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른 23여단에 대한 내용은 제23여단 문서
참고하십시오. 병합 토론 중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지상작전사령부 | ||
화력여단 · 정보통신여단 · 특수기동지원여단 · 지상정보여단 | |||
수도포병여단 | |||
I | 제1포병여단 · 제2기갑여단 · 제30기갑여단 · 제1공병여단 · 제1군수지원여단 | ||
II | 제2포병여단 · 제3기갑여단 · 제2공병여단 · 제2군수지원여단 | ||
III | 제3포병여단 · 제20기갑여단 · 제3공병여단 · 제3군수지원여단 · 제1산악여단 · 제23경비여단 · 제102기갑여단 | ||
V | 제5포병여단 · 제1기갑여단 · 제5기갑여단 · 제5공병여단 · 제5군수지원여단 | ||
VII | 제7포병여단 · 제7공병여단 | ||
육군본부 직할부대 | |||
수방사 | 제1방공여단 | ||
항공사 | 제1전투항공여단 · 제2전투항공여단 · 항공정비여단 | ||
특전사 | 제1공수특전여단 · 제3공수특전여단 · 제7공수특전여단 · 제9공수특전여단 · 제11공수특전여단 · 제13특수임무여단 | ||
{{{-2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 |||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제23경비여단 | |||||||||||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 |||||||||||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제23경비여단 第二十三警備旅團 The 23rd Security Brigade | ||||||
| ||||||
동해안 최전선에서 우리는 승리한다 | ||||||
창설일 | 1975년 8월 1일(제68훈련단) 1987년 4월 1일(제68보병사단) 1998년 12월 1일(제23보병사단) 2021년 9월 1일(제23경비여단) | |||||
상징명칭 | 철벽(鐵壁)부대[1] | |||||
소속 | 대한민국 육군 | |||||
상급부대 | 제3군단 | |||||
규모 | 여단 | |||||
역할 | 강원특별자치도의 동해안 해안 경계 | |||||
여단장 | 준장 임상진 (육사 49기) | |||||
위치 |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갈천동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육군의 경비여단. (구)제8군단 소속으로 창설된 여단.국방개혁 2020에 따라 2023년 5월 1일 (구)제8군단이 해체되어 제3군단으로 이관되었다.
국방개혁 2.0의 군비축소 대상이 된 (구)제23보병사단이 2021년 9월 1일 임무해제와 동시에 창설된 부대다. (구)제23보병사단은 해체 과정을 차차 밟아가면서 2021년 9월 1일 임무가 해제되면서 잔존부대로 남았다가 11월 30일 해체 이후 제23경비여단으로 재창설되었다.
2. 부대
2.1. 여단직할대
- 본부근무대
- 기동중대
- 군수지원대대
- 의무중대
- 전투지원중대
- 정보통신대
- 해안감시대
- 예비군훈련대
- 공병중대
- 화생방소대
2.2. 제1경비대대[2]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강동면에 위치- 1중대
- 2중대
- 3중대
- 4중대(화기)
2.3. 제2경비대대[3]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에 위치- 5중대
- 6중대
- 7중대
- 8중대(화기)
2.4. 제3경비대대[4]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에 위치- 9중대
- 10중대
- 11중대
- 12중대(화기)
2.5. 제4경비대대[5]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근덕면에 위치- 13중대
- 14중대
- 15중대
- 16중대(화기)
3. 출신 인물
3.1. 여단장
볼드체는 대장 진급이 된 여단장. |
역대 제23경비여단장 | |||||
역대 | 이름 | 계급 | 임관 | 비고 | 기타 |
초대 | 이봉철 | 준장 | 3사 25기 | 前 여단장 | |
2대 | 최용석 | 준장 | 학군 30기 | 前 여단장 | |
3대 | 임상진 | 준장 | 육사 49기 | 現 여단장 |
3.2. 장교/부사관
3.3. 병
4. 기타
4.1. 근무환경
강원도 동해안의 제일 끝자락에 위치하며 영동지방답게 겨울철에도 강원도 영서지방에 비해 기온이 높고 해안가에 위치하여 바람이 많이 분다. 따라서 강원도답지 않게 눈구경하기 꽤 힘들며 이에 제설작전의 필요성도 높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주둔지 바로 옆에 삼척해수욕장이 위치하여 주말이면 바닷가로 놀러오는 관광객들과 차를 많이 볼 수 있다. 아예 삼척해변역과 쏠비치 리조트 삼척이 붙어있을 정도. 차로 5분정도면 교동 시내로 갈 수 있어 근무환경 자체는 나쁘지 않은 편. 교동 자체가 큰 동네는 아니긴 하지만 이래봬도 시라서 있을만한 것들은 다 있다.
물론 위 해당사항은 여단 본부에 해당되는 이야기이고 여단의 해안 소초들은 케바케이다.
23사단 시절부터 해군 1함대와 공조가 깊었다. 다만 어째서인지 사이가 안 좋았다는 후문이..
그 외 사항들은 전신인 제23보병사단 문서 참조.
4.2. 여단가
찬란한 동해 일출 한 몸에 안고
태백의 굳센 정기 방패를 삼아
국토방위 핵심요충 지키는 부대
이겨놓고 싸우는 멋쟁이 강군
아아아 우리는 대한의 건아
영원히 빛나리 23경비여단
푸르른 동해 바다 가슴에 품고
우뚝 선 백두대간 울타리 삼아
불굴의 철벽투혼 키우는 부대
언제나 천하무적 멋쟁이 용사
아아아 우리는 대한의 건아
영원히 빛나리 23경비여단
- 23경비여단가
태백의 굳센 정기 방패를 삼아
국토방위 핵심요충 지키는 부대
이겨놓고 싸우는 멋쟁이 강군
아아아 우리는 대한의 건아
영원히 빛나리 23경비여단
푸르른 동해 바다 가슴에 품고
우뚝 선 백두대간 울타리 삼아
불굴의 철벽투혼 키우는 부대
언제나 천하무적 멋쟁이 용사
아아아 우리는 대한의 건아
영원히 빛나리 23경비여단
- 23경비여단가
기존 23사단가에서 23사단을 "23경비여단"으로 개사했다.
4.3. 부대 영상
5. 사건 사고
6. 여담
- 최근까지 폭설시 대민지원, 군장병 헌혈 등으로 부대 홍보를 했지만 최근 여단장이 바뀐후 팀단위 전투능력 강화, 해양경찰서 업무협약 등 군 전투능력강화 위주의 홍보를 하고 있다. (홍보방향을 잘잡은듯..)
- 군장병 면회시 여단에서 운영하는 "철벽레스텔"을 이용하면 가성비가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