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28 20:14:12

817계 전동차

파일:JR 큐슈 로고.svg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 JR 큐슈 817계 전동차
JR 九州 817系 電車
JR Kyushu 817 Series (EMU)
}}}
파일:JRK817A.jpg
외부 (0번대)
파일:JRK817B.jpg
내부 (0번대)
차량 정보
열차 형식 광역, 도시철도 입선용 근교형 전동차
구동방식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편성대수 2량 1편성
3량 1편성[1]
도입시기 2001년 ~ 2015년
제작회사 히타치 제작소 카사도 사업소
소유기관 JR 큐슈
운영기관
운행시기 2001년 10월 6일 ~ 현재
차량 제원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전장 20,000㎜
전폭 2,994㎜
전고 4,096㎜
궤간 1,067㎜
정원 편성 258 ~ 419명
차량 130 ~ 152명
대차 원추 적층 고무식 볼스터리스 대차
DT404K / TR404K
차중 편성 62.2 ~ 89.8t
차량 27.8 ~ 35.2t
차체 알루미늄 합금 더블스킨 구조[2]
신호장비 ATS-SK, ATS-DK
급전방식 교류 20,000V 60Hz 가공전차선
제어방식 PWM 컨버터 + VVVF-IGBT 인버터
제동방식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동력장치
(주전동기)
농형 3상 유도전동기 MT401KA
동력전달장치 TD 피팅식 중실축 평행카르단
기어비 14:91
주전동기
출력
150kW x 4 = 600kW
최고속도 영업 120㎞/h
설계
가속도 2.6㎞/h/s
감속도 상용 4.2㎞/h/s
비상 4.5㎞/h/s
MT 비 1M1T / 1M2T[3]
}}}}}}}}} ||

1. 개요2. 상세3. 형식
3.1. 0번대 → 500번대3.2. 1000번대 → 1500번대
3.2.1. V114편성 축전지 시험차
3.3. 1100번대3.4. 2000번대3.5. 3000번대
4. 운행 노선구

1. 개요

2. 상세

3. 형식

3.1. 0번대 → 500번대

파일:JRK817A.jpg 파일:JRK8170A.jpg
전조등이 LED화된 V020 편성[6] 전조등이 LED, 행선기가 풀컬러 LED화된 V031 편성[7]

3.2. 1000번대 → 1500번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S817_1000_V111trainset.jpg

3.2.1. V114편성 축전지 시험차

파일:external/f.st-hatena.com/20130927193915.jpg
2013년 9월 히타히코산선에서 시험주행을 한 V114편성
2012년 3월 JR 큐슈에서는 817계를 사용하여 철도종합기술연구소와 공동개발을 통해 축전지 전동차를 시험 제작하겠다는 내용으로 발표를 하였다.

운행 방식은 전철 구간에서는 전동차로서 주행하고, 비전철 구간에서는 차내에 탑재된 배터리로 주행하는 방식의 듀얼모드로 2014년 3월에 운행을 시작한 JR동일본의 EV-E301계 전동차[8]와 비슷하면서도 다른 구조인 차량인데 JR 큐슈의 시도는 교류 차량으로서는 세계에서 처음이고, 기존의 차량을 개조하여 실용화를 확대할 수 있는 가에 대한 도전이어서 큰 이목을 끌었다.

그리고 2013년 3월 노가타차량센터 소속의 V114편성을 개조한 축전지 시험차량이 고쿠라종합차량센터에서 처음 보도공개되었는데, 여기에 장착된 배터리는 기존 전기자동차의 4~5배에 달하는 용량의 리튬 이온 배터리이고, 여기서 직류 1000V 이상의 전압이 발생한다고 하였다. 개조비용은 2량 개조에 1억 4천만엔.[9]

예상하는 최고속도는 전철구간에서 120km/h, 비전철구간에서는 80km/h였고, 2013년 5월 비전철 구간 중 카시선과 와카마츠선[10]에서 시험을 해볼 예정이었지만, 배터리 100% 만충시 최대 주행거리가 30km 정도밖에 안되는 탓에 조금 더 주행효율을 높히는 연구를 한 끝에, 2013년 9월 히다히코산선에서 첫 시험주행을 마치고 돌아왔다.

그렇게 상용화 된 열차가 바로 BEC819계 전동차이다.

3.3. 1100번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JRK817-1100.jpg

2007년에 제작된 그룹으로 편성번호는 V1101 ~ V1104 까지 4개 편성 8량 만이 존재하는 소수 그룹이다. 1000번대의 개량형으로서, 행선지표시기가 앞이나 옆이나 구분 없이 대빵커졌고[11], 후쿠호쿠유카타선의 원맨 운행시 요금 수납 방식이 차내 수납에서 역 수납으로 바뀌어, 차내에 요금표시기, 정리권 발매기, 요금통은 설치 준비만 되어있을 뿐으로 두었고, 차량간 이동통로에 문을 설치두었다. 모든 편성에 히타치제 인버터를 사용하고 있다.

3.4. 2000번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JRK817-1100%EF%BC%BF2000.jpg
(사진 왼쪽이 2000번대. 오른쪽은 1100번대이다.)

2012년 봄 다이어 개정으로 등장한 차량으로, 호쿠후쿠유타카선에서 활약 중인 크로스 시트가 장착된 기존의 817계로는 늘어나는 혼잡도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 하게 되자, 기존 차량을 지방으로 보내버려 구형 717계를 대체하는 밀어내기식 대차를 위해 제작된 차량으로, 편성번호는 V2001 ~ V2007 까지이다.

기존 차량에서 개선된 점은 기존의 크로스 시트에서 롱시트로 바꿔 혼잡 완화를 도모했고, 외형에서는 선두부 운전석 유리창 아래에 흰색 가로줄무늬를 빼곡히 넣은 알루미늄판을 장착, 전체적인 도장도 기존의 알루미늄의 은백색이 아닌 완전한 흰색을 입혔다. 차내에서도 원맨운행이 기본이었던 설계로 인해 제작되었던 반실 구조였던 운전실이 완전히 분리가 되었고, 지지대 손잡이에 미끄럼방지 그립을 설치, 화장실이 휠체어 대응이 된 점과 더불어 서양식으로 채용 되었다는 점이 특징이다.

3.5. 3000번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817_V300_09.jpg

가고시마 본선415계를 대체하기 위해 2012년, 2013년에 순차적으로 도입된 그룹. 편성번호는 V3001 ~ V3009까지이며, 대체적으로 2000번대를 기반으로 제작되었고, 817계에서 유일하게 3량 편성으로 되어있다.3량 편성이라서 3000번대가 아니다

롱시트 객실에, 대빵 큰대형 행선지 표시기, 선두부 알루미늄판 추가시공, 배리어프리 서양식 화장실 까지는 최신판이었던 2000번대와 동일하지만, 다른 편성들과는 다르게 가고시마 본선에서 다른 계열의 차량들과 같이 주행(연결 운행도 포함)을 하기 때문에 주행성능 및 브레이크 성능을 재조정하고, 당연하지만 원맨운행은 대응되지 않고, 815계에서 빠진 요댐퍼가 다시 부착된 본선용 817계라고 보면 된다.

4. 운행 노선구

위에서 나열한 편성 번호대와 별도로 소속 차량기지별로 도입된 편성번호가 왔다갔다 하는 바람에, 운행 노선구는 여기에 별도로 기술하도록 한다. 노선 운행구 및 소속 차량기지별로 측면 출입문 옆에 붙어있는 스티커의 색상이 다르다.


[1] 3000번대[2] 히타치 A-Train 공법[3] 3000번대[4] 후술 하는 3000번대를 제외함.[5] 815계도 인버터제어를 채용해서 전력 소모율이 낮아졌지만, 817계가 더 앞서 나간 효율을 보여줘서 여기서 밀렸다고 보는게 맞다.[6] 히타치제 인버터 사용 차량[7] 도시바제 인버터 사용 차량[8] 이 차량과는 구조가 비슷하면서도 다르다. 저것은 종점인 카라스야마역에 충전설비를 따로 놓고 충전하는 것이고, 이 차량은 무려 본선의 급전 시설과 가공전차선을 이용하여 충전한다. 거기다가 큐슈는 교류 20000V 60Hz로 전철화되어있기 때문에 직류로 변환하여 충전해야 한다.[9] 우리나라 돈으로 약 16억원에 달한다.[10] 두 노선에는 훗날 BEC819계가 도입되어 성공적으로 운행되고 있다.[11] 키하 220계 200번대와 813계 1100번대와 같은 물건이고, 표출색은 주황색 1종류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