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28 17:17:29

화계역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이름이 비슷한 수도권 전철 7호선의 역}}}에 대한 내용은 [[하계역]]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하계역#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하계역#|]]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이름이 비슷한 수도권 전철 7호선의 역: }}}[[하계역]]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하계역#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하계역#|]]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화계역
파일:UiLine_icon.svg
역명 표기
우이신설선 화계
Hwagye
華溪 / 华溪 / [ruby(華渓, ruby=ファゲ)]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삼양로 341 (수유동 472-678)
운영 기관
우이신설선 우이신설경전철운영(주)
개업일
우이신설선 2017년 9월 2일
역사 구조
지하 1층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4. 연계 버스5. 일평균 이용객6. 승강장7. 사건 사고8. 기타9. 둘러보기

1. 개요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S114번. 서울특별시 강북구 삼양로 341 (수유동 472-678) 소재.

2. 역 정보

파일:L5.png
조감도
파일:L05.jpg
역 안내도

역세권 형성에 따른 화계사입구사거리 인근 주거 및 유동인구 이용계획을 고려하여 역이 만들어졌다. 시공사는 두산건설이며, ㈜유신에서 책임감리를 맡았다.

1번 출입구는 캐노피, 2번 출입구는 지상역사로 지어졌으며, 지상에서부터 타는 방향이 결정되는 바로타 구조이다. 이는 이 역부터 종점인 북한산우이역 사이에 있는 모든 역이 해당된다. 1번 출구가 북한산우이역 방면, 2번 출구가 신설동역 방면이며, 승강장 아래에 반대방향 연결통로가 있다.

근처에 화계사라는 사찰이 있어, 화계사역으로 해도 될 것 같지만 정작 화계사에서는 전단지를 배포해 화계역을 밀었다고 한다. 역명 주민 선호도 조사에서는 1. 화계사입구, 2. 화계사, 3. 한신대입구, 4. 화계, 5. 화계사입구사거리, 6. 빨래골, 7. 북한산 등의 안이 나왔으며, 강북구 지명위원회 심의결과 화계역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결정되었다. 서울시 지명위원회에서도 화계역을 최종역명으로 확정. 6호선 보문역과 9호선 봉은사역처럼 사찰이름이 역명으로 들어갔다.[1]

3. 역 주변 정보

수유1동성당이 1번출구 바로 옆에 있으며, 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이 인근에 위치한다. 한신대학교가 오산으로 이전하기 전까지는 본 캠퍼스였다. 화계역에서 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정문까지는 약 360m 정도 떨어져 있다. 덕릉로를 따라 동쪽으로 조금만 걸으면 수유역 상권이다. 4호선 수유역과는 도보 13분 정도로 가까운 편이다.

4. 연계 버스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수유보건지소(09157) ||
간선
지선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수유보건지소(09156) ||
간선
지선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화계사입구사거리(09141)/송암교회.화계사거리.수유보건지소(09590) ||
간선
지선
마을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화계사입구사거리(09140) ||
간선
지선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송암교회.화계사거리.수유보건지소(09803) ||
마을

5.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b7c450><bgcolor=#b7c450> 연도 || 파일:UiLine_icon.svg ||<bgcolor=#b7c450> 비고 ||
2017년 5,244명 [2]
2018년 6,000명
2019년 6,475명
2020년 5,156명
2021년 5,481명
2021년 6,066명
2023년 6,635명
2024년 6,885명
출처
서울열린데이터광장
국토교통부 철도통계[3]

6. 승강장

가오리
삼양
파일:UiLine_icon.svg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가오리·4.19민주묘지·솔밭공원·북한산우이 방면
삼양·솔샘·성신여대입구·신설동 방면

7. 사건 사고

8. 기타

과거 금강산선에도 동명의 역이 있었다. 다만 금강산선 화계역의 한자는 花溪로 이 역의 한자인 華溪와는 다르다.

직선거리로 약 5km 떨어진 곳에 이름이 비슷한 서울 지하철 7호선 하계역이 있다. 로마자 표기도 'Hagye' 로, 철자 하나 차이이다.


[1] 참고로 해당 역 인근 버스정류장 이름은 화계사입구였고, 터줏대감 동아운수 151번의 전신인 84번 버스의 종점이 이곳이었을 무렵의 행선판 역시 화계사-중대앞이었다.[2] 개통일인 9월 2일부터 12월 31일까지 121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3] 2023년~

9. 둘러보기

파일:UiLine_icon.svg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