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1-05 15:11:05

2017년 광주 시내버스 개편

1. 개요2. 역사3. 버스노선 개편 초안4. 노선 대개편 주요 내용5. 신설 버스노선 내역6. 시내버스 노선개편 내역7. 비판 및 논란

1. 개요

2017년 상반기에 시행한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노선 대개편을 다루는 문서이다.

시내버스 노선개편 광주광역시청 공지

2. 역사

3. 버스노선 개편 초안

해당 링크 참조

4. 노선 대개편 주요 내용

5. 신설 버스노선 내역

파일:external/dimg.donga.com/82082794.2.jpg
신설 마을버스 노선 내역

2018년, 이 중에 4개(서구763, 남구715, 북구777, 남구713)가 신설 되었다.

신설 노선 안건 중 마을2번(서구763), 마을3번(남구713), 마을5번(마을715), 마을6번(북구777)에 해당하는 노선들이 개통된 셈이다.

1개 마을버스 노선의 남구714(마을4번)운송사업자가 나라교통으로 모집되었으나, 경영난을 이유로 2년이 다 되가도록 신설 대기 중이다. 2020년 1월 18일부로 운행을 시작하였으며, 계획 3년만에 개통되었다.

대다수의 운행회사가 광주전남권을 연고로한 전세버스 회사(나라고속관광, 광남고속)들이 계열사를 설립해 운영하는 형태다.

나머지 마을1번, 마을7번, 마을8번의 운송사업자는 아직 모집되지 않은 듯 하다. 2020년 현재도 개통되지않아 사실상 무산된 듯 하다.

6. 시내버스 노선개편 내역

개편내역(1)
개편내역(2)
개편내역(3)

7. 비판 및 논란

이번 개편의 특이한 점은 광주광역시 시민들의 비판보다 인근 지자체들의 주민들의 비판이 더 크다는 것이다.

시계외 노선의 통·폐합으로 인하여 담양군화순군의 주민이 큰 불편을 겪고 있다. 통·폐합된 곳의 시내버스광주광역시 시내버스만 다녔던 곳이 대부분이었기 때문에, 통·폐합된 노선의 대체수단이 없어 발이 묶여있는 상황이다. 그 후 해당 군청에서는 부랴부랴 대체노선을 만들었지만, 대다수 구간이 광주광역시 생활권인 지역인데 각 시군의 시내 및 읍내로만 향하는 노선만이 신설되어 주민들의 불편함은 나아지지 않고 있다.

또한 상술했듯이 장성군에서도 불만을 크게 나타냈다. 결국 광주광역시 시내버스임에도 광주 시내 구간이 단축되고, 광주 시외 구간은 오히려 연장되는 일까지 일어났다.[8] 하지만 이러한 운형 형태가 지속되면서 쌓일 적자를 누가 감당하는지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봐야 할 문제다.[9]


[1] 이 노선은 184번과 통합되어 폐선되었다. 참고로 초안에는 184번이랑 통합하면 번호를 두암182번으로 변경하고 광신아파트 → 문화초교 → 동강대후문 → 말바우시장 순으로 편도 단선 순환회차하는 안이 있었다.[2] 진월177번은 시계외 노선 단축에서 제외되었고, 충효187번은 오히려 시내 구간(장등동 - 두암동)을 단축시킬려고 했다.[3] 대표적으로 첨단192번, 첨단193번, 송정197번이 다니는 장성군민들. 고속도로 설치 때도 참았는데, 이젠 광주가는 버스도 단축되냐?라고 크게 반대해 192번, 197번은 오히려 시내 구간이 변경 된 상태로 시외 구간을 존치하고, 193번은 오히려 남면사무소 까지 연장되었다. 솔직히 197번 같은 경우는 "학동(본량) - 인지" 구간에 대체노선이 없다! 게다가 100-x번대 노선들의 광주행 막차는 20시 30분이다.[4] 추가 설명을 덧붙히자면 장성군으로 나가는 모든 지선노선들의 평균 배차 간격이 2시간 30분 정도로 매우 열약하다. 담양군 같은 경우는 두암181번, 충효188번이 1대로 운행하지만, 용전84번은 4대, 용전184번, 충효187번은 3대로 운행한다. 그리고 화순군, 나주시 같은 경우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이 필요없다. 그나마 대촌170번, 진월177번의 배차 간격이 열약한 편이지만, 3대로 운행하기 때문에 그렇게 심각한 편은 아니다.[5] 화순 주도리 노선은 화순 버스 220번 신설되었다.[6] 그런데 그 마저도 일부 시간대 한정으로만 기존과 동일하게 운행한다.[7] 그런데 그 마저도 진곡산업단지로 연장된만큼 단축된 수준이라 사실상 운행거리는 "하남공단 ~ 나주터미널"시절과 별 차이가 없다.[8] 일각에서는 다른 지역의 주민의 교통을 광주광역시 시내버스가 책임지고 있다는 문제는 해당 군청이 미리 대책을 세워야 했던 부분이라는 주장이 있으나, 광주광역시전라남도 시내/농어촌버스가 광주시계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얼마나 반대하는지를 생각하면 이는 어불성설이다. 광주광역시 시내버스의 시외 구간이 보통 해당 지역에서도 광주와 인접한 지역(예컨대 장성군 진원면 및 남면, 나주시 노안면, 담양군 가사문학면, 대전면 등)이며, 이러한 지역들의 실질적인 생활권은 광주광역시라는 점을 감안하면 전라남도 시군 읍내/시내 방면 노선으로 해당 구간을 커버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지역 주민들에게 도움이 되지 못한다. 광주권 수부도시로서 이 정도 책임도 지지 않겠다고 한다면 이는 지역이기주의이다. 수도권 수부도시 서울특별시가 괜히 774번, 540번, 111번 등의 시외로 깊숙히 들어가는 노선을 존치시키고 있는 것이 아니다. 또한 2023년 나주시 시내버스 운행 중단 예고 사태에서 보듯, 전라남도 시내/농어촌버스는 적자가 매우 심각해 이를 지자체에서 다 메꾸어 줘야 하는데, 안 그래도 세수가 부족해 돈이 없는 지자체와 버스회사의 부담이 커질 수밖에는 없다. 즉, 주변 시군에서 노선을 급하게라도 마련하지 못하는 이유가 있는 것.[9] 단, 송정197번 건은 진짜로 광주광역시 쪽의 잘못이 더 크다. 상술했듯이 대체 노선이 없는 구간까지 시내버스 노선을 단축시키려고 했으니까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