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에 존재하는 택지지구}}}에 대한 내용은 [[전주 효천지구]]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전주 효천지구#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전주 효천지구#|]]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에 존재하는 택지지구: }}}[[전주 효천지구]]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전주 효천지구#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전주 효천지구#|]]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도심 | 충장로ㆍ금남로 | 상무지구 | ||
부도심 | 첨단 | 송정 | 백운 | 광주역 | |
지구중심 | 광천 | 하남 | 수완 | 금호 | |
효천 | 봉선 | 양산 | |||
일곡 | 운암 | 두암 | 화정 | ||
특화핵 | 대촌 | 송암 | |||
전략유보 | 군공항 | }}}}}}}}} |
광주광역시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효천지구 孝泉新都市 Gwangju Hyocheon New Town | }}} | |||
<colbgcolor=#ef4123><colcolor=#fff> 지역 | 광주광역시 남구 일원 | ||||
면적 | 1,613,168㎡ | ||||
계획 인구 | 27,000명 / 약 10,000세대 | ||||
하위 행정구역 | 송하동·임암동·행암동·매월동일부[1] | ||||
사업 시행자 | 한국토지주택공사 | ||||
| |
효천1지구 | |
| |
효천2지구 |
1. 개요
|
효천지구 |
2. 상세
효천역을 기준으로 서쪽이 1지구, 동쪽이 2지구로 나뉜다. 2지구가 먼저 완공되어 2014년 입주했고, 1지구는 공사 도중 유물발굴작업, 주변 임암마을과 땅 문제로 공사가 늦어졌다.광주공항이 완전 이전하지 않는 이상 광주 시내 마지막 신택지지구가 될 것으로 보인다. 1지구 13,000여명[2], 2지구 14,000여명 규모로 총 27,000여명의 미니신도시급 택지지구이다.
최근 2지구와 바로 옆 진월지구(노대동)의 인구가 증가하면서, 효덕동에서 분동이 추진되고 있다. 여론조사 결과 기존동을 진월동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신설동(진월동 일부, 행암동 일부, 노대동)을 효덕동으로 하는 것으로 확정되어 2021년 7월부터 시행된다. 이 과정에서 송암동에 소속되어 있는 행암동도 신설동에 편입시킬 계획이다. 신설동의 행정복지센터는 현재 효천LH천년나무7단지 인근에 계획된 문화센터에 같이 들어올 가능성이 높을 듯 하다.
3. 교통
4. 도로(지하차도)
뉴스데스크 2022.9.14 광주MBC 출퇴근길 교통지옥 '행암교차로' 공사 언제까지? |
드디어 2023년 01월 18일 임시개통되었다.
4.1. 철도
경전선 효천역이 지구 정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역 위치는 효천1지구 쪽에 붙어있기에 효천2지구는 접근성이 좀 떨어진다. 1번 국도 서문대로를 건너야 갈 수 있다. 다만 경전선 개량사업으로 인해 나주혁신도시를 경유하는 걸로 결정나면서 도시철도 2호선 효천역의 개통 2년 후, 효천역은 폐역될 예정이다.4.2. 광주 도시철도·광역철도
광주 도시철도 2호선 3단계 구간(효천선)의 종점 역인 효천역이 계획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1단계, 2단계 구간은 착공했지만 하도 사업비 상승 문제가 얽혀, 효천선은 착공되기는 할지 미지수인 상태이다. 다만 '광주-나주 광역철도'의 사업성을 높이기 위해 효천선과 연계하는 방안을 내놓고 있는 상황이며 만약 사업성이 충분히 확보가 된다면 효천선 역시 지어질 확률이 대폭 상승할 것이다.한편 광주광역시는 광주-나주 광역철도를 효천역을 경유하려 노력하는 중이다. 국토부는 증액을, 나주시 등은 드리프트를 우려하며 난색을 표하지만, 광주로선 대수요처인 효천역을 빼면 적자노선으로 큰 짐이 되므로 관철되지 않으면 사업할 가치가 아예 없어 차라리 무산이 낫다는 필사적인 상황이다.
4.3. 버스
4.3.1.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효천지구가 완공되어 가면서 버스들이 조금씩 늘긴 했다. 결과적으로 급행버스인 수완03번이 효천지구 내부를 구석구석 다니기 때문에 이용하기 매우 편리하다. 다만 간선버스는 어느 한 노선도 다니지 않는다.[3] 그리고 언뜻 보면 노선 수가 많아 보이지만, 거의 대부분 배차 간격이 처참하다. 그나마 수완03번, 송암68번, 마을715번, 999번[4]이 배차 간격 20분 안쪽이다. 나머지는 모두 20분 이상이다.- 급행버스
- 마을버스
4.3.2. 전라남도 시내/농어촌버스
5. 주거
5.1. 효천1지구
구역 | 단지명 | 세대수 | 입주 | 시공사 |
A1 | 광주효천1 LH1단지 | 710세대 | 2021년 7월 | |
A2 | 효천1지구 중흥S-클래스 리버티 | 610세대 | 2019년 10월 | |
A3 | 광주효천1 LH3단지 | 264세대 | 2020년 3월 | |
BL1 | 효천1지구 중흥S-클래스 에코시티 | 832세대 | 2019년 1월 | |
BL2 | 효천 시티프라디움 | 1,164세대 | 2019년 6월 | |
B3 | 효천1지구 중흥S-클래스 에코파크 | 695세대 | 2019년 1월 | |
5.2. 효천2지구
구역 | 단지명 | 세대수 | 입주 | 시공사 |
A1 | 효천 LH천년나무 6단지 | 532세대 | 2016년 5월 | |
A2 | 효천 LH천년나무 1단지 | 922세대 | 2014년 10월 | |
A3 | 효천 LH천년나무 2단지 | 324세대 | 2014년 7월 | |
A4 | 효천 LH천년나무 7단지 | 902세대 | 2017년 11월 | 동양건설(주) |
B1 | 제일풍경채 에듀파크 1단지 | 270세대 | 2015년 2월 | |
B2 | 효천 남해오네뜨 2단지[5] | 266세대 | 2014년 5월 | |
B3 | 효천 남해오네뜨 1단지[6] | 461세대 | 2014년 5월 | |
B4 | 제일풍경채 에듀파크 2단지 | 430세대 | 2015년 2월 | |
B5 | 브라운스톤 효천[7] | 521세대 | 2017년 6월 | |
S1 | 광주효천 중흥S-클래스 | 662세대 | 2015년 7월 | |
6. 상권
6.1. 효천2지구
효천2지구의 아파트 단지들이 동서로 길게 발달된 것에 비해 상업지역이 중앙에만 몰려있어 천년나무7단지(행복주택), 중흥S클래스 사람들은 상업지역으로 가려면 1km를 걸어가야 한다. 차를 타고 가야해서 조금 불편함을 겪을 듯 싶다. 그래도 건물부지 중 하나만 비어있고, 나머지는 건물들로 꽉 차있다.- 카페
메가커피 광주효천2지구점 (광주 남구 효우2로 34)
파스쿠찌 광주효천점 (광주 남구 효우2로26번길 6)
청자다방 광주효천점 (광주 남구 효우2로26번길 10)
드롭탑 효천2지구점 (광주 남구 효우2로26번길 12)
이디야 광주효천점 (광주 남구 효우2로26번길 7 백두타워 1층 102호)
- 편의점
세븐일레븐 광주효천제일점 (광주 남구 효우2로 48)
CU 효천2지구점 (광주 남구 효우2로 26)
CU 광주효천점 (광주 남구 효우2로 92)
CU 효천천년나무점 (광주 남구 효우로 260 효천엘에이치천년나무1단지아파트)
CU 광주행암행복점 (광주 남구 행암길 9 효천엘에이치천년나무7단지)
- 마트
와이마트 효천점 (광주 남구 효우2로 38)
빅스포마트 효천점 (광주 남구 효우2로26번길 3)
G마트 효천2지구점 (광주 남구 효우로 332-12)
다이소 광주효천점 (광주 남구 효우2로26번길 3)
블랙데이 식자재마트(광주 남구 효우로 200)
- 은행/ATM
광주축산농협 효천행암지점 (광주 남구 효우2로 26)
KJB광주은행 효천지점 (광주 남구 효우2로 30)
- 도서관
효천어울림도서관 (광주 남구 효우로 208 효천생활문화센터 4층)
6.2. 효천1지구
해당 문서 참고.7. 인근 시설
효천역에는 광주 도시철도 2호선이 들어올 예정이다. 3단계 구간으로 2025년에 개통예정이다. 그 외에도 광주의 명문 남고인 인성고등학교가 위치하고 있다. 그 외에도 광주대학교, 송원대학교와 가깝다.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가 차로 10~15분 거리에 위치해있다. 한편,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에 살고 싶지만 인구에 비해 인프라가 부족하여, 광주광역시에 자리를 잡으려고 하는 사람들도 많은데, 본인의 직장과 가까우면서도 광주 내에서도 빠르게 주파할 수 있는 지역으로 효천지구가 각광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