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2-25 20:47:53

흉할 흉에서 넘어옴
흉할 흉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2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4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キョウ
일본어 훈독
-
-
표준 중국어
xiōng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상대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凶은 '흉할 흉'이라는 한자로, '흉(凶)하다', '흉악(凶惡)하다' 등을 뜻한다.

2. 상세

파일:hyunghalhyung.gif
凶의 획순
파일:hyunghalhyung2.jpg
凶의 자형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흉하다
중국어 표준어 xiōng
광동어 hung1
객가어 hiûng
민북어 hé̤ng
민동어 hṳ̆ng
민남어 hiong
오어 xion (T1)
일본어 음독 キョウ
훈독 -
베트남어 hung

강희자전에는 135페이지에 수록되어있다.

지사자이다. (입 벌릴 감)과 㐅(다섯 오[1])가 합쳐진 모양을 하고 있다. 속이 빈 함정(凵)의 틈(㐅) 사이로 빠져 '운수가 나쁘다' 또는 '흉하다'를 나타내게 되었다.

한자어 말고도 '흉하다'라는 동사에도 凶이 사용된다.

비슷한 걸로 兇(흉악할 흉[2])이 있는데 이것은 '원흉(元兇)'이라는 단어에만 사용된다. 참고로 '흉악'이라는 단어에는 凶과 兇이 공통으로 쓰인다.(凶惡, 兇惡)[3]

이체자로 㐫과 㓙이 있다.

유니코드는 U+51F6에 배정되어있다. 창힐수입법으로는 UK(山大)로 입력하고, 주음부호로는 ㄒㄩㄥ로 입력한다.

신증유합(1579)에서는 ‘구즐 흉’으로, 새김을 ‘궂다’로 하였다.

한때 콘솔 게임기인 엑스박스를 나타내는 은어로 쓰이기도 했다. 초창기 엑스박스의 디자인이 이 한자와 매우 유사했기 때문.

3. 용례

3.1. 단어

3.2. 인명

3.3. 지명

3.4. 창작물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五의 고자.[2] 한자검정시험에서는 1급으로 분류된다.[3] 대만에서는 "운수가 나쁜"이라는 뜻에만 凶이라 쓰고, "흉악한"은 兇으로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