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2 08:29:44

혼수

혼수상태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미국의 남성 모델 및 남성 배우에 대한 내용은 자이먼 혼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가장 좁은 의미의 혼수는 coma라는 영어로 번역될 때처럼 가장 심한 의식 장애, 즉 살아 있지만 죽은 것과 비슷한 상태[1]를 의미한다. 넓은 의미로는 가벼운 의식장애에서 가장 심한 의식 장애까지 의식의 변화 모두를 의미한다.

또 착란, confusion 상태를 의미하기도 한다. 이렇게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므로 특히 의학적으로 사용할 때에는 그 의미에 유의하여 정확하게 사용하여야 한다.

영어로는 coma. 의식불명이라고도 한다. 의식수준을 사정하는 척도인 GCS(Glasgow Coma Scale, 글라스고 혼수척도)는 E(Eye, 눈뜨기 반응), M(Motor, 운동반응), V(Verbal, 언어반응)의 3가지 영역에서 영역별 점수를 사정해 합계한 점수로 대상자의 의식수준을 사정하는데, 각성(alert)-기면(drowsy)-혼미(stupor)-반혼수(semicoma)-혼수(coma)의 5단계로 나뉜다.[2] 병원에서는 보통 GCS 7~8점 이하를 혼수상태로 본다.

보통은 몇 주 이내로 깨어나지만, 수개월에서 심각한 경우 수년 에서 수십년 동안 지속되기도 한다. 27년 동안 혼수 상태에 빠졌다 깨어난 아랍 에미리트 여성의 사례 혼수 상태에 빠져있는 기간이 길수록 환자는 식물인간 상태가 되거나 뇌사, 사망할 확률이 상승한다.

1.1. 원인

이러한 혼수 및 의식 혼탁을 일으키는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뇌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광범위한 병적인 변화(혹은 뇌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대사질환)에 의한 경우, 뇌종양이나 뇌부종 등으로 인해 뇌탈출(뇌헤르니아)이 발생하여 뇌줄기(숨골, 뇌간)가 압박을 받는 경우, 그리고 각성 상태의 유지에 필요한 뇌줄기 및 시상에 발생한 다양한 병적인 변화에 의해 혼수 및 의식 혼탁이 발생할 수 있다.

크게 나누면 뇌병변 장애가 문제가 되는 경우와 뇌병변 장애 외의 원인이 문제가 되는 경우로 나눌 수 있으며 뇌병변 장애 외의 원인이 되어 일어나는 혼수로는 당뇨성 혼수, 간성 혼수, 요독증 등이 있다. 뇌병변 장애 외의 원인으로 일어나는 혼수는 '대사성 혼수'라 하며 영어로는 metabolic coma라고 한다.

환자가 혼수에 빠졌을 때 뇌병변 장애로 인한 혼수 인지, 대사성 혼수인지를 감별하는 것은 당사자인 환자와 의사에게는 엄청나게 중요하다. 치료 방법이 전혀 다르기 때문이다.

1.2. 여담

혼수를 영어로 하면 coma인데 coma의 형용사 형은 comatose이며 comatous가 아니다.

필요할 경우 약물을 이용해 환자를 일부러 혼수 상태에 빠트리기도 한다. 주로 고통을 덜어주거나 환자의 자연적인 회복 속도를 극대화 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멋진 신세계의 코마가 여기서 나왔다.

1.3. 관련 문서

2.

타국어 표기
영어 Bride price
중국어 婚需
프랑스어 Dot
러시아어 приданое(쁘리다노예)
독일어 Mitgift
스페인어 Los Dote
튀르키예어 çeyiz(체yㅣ즈)
인도네시아어 mas kawin
에스페란토 Doto

결혼할 때 들어가는 준비물 또는 자금을 말한다.

역사적으로 동서고금 농경사회에 자주 나타나는 문화로 산업화 사회에 진입한 곳에서 지금도 오랜 전통을 가진 집안에는 남아있다. 다만 한국사에서 고구려만 해도 돼지고기와 술만 신부에게 주고, 재물을 받는 일을 신부를 노비처럼 팔아넘기는 것으로 느껴 꺼렸다는 기록이 있을 만큼 초기 농경 사회에서는 별로 좋아하지 않다가, 고려시대 정도 되자 많이 사치스러워졌다고 한다. # 외환위기 이후 집 등 혼수를 장만하다가 빚을 지게 되는 허니문푸어가 생겨나고 있다.

한국에서는 오랫동안 남성을 마련해오고 여성은 살림살이를 장만해온다는 인식이 강했으나, 2010년대부터 높은 집값과 청년실업, 양성평등, 결혼에 대한 기피 현상으로 이러한 인식이 많이 없어졌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예비 사위쪽에서 무조건적으로 집을 장만해오라는 틀딱 책임전가들이 많은게 현실이다.

과거의 여성의 혼수는 인도지참금과 같은 제도였다. 만일 혼수가 시집식구들의 마음에 차지 않으면 시집살이를 더 가혹하게 시키는 등 학대를 당했다고 한다. 그래서 을 시집 보낼 때는 우리 딸 잘 봐달라며 빚을 내서라도 좋은 것을 주면서도 시가 식구에게 굽신거린 경우가 있었다. 또한 혼수를 마련하지 못해서 시집을 가지 못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당시에는 노처녀가 많으면 사회적 골칫거리로 여겼던지라 나라에서 직접 혼수용품을 보조해준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과거에는 여성이 남성의 집에 들어가 살기만하면 되었으므로 남성은 따로 집을 마련하지 않아도 되었지만, 현대에는 이촌향도 현상으로 핵가족화가 진행되며 과거 주거지를 제공했던 남자가 자연스레 집을 구하게 되었다. 또한 집값의 폭등으로 인해 오롯이 남성만의 힘으로 집을 구하지 못하게 되자 혼수 대신 집을 함께 구매하는 경우도 있는 등 혼수문화가 달라진 부분이 있다. 그래서 핵가족화가 진행된 이후로는 대출을 받아 같이 갚아나가는 형태도 나타났다.

중국에서는 1980년대 이후 출생한 세대(80後 ; 바링허우)가 결혼할 때 남성이 신혼집을 마련하고 여성의 집안에 예물을 보내는데, 가난한 집안의 남성들은 돈이 부족해 이조차 못하는 일이 많아 결혼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돈이 없어도 결혼하고 싶은 일부 남성들은 '꼭 집이 있어야만 하냐, 예물을 줘야만 하냐?'고 볼멘소리를 하고, 절대다수의 여성들은 '어차피 우리가 챙기는 게 아니라 신혼집에 가구를 들이는 거고, 그 정도 돈도 없어서야 가족을 어떻게 먹여살리려고 결혼을 한다고 하느냐!'고 하여 이러한 문화는 아직도 많이 바뀌지 않았다. 바링허우 세대의 부모 세대가 '집 없이는 결혼도 없다.'고 확고하게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것이 국가에서 집을 싸게 혹은 공짜로 공급받았을 과거의 때라면 금전적으로 큰 부담이 되지 않았지만, 시대가 달라져버렸고 집값이 한참 비싼 대도시 지역에서도 이러니까 골칫덩어리인 것이다.

1959년 일본 아키히토 황태자태자비로 시집간 쇼다 미치코는 어마어마한 양의 혼수를 싸들고 갔다. 대형 트럭 몇 대로 실어나를 양이었으며, (당연히) 크고 아름다운 금액이었다.[3] 세월이 흘러 1990년 미치코 황후의 작은아들 후미히토 황자에게 시집 온 가와시마 키코도 혼수깨나 들고 시집왔다. 당시 키코는 가족들과 함께 가쿠슈인 대학 교직원[4]용 아파트에 살고 있었는데, 혼수품을 보관해 둘 공간이 없어 애를 먹었다고 할 정도였다. 그러나 그렇게 어마어마하게 싸들고 시집왔어도, 그녀들은 일본 황실 특유의 매운 시집살이를 면하지 못했다(...).

서양결혼을 가족 간의 결합보다 개인의 결합으로 보는 인식이 강하기에 집안에서 보태주는 경우가 잘 없어서 혼수를 여자가 마련해온다는 인식은 거의 없다. 그 대신 집이고 뭐고 부모님에게 절대 손 벌리는 경우가 없고 전부 은행 대출로 해결해야 하고 나라에 따라 다르지만 2000년대 이후로는 대도시 지역의 집값이나 월세비가 젊은층들에게 하도 비싸다보니 부모가 집값의 일부를 분담해주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미국에서 시도때도 없이 주택저당대출을 50대까지 끌고 가는 거 볼 수 있다. 서로 합의해서 알아서 준비하는 경우도 있으나 없다고는 못 한다. 특히 상류층이 그렇다. 아무래도 경제적 사정이 여유로우면 한국의 중산층-빈곤층처럼 결혼준비과정에서 고민하거나 충돌할 일이 없다.[5]. 한편 서양은 결혼을 안 하고 동거 형태로 사는 경우도 많아서 상황이 다르다.

미국에서는 신부 가족이 결혼식 비용 일체를 부담하는 것이 관례인데,부럽다. 신랑의 아버지가 주례(주로 목사) 비용을 부담하는 것 외에는 모든 준비를 신부측이 한다고 한다. 결혼식 당일 비용은 신부 가족이 대지만 리허설(전날 결혼식 하객보다 조금 작은 규모로 만찬을 가진다) 비용은 신랑 가족이 댄다. 사실 이게 가능한 이유는 미국은 극심한 여초 국가이기 때문이다.(반대로 중국은 극심한 남초 국가라서 신랑 가족이 결혼식 비용 일체를 부담한다.) 예물의 개념은 없는 대신 청혼할 때 약혼 반지를 예비 신랑이 사야 하는데 보통 이게 비싸다.

반대로 인도, 아프리카 등에선 아예 지참금을 마련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중동 이슬람 무슬림권에서는 역으로 남성측에서 지참금을 준비해서 여성에게 준다.[6]

3. Warhammer 40,000카오스 스페이스 마린 Honsou

혼수(Warhammer 40,000) 문서로.


[1] 식물인간, 뇌사 근접 코마 상태 등[2] 실제 병원 현장에서는 해당 5단계에 각성과 기면 사이의 수준인 혼돈(Confused) 상태를 추가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3] 그녀의 친정이 닛신 제분이라는 대기업을 운영하고 있는 재벌가였기에 가능한 일이었다.[4] 아버지 가와시마 타츠히코(川嶋辰彦)가 가쿠슈인 대학 경제학부 교수였다.[5] 다만 상류층이면 정략결혼이 많다. 어마어마한 재산을 혼인 잘못해서 날려먹어버리면 곤란하니까(...). 빈곤층 및 중산층은 당연히 자유연애, 연애결혼이다.[6] 혼인하려면 몇년치 급여에 해당하는 거금이 필요하기 때문에 국제결혼을 하면 이슬람 국가의 혼인 관례인 지참금이 없어도 되니까 외국여자에 환상을 가져 헌팅, 성추행, 성폭행성범죄를 저지르는 치한들이 대단히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