변수가 생긴다. 심지어 라운드 87, 97은 적들의 실질적인 물량이 라운드 85, 95와 약간 낮기 때문에 프론트가 번개를 잘 내리쳐야 하는데, 피해를 받기 시작 ~ 완전히 쓰러지기 직전 사이에 번개를 내리치는 것만이 살 길이다.


라운드 X8
- 네 번째 고비. 다만 라운드 X4보다 적 물량은 적기 때문에 골렘 운만 아니라면 해당 라운드보다는 쉽게 넘길 수 있다. 1번째 번개는 프론트가 구석 안으로 들어온 뒤 부활되자마자 내리치고, 나머지는 1.5초 간격으로 내리친다.


라운드 X9
- 다섯 번째 고비. 난이도가 상당히 어렵다. 프론트가 필요하며, 프론트는 앞에서 웨이브 3까지 적들의 주의를 끌다 들어와서 쓰러지고, 이후 오래된 자를 통해 부활 사이클을 유지하면 된다.


• 라운드 X0
- 여섯 번째 고비. 다만, 이 라운드까지 도달한 플레이어들이라면 대부분 이 맵 클리어를 많이 해보았을 것이기에 오히려 나머지 라운드보다는 쉬울 것이다.


• 라운드 101
- 번개를 내리친 뒤,[42] 세계 엔더의 정수리 쪽이나 투구 쪽을 향해 치명타를 띄워준다.


• 라운드 102~105
- 이벤트 라운드임은 변함이 없다. 팀원과 함께 스크린샷을 남기자.

4.2.2. NCG + No rifle

세계 최초 Legit 클리어 영상 [43]

★ 개요
1. 서술된 'NCG'에서 소총마저 빠진 챌린지이다.[44]
2. "NCG + No shotgun" 챌린지랑 비교했을 때 Eco는 상대적으로 높지만, DPS의 경우 상황에 따라 우열을 가를 수 있다. 이 챌린지는 부활 사이클 전 DPS는 "NCG + No shotgun"에 비해 낮지만, 부활 사이클 중 DPS는 "NCG + No shotgun"에 비해 높다.


★ 읽기 전에
1. 번개 순서가 필요하다. 특히 라운드 X5나 X7같은 블롭이나 마그마 큐브가 많은 라운드는 필수다.
2. 라운드 x5, x7은 프론트가 필수적이다.

3. 부활 사이클 유지법(고급)을 익혀본다.
1) 반드시 자신이 1명을 살리고 쓰러져야 한다는 편견은 버린다.
2) 채팅을 보고, "(닉네임) revived (자신의 닉네임)!" 메시지가 보인 직후, 누군가가 다른 사람을 부활시켰다는 메시지가 보이면 칼 가드를 풀어도 된다.
3) 시야를 바닥으로 향한다. 바닥에 쓰러진 팀원이 사라졌다면 누군가가 그 팀원을 살렸다는 뜻이므로, 칼 가드를 풀고 사격해도 된다.[45]
4) 라운드 X0에서, 골렘이 자신을 띄워서 3초 이상 피해를 안 받고 공중 부양이 되었다면, 칼 가드를 다시 하는 것이 좋다.
▷ 공중 부양 중에도 누군가가 계속 살아나는 모션이 보인다면 칼 가드를 하지 않아도 된다.


★ 공략
• 라운드 1~52
- 일반적인 공략과 동일하나, 라운드 50에는 번개 막대 기술을 최소 1명은 소지해야 한다. 또한, 라운드 52 이후에는 FB를 1명이 소지해야 한다.


• 라운드 53~60
- 일반적인 공략과 동일하지만, DPS는 상대적으로 훨씬 낮다는 것을 명심한다.

☆ 반복 라운드에는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Ult에 머문다.


• 라운드 X1
- 1명이 프론트를 담당한다. 또한 1명은 꼭 살리고 쓰러져야 부활 사이클 유지가 쉽다는 점 알아둔다.


• 라운드 X2
- 1명은 mid에서 댄싱한다. 댄싱은 골드가 많은 플레이어가 수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 라운드 X3
- 1명이 프론트를 담당한다. 크리퍼를 빠르게 사살하는 것이 좋으나, 크리퍼가 너무 가까이 다가왔다면 칼 가드로 팀의 전멸을 막도록 한다.


• 라운드 X4
- 1명이 프론트를 담당한다. 다만 '전체 DPS'가 낮아 프론트를 오래 할 수 없기 때문에, 세미 프론트(Semi-front) 1명도 필요하다. 세미 프론트는 프론트 뒤를 따라다니며 DPS를 더해준다.

1. 프론트가 구석으로 들어온 뒤, 쓰러진 후 부활되자마자 1번째 번개를 내리친다. 그 이후 나머지는 1~2초 간격으로 내리친다.
2. 자신이 살아나면 1.5초 무적 시간을 이용해[46] 1초동안 사격하며 후퇴한 뒤, 검 가드를 통해 1명을 살리는 것이 좋다.


라운드 X5
- 첫 번째 고비. 버티기 장소는 Opp-pc도 좋은 선택이지만, 사실 Ult에 머무는 것이 일반적이다.[47] 프론트, 세미 프론트 각 1명씩 담당하며, Ult 밖에 최대한 머물러본다.

1. 프론트는 반드시 쓰러지기 직전에 번개를 내리쳐야 한다. 그렇지 않는다면 상당한 물량의 적들이 구석 안으로 들어오고, 결국엔 마그마 큐브가 구석 안쪽에 스폰되는 사태가 벌어져 플레이어들이 구석 밖으로 튕겨져 나가게 된다.
2. 특히 라운드 85, 95에선 적들이 상대적으로 많아지기에, 프론트가 쓰러지기 전이 아닌 피해를 받기 시작 ~ 완전히 쓰러지기 직전 사이에 번개를 내리쳐야 한다. 나머지 3명은 전부 1.5초 간격으로 번개를 내리치면 된다.


• 라운드 X6
- 라운드 X3처럼, 크리퍼의 자폭으로 인한 팀의 전멸은 필히 면하도록 한다.


라운드 X7
- 두 번째 고비. 프론트는 반드시 1명이여야 하며, 프론트는 반드시 죽기 전에 번개를 내리쳐야 한다는 공략은 똑같지만 자라나는 블롭, 오래된 자 등으로 인해 약간의 변수가 생긴다. 심지어 라운드 87, 97은 적들의 실질적인 물량이 라운드 85, 95와 약간 낮기 때문에 프론트가 번개를 잘 내리쳐야 하는데, 피해를 받기 시작 ~ 완전히 쓰러지기 직전 사이에 번개를 내리치는 것만이 살 길이다.


• 라운드 X8
- 라운드 X4보다 적 물량은 적기 때문에 골렘 운만 아니라면 해당 라운드보다는 쉽게 넘길 수 있다. 1번째 번개는 프론트가 구석 안으로 들어온 뒤 적들이 모이면 내리치고, 나머지는 1.5초 간격으로 내리친다.


• 라운드 X9
- 프론트 1명이 필요하다. 프론트는 앞에서 웨이브 3까지 적들의 주의를 끌다 들어와서 쓰러지고, 이후 오래된 자를 통해 부활 사이클을 유지하면 된다.


• 라운드 X0
- 이 라운드까지 도달한 플레이어들이라면 대부분 이 맵 클리어를 많이 해보았을 것이기에 오히려 나머지 라운드보다는 쉬울 것이다.


• 라운드 101~105
- 라운드 101의 경우 세계 엔더한테 치명타를 잘 띄우도록 하고, 나머지 라운드는 이벤트 라운드이니 팀원과 함께 스크린샷을 남겨본다.

4.2.3. 듀오

라운드 101까지 간 영상[48]

★ 개요
- 서술된 'NCG'를 2인에서 진행하는 챌린지로, Legit의 한계라고 불릴 정도로, 현재 복합 분류 순위표에 기록된 모든 챌린지보다도 어려운 챌린지라고 할 수 있다.[49]


★ 읽기 전에
1. 라운드 95, 라운드 99, 라운드 100 외에도 라운드 101이 정말 큰 고비이다. 100% 치명타가 안 나오면 그대로 게임 오버된다.
2. 프론트가 번개를 먼저 내리친다. 단, 라운드 X4, X8, X9는 늦게 번개를 사용해야 하니 후방 담당자(Behind)가 먼저 내리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 공략
• 라운드 1~52
- 일반적인 듀오 공략과 동일하나, 라운드 50, 52에서는 탄약이 부족할 수밖에 없기에 번개 막대 기술이 반드시 필요하다. 경우에 따라 라운드 47에서도 번개를 내리쳐야 할 수도 있으니 그 때까지 번개 막대 기술을 얻는 것도 좋다.


• 라운드 53~60
- 라운드 56~57, 59는 Alt에, 그 외 라운드에는 Ult에 머물러야 한다. 특히 라운드 60의 경우 프론트가 검 가드를 하다 오래된 자 1마리를 가둔 뒤, 검 가드를 풀어야 구석에서 안 튕겨져 나간다.


• 라운드 X1~X3
- 다음 3가지를 잘 따른다.

1. 라운드 X1: 번개를 가까이서 내리치지만, 자라나는 블롭들이 코너에 들어오지 않게 해야 한다.
2. 라운드 X2: 화력이 부족하기에 1명이 중앙에서 댄싱하다가 번개로 광대들을 몰살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3. 라운드 X3: 프론트 1명이 필요하며, 부활 사이클이 필연적이다.


• 라운드 X4
- 프론트 1명이 Ledge를 최대한 이용한 뒤 구석에서 쓰러져야 한다. 여기서 번개를 오래된 자가 Ult 내부 모루에 갇힌 뒤에 내리치는 것이 좋다. 해당 블록에 갇히지 않은 오래된 자는 모루 반대편으로 이동해 플레이어를 코너 밖으로 밀어내므로 코너링을 크게 방해한다. 점프하지 않는 것이 코너 밖으로 튕겨져 나가지 않는 것에 도움이 된다.


라운드 X5
- 첫 번째 고비. Opp-pc에 머물며, 프론트가 번개를 웨이브 2가 시작되고 나서 내리쳐야 한다. 그 뒤, 후방 담당자도 자신이 쓰러지기 전에 번개를 내리쳐야 한다. 선택사항으로는, S+D키를 사용해 최대한 마그마 큐브들이 한 쪽에 몰리게 하는 것이다.


• 라운드 X6~X7
- 라운드 X6은 라운드 X3과, 라운드 X7은 라운드 X5와 공략이 같다. 다만, 후자의 경우 웨이브 1에 블롭들을 최대한 밀어내야 한다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 라운드 X8
- 라운드 X4보다 적 물량은 적기 때문에 골렘 운만 아니라면 해당 라운드보다는 쉽게 넘길 수 있다. 오래된 자가 Ult 내부 모루에 갇힌 뒤 번개를 내리친다.


• 라운드 X9
- 번개 막대 기술을 느리게 사용하는 것 외에는 특이사항이 없다. 다만, 부활 사이클 말기까지 간다면 오래된 자가 Ult 내부 모루에 가끔 끼지 않는 상태로 플레이어를 코너 밖으로 밀어낼 수도 있으니 주의한다.


• 라운드 X0
- 이 라운드까지 도달한 플레이어들이라면 대부분 이 맵 클리어를 많이 해보았을 것이기에 오히려 나머지 라운드보다는 쉬울 것이다.


라운드 101
- 한계에 도전하는 라운드로, 동일 챌린지 쿼드도 '전체 DPS'가 낮아 넘기기 힘든데, 여기에 플레이어 2명마저 없는 상태기에 100% 치명타를 띄워야 겨우 넘길 수 있다.


• 라운드 102~105
- 이벤트 라운드임은 변함이 없다. 팀원들과 함께 스크린샷을 남기자.

5. 스피드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lien Arcadium/챌린지/스피드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타 맵에 비해 기본적으로 난이도가 높은 맵인만큼, 플레이어 1명이 있냐 없냐의 차이가 매우 클 수밖에 없다.[2] 라운드 x2를 제외한 모든 라운드에서 게임 오버될 수 있다. 심지어는 라운드 x3과 x6에서 크리퍼의 광역 폭발로 인해 2명 이상이 동시에 쓰러져버리는 경우도 존재한다.[3] 팀원 부활 시간을 0.1~0.7초 남기고 쓰러지는 것을 말한다.[4] 플레이어 1명이 줄어들었기에, 금 갑옷만으로는 버티기가 약간 힘들다. 또한, 트리오기 때문에 쿼드보다 골드가 잘 축적된다.[5] 자신의 eco가 좋다면 4티어까지 구매하는 것을 추천한다.[6] 슬라임 계열 적들은 한 번에 2번씩 공격하기에, 공격 속도를 감안하면 생각보다 피해량이 높다.[7] 이 시간까지 지나면 보통 라운드 시작 후 40초가 막 지나게 된다.[8] 웨이브 2에 2마리, 웨이브 3에 최소 1마리이다.[9] 쿼드에서는 빠른 부활을 바꾸는 사람도 있지만, 여기서는 거의 무조건, 빠른 발사랑 교체해야 한다.[10] 웨이브 5에 오래된 자가 스폰하므로, 실질적으로 웨이브 4까지 버텨낼 수 있다.[11] 후술할 라운드 95에서 화력 극대화를 아무리 해도 화력이 밀리는 이유가 대표적으로 감전 버그로 인한 것이다. 이처럼 감전 버그의 치명성은 인원 수와 반비례한다.[12] 지렁이 좀비 1마리당 130 HP, 지렁이 1마리당 50 HP이라는 무시무시한 체력을 갖고 있다.[13] 현재 전략이 발전됨에 따라 운이 안 좋은 상황도 커버할 수 있는 공략들이 생겼다.[14] 3rd를 쓰지 않으면 블롭을 다 못 죽였는데 자이언트는 살아 있어서, 탄약 충전을 하지 못하는 상황이 일어난다.[15] Alt는 가끔 적들의 주의가 의도찮게 바뀌는 문제가 발생해서, ult가 조금 더 편하다.[주의] 블롭에게 번개를 내리친 후 Door 쪽으로 이동해버리면, Ult의 역할을 맡은 플레이어가 블롭으로 인해 가려져 예상치 못한 변수가 생길 수도 있고 주의가 분산이 될 가능성도 존재해 위험해진다.[17] 다만 번개를 늦게 사용한다면 그 확률은 상당히 올라간다.[18] 참고로 프론트랑 Ult가 번개를 0.5초 간격으로 내리쳐야 한다. 감전 버그 적이 만들어져도 상관없다.[클리어불가] [20] 이론상으로 라운드 65 도달이 한계이며, 현재 최고 기록은 라운드 55 도달이다.[21] 물론 이는 라운드 45, 50에서만 해당되기 때문에 라운드 36, 42, 43 넘기기를 목표삼았다면 펀쳐를 얻어도 상관없다.[22] 다이아몬드 레깅스를 갖춘 후, 흉갑을 갖추기 전에 구매하자.[23] 특히 눈알 파수꾼은 팀킬을 할 수 있어서 eco가 안 좋아진다.[24] ent는 블롭이 벽에 자주 낄 뿐더러 솔플이라 화력이 부족해 벽에 낀 블롭이 그냥 죽어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25] 난이도로만 따지면 Opp-pc가 더 쉽지만, Opp-pc의 경우 살짝만 왼쪽을 클릭해도 퍼크 구매창이 나오기 때문에 주의하자.[26] 자이언트가 롤러코스터 입구에 끼어야 쉬워진다.[27] 추가 체력을 구매할 수는 있지만 효율이 너무 낮다.[28] 자이언트가 6마리로 제일 많고, 블롭 수도 정말 많다.[29] Rail 같은 장소에 있어야 롤러코스터(RC)에서 적들이 스폰하지 않는다.[30] cc의 특성상 골렘을 자이언트 쪽으로 밀지 않는 이상 자이언트가 쉽게 공격을 못하기에, 자이언트는 제일 나중에 사살해야 한다.[31] X5나 X7같은 블롭이나 마그마 큐브가 많은 라운드는 필수 중 필수이다.[32] 두 영상 모두 같이 플레이한 영상으로, 플레이어의 시점만 다를 뿐이다.[33] 만약 자신이 부활 사이클 유지 중 사격할 자신이 없다면, 팀원들의 DPS에 의지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34] Opp-pc를 사용하면, 코너에 진입하는 적들을 마그마 큐브들이 막아주기 때문에 번개 막대 기술이 없어도 쉽게 넘길 수 있다.[35] 엄밀히는 펀쳐도 사용 가능하나, 이 맵에서는 전혀 쓸모가 없으므로 제외한다.[36] 라운드 X5나 X7같은 블롭이나 마그마 큐브가 많은 라운드는 필수 중 필수이다.[37] 기술 외에 다른 총기가 행운의 상자에서 나왔다면, 지름신 강림 중이라도 가져가지 않고 자연적으로 사라질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원칙이다.[38] 즉, 허용되는 무기는 칼, 권총, 소총, 기술(회복 기술, 번개 막대 기술)이다.[39] 플레이어가 부활되면 위치 재조정을 위해 저항 V가 약 1초 정도 걸린다.[40] 검 가드했음에도 받는 피해가 약간 높다고 생각되면 검 가드를 풀어준다.[41] Opp-pc도 좋은 선택이지만 그 코너는 옆에 Vending을 없애주는 서버 버그가 있어야 한다.[42] 세계 엔더(World ender)가 스폰되는 블록에 조준하면 잘 맞는다.[43] 현 시점에서 가장 빠른 기록이다.[44] 즉, 허용되는 무기는 칼, 권총, 산탄총, 기술(회복 기술, 번개 막대 기술)이다.[45] 단, 최신 버전에서는 "쓰러짐" 판정이어도 계속 서있기 때문에, 바닥을 보고 분간하는 것이 제한된다.[46] 플레이어가 살아나면 위치 재조정을 위해 저항 V가 약 1초 정도 걸린다.[47] Opp-pc는 옆에 Vending을 없애주는 서버 버그가 있어야 한다.[48] 현재 세계 기록이다.[49] 플레이어가 적어 '전체 DPS'가 부족한 것도 있지만 무엇보다 NCG 챌린지의 핵심인 번개 막대 기술이 부족하다는 점이 정말 크게 다가온다. 부활 사이클을 1분 30초 이상 유지해야 하는 라운드가 있을 정도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