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면사무소로 연장된 첨단193번과는 사창, 상무대 노선을 제외한 모든노선과 광역환승이 가능하다.
첨단192번과는 중앙여고(장성방향 100번), 운암동, 비아동, 남면사무소-마산 구간에서 광역환승이 가능하다.[7]
롯데백화점에서는 나주 160번, 인근 정류장인 대인광장(동), (북)에서 담양 322번을 이용할 수 있다. 경신여고(광주방향)에서는 담양 311번을 이용할 수 있다.[8][9] 단, 같은 전라남도 지자체 소속 시내/농어촌버스끼리는 광주광역시 시내버스와는 달리 광역환승이 인정되지 않으며, 기본요금이 다시 나간다. 100번을 타고 광주로 와서 이 노선들의 광주 내부 구간을 이용하려거든 비슷한 구간을 운행하는 광주광역시 시내버스를 이용하는 것이 낫다.[10]
[광주행] 광주 방면 평일: 1일 41회, 휴일: 1일 36회[장성행] 장성 방면 평일: 1일 39회, 휴일: 1일 35회[3] 광주 방향만 하루 한 번 경유.[4] 장성-비아:1500원, 장성-운암:2000원, 전구간은 2450원이다.[5]장성에서 광주를 가려면 승차 전에 기사에게 행선지를 알려주어야 한다.[6] 광주-장성 시외버스는 대인 기준 2,400원이기 때문에 싸게 장성이나 광주를 가려고 한다면[7] 남면사무소-마산구간은 마령100번.[8] 이는 같은 구간을 운행하는 순환01번, 좌석02번, 수완03번, 매월26번, 송암47번, 상무64번, 북구777번과 함께 장성군에서 유스퀘어까지 가는 시내버스 최단경로이기도 하다.[9] 일방로 구간에서는 불가능하나, 경신여고(일방로) 정류장에 내리면 311번 정류장이 지척이라 환승이 어렵지는 않다.[10]나주 160번의 경우에는 송정19번이 광주 구간 거의 전부를 똑같이 운행하지만, 기타 노선의 경우 완벽하게 병주하는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노선이 없는 경우가 많다.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문서의 문제점에서도 보듯이 전라남도 농어촌버스보다 선형이 나빠 소요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가 많으므로 빨리 가려면 그냥 돈 좀 더 내고 저 노선들을 이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11] 지금은 폐선되었고, 눈이 많이 올 때 올라가기 힘들어서 쓰지 않고 있는 도로여서 터널을 뚫고 지금의 호남고속도로가 만들어졌다.[12] 수완동 정류장과 수완자동차매매단지를 이용하거나 마을700번 버스나 수완12나 송암72번 버스를 이용하여 신창지구에서 내리거나 타는 게 낫다. 임방울대로 도천에서는 정류장이 없어서 갈 수 없다. 수완동 정류장에서 비아성당 정류장까지 정류장이 없다.[13]2024년 기준 장성에서 광주를 출발할 때 20분마다 배차간격이 있다.[단광,영신] 정류장을 거치지 않고 못재터널로 우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