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5 15:17:18

2003 대구 하계 유니버시아드


파일:FISU 엠블럼.svg 역대 하계 세계대학경기대회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rowcolor=#202020,#DFDFDF> 1회 2회 3회 4회 5회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국기(1971–1990).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1959
토리노
1961
소피아
1963
포르투알레그리
1965
부다페스트
1967
도쿄
<rowcolor=#202020,#DFDFDF> 6회 7회 8회 9회 10회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국기(1971–1990).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1970
토리노
1973
모스크바
1975
로마
1977
소피아
1979
멕시코시티
<rowcolor=#202020,#DFDFDF> 11회 12회 13회 14회 15회
파일: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1981
부쿠레슈티
1983
에드먼턴
1985
고베
1987
자그레브
1989
뒤스부르크
<rowcolor=#202020,#DFDFDF> 16회 17회 18회 19회 20회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1991
셰필드
1993
버팔로
1995
후쿠오카
1997
시칠리아
1999
팔마
<rowcolor=#202020,#DFDFDF> 21회 22회 23회 24회 25회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태국 국기.svg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2001
베이징
2003
대구
2005
이즈미르
2007
방콕
2009
베오그라드
<rowcolor=#202020,#DFDFDF> 26회 27회 28회 29회 30회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2011
선전
2013
카잔
2015
광주
2017
타이베이
2019
나폴리
<rowcolor=#202020,#DFDFDF> 31회 32회 33회 34회 35회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국기.svg
2021
청두
2025
라인-루르
2027
충청
2029
노스캐롤라이나
미정
<rowcolor=#373a3c> 둘러보기 : 역대 동계 세계대학경기대회 }}}}}}}}}
제22회 하계 유니버시아드
XXII Summer Universiade
파일:2003 대구 하계 유니버시아드 로고.svg
대회 기간 2003년 8월 21일 ~ 8월 31일
개최 국가/도시 대한민국/대구광역시
유치 확정일 2000년 7월 14일
참가국 174개국
경기 종목 13종목
개회 선언자 노무현
대한민국 대통령
주경기장 대구월드컵경기장
마스코트 파일:2003 대구 하계 유니버시아드 마스코트.svg
드리미

1. 개요2. 종목 및 경기장3. 역대 조직위원장4. 이모저모5. 관련 문서

1. 개요

2003년, 1997 무주·전주 동계 유니버시아드 개최 이후 6년 만에 대한민국 대구광역시에서 개최된 하계 유니버시아드 대회. 개회 연설은 노무현 대통령이 하였다. 174개국 4,179명의 선수가 참가한 대회.

한국에서 개최된 두 번째 유니버시아드이며, 하계 대회로만 보면 첫 번째다.

주제가는 보아가 부른 '함께 내일로'였다.

2. 종목 및 경기장

당시 안내 기사

3. 역대 조직위원장

조직위원장은 대구시장이 도맡아 했다.

4. 이모저모

5. 관련 문서


[1] 1986 서울 아시안 게임, 1988 서울 올림픽 당시 축구 경기 일부가 열렸던 곳이기도 하다.[2] 경주시민운동장[D] 두류공원 내 소재[D] [5] 이에 맞추어 동변초등학교와 동변중학교가 개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