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일본 국도 번호,n=16)] 16번 국도 현행도로 · 대체우회도로 | ||||
<nopad> {{{#!wiki style="margin: -5px 0;" | <tablealign=center> | 호도가야바이패스 保土ヶ谷バイパス Hodogaya By-pass | }}} | |
<bgcolor=#fff,#222> {{{#!wiki style="width: 100%; padding: 0; margin: -5px 0;" | 요코하마-요코스카 도로 ← 横浜横須賀道路 | 야마토바이패스 大和バイパス → |
노선 번호 | |
고속도로 번호 없음 (국도 번호 16 사용) | |
기점 | |
카나가와현 요코하마시 (신호도가야IC) | |
종점 | |
도쿄도 마치다시 | |
연장 | |
11.8 km | |
최초 개통일 | |
1973. 4. 17. | 신호도가야IC - 혼무라IC |
관리 | |
국토교통성 | |
왕복 차로 수 | |
4차로 | 카미카와이IC - 종점[1] |
6차로 | 신호도가야IC - 카미카와이IC[부가차로] |
주요 경유지 | |
요코하마 ↔ 마치다 |
1. 개요
16번 국도의 대체우회도로이자 자동차전용도로로, 고속도로 안내 번호는 붙어있지 않으며 NEXCO 동일본이 아닌 국토교통성 관리 구간이지만, 거의 고속도로에 준하는 취급을 받는 도로다. 실제로 도로 규격은 사업 당시 고속도로 규격 A-3, 즉 현재의 고속도로에 준하는 제1급 제3종(80 km/h)으로 시공된 바 있다.본 도로의 역할은 요코하마 시내로 향하는 수도고속 카나가와3호 카리바선[3]과 도메이고속도로를 잇는 역할로, 케이힌의 주 항만이자 메인 부두인 요코하마항 혼모쿠부두로부터의 육상 화물 수송, 요코하마와 서일본 방면의 연계 등은 물론, 16번 국도 축의 로컬 교통까지 전부 처리하다보니 고속자동차국도와 도시고속도로가 아닌 도로 중에서는 교통량 1위[4]이며, 전체 1위인 도시고속도로 수도고속 완간선[5]과 1, 2위를 다투는 구간이다. 당연히 지정체도 자주 일어나는 편인데, 대형차량 비율도 매우 높아(29.2%) 출퇴근 시간대에는 30~40km/h의 주행속도를 기록하는 편이다. 따라서 이를 우회시키기 위한 노선으로 수도고속 카나가와7호 요코하마북서선 등이 정비되기도 하였고, 이걸로도 모자라 수도권중앙연락자동차도를 구성하는 요코하마환상남선 사업도 진행 중에 있다.
2016년 4월 23일 이전까지는 도메이요코하마마치다IC를 종점으로 했다. 그런데 요코하마마치다IC 진출입 차량이 너무 많은 반면, 연결되는 야마토바이패스 방면이 바로 평면교차로가 있는 일반도로로 접속되는 탓에, 정체가 도메이고속도로 본선에까지 이를 정도였다는 문제가 있었고, 마치다 부근의 주민들이 특히 이 부분에서 불편함을 겪곤 했다. 이에 개선 사업이 이루어져, 2016년 4월 24일 미나미마치다키타교차로 부근[6]까지의 연장이 이루어졌다. 이 사업은 연결되는 야마토바이패스의 마치다입체사업(입체교차로화)의 일부로 진행되었는데, 야마토바이패스의 나머지 구간은 일반도로인 반면 입체교차부는 자동차전용도로인 호도가야바이패스를 연장하는 형태로 연장되었기 때문에, 이 연장 구간의 안내는 호도가야바이패스로 이루어지며, 관리 역시 호도가야바이패스에 준해서 취급되고 있다.
2. 구성
신호도가야IC - 카미카와이IC 구간은 왕복 6차로(일부 부가차로 있음), 이외 구간은 요코하마마치다IC 구내(왕복 3차로)를 제외한 왕복 4차로 구간이다. 최고제한속도는 기본적으로 80km/h지만, 기종점 부근에서는 60 또는 70km/h의 감속 제한이 걸리게 되어 있다.전 구간이 무료이며, 국도의 지정구간(직할국도)이므로 국토교통성 간토지방정비국 요코하마국도사무소에서 관리 업무를 수행한다.
3. 구간
||<-7><bgcolor=#fff,#222>
요코하마시 구간은 카나가와현의 표기를 생략한다. ||
<rowcolor=#fff,#fff> 소재지 | <colbgcolor=#fff,#222> 이름 | 접속 노선 | 비고 | 이정 (km) | |
[include(틀:일본 고속도로 번호,n=E16)][include(틀:일본 국도 번호,n=16)] 요코하마-요코스카 도로 (16번 국도)와 연결됨 | |||||
요코하마시 | 호도가야구 | 신호도가야IC 新保土ヶ谷IC | [include(틀:일본 고속도로 번호,n=E16)][include(틀:일본 국도 번호,n=16)] (연결) [include(틀:일본 고속도로 번호,n=E83)][include(틀:일본 국도 번호,n=1)] | 0.0 | |
신사쿠라가오카IC 新桜ヶ丘IC | 17 | 0.7 | |||
아사히구 | 미나미혼주쿠IC 南本宿IC | 시도시키미다이 406호선 시도호도가야-후타마타가와선 | 2.6 | ||
혼무라IC 本村IC | 40 | 3.6 | |||
시모카와이IC 下川井IC | 45 | 6.2 | |||
카미카와이IC 上川井IC | [include(틀:일본 국도 번호,n=16)]야마토BP [include(틀:일본 국도 번호,n=16)]현행도로[8] 시도고칸메 33호선[9] | 8.7 | |||
미도리구 | 요코하마마치다IC 横浜町田IC | [include(틀:일본 고속도로 번호,n=E1)] | [10] | 10.2 | |
도쿄도 마치다시 | (미나미마치다키타교차로 부근) (南町田北交差点付近) | [include(틀:일본 국도 번호,n=16)]야마토BP (연결) | 종점 방향 합류 신호 있음 | 11.8 | |
[include(틀:일본 국도 번호,n=16)] 16번 국도 야마토바이패스와 연결됨 |
[1] 요코하마마치다IC 구내 3차로[부가차로] 일부 부가차로 있음[3] 개통 당시는 요코하마신도 경유 수도고속 카나가와2호 미츠자와선[4] 147,355대/일(2021)[5] 152,330대/일(2021)[6] 정확히는 교차로 직전에 야마토바이패스와의 합류신호가 있는 지점(종점)까지[7] 요코하마시도 환상2호선으로, 요코하마시도이나 카나가와현 주요지방도로 지정되어 도도부현도처럼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8] 하치오지가도[9] 구 16번 국도 지정해제 구간(하치오지가도 일부)[10] 일부가 도쿄도 마치다시에 걸쳐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