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06:38:35

허리케인(에버랜드)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에버랜드/시설
,
,
,
,
,

파일:에버랜드 로고 화이트.svg[b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colbgcolor=#ff6610><colcolor=#fff> 허리케인
Hurricane
파일:에버랜드 허리케인.jpg
소재지 에버랜드 아메리칸 어드벤처
제작사 HUSS
종류 Frisbee
개장 1996년 1월 20일[1]
운행 시간 약 2분
탑승인원 40명
최고 속도 67km/h[2]
어트랙션 높이 20m
최고 높이 19m
최고 각도 83°[3]

1. 개요2. 특징3. 이용 안내4. BGM5. 운행 영상6. 여담

[clearfix]

1. 개요

1인칭 탑승 영상
미국 서부 시대 한 마을을 덮친 허리케인...
오늘 초대형 폭풍 허리케인과 함께 하나가 된다!
19미터 높이에서 회전하는 메가톤급 회오리 속에 몸을 맡겨 보는거야!!
에버랜드의 놀이기구 중 하나로, 제작사는 독일의 HUSS. 원형의 승물이 지상 19미터 높이에서 바이킹처럼 움직이며 회전하는 프리스비형 어트랙션이다.

2. 특징

보통의 프리스비 어트랙션들[A]은 위에 있는 모터로 동력을 받아 움직이는 반면에, 허리케인은 바이킹처럼 아래에 있는 타이어가 움직이면서 만들어내는 동력으로 움직인다. 이 때문에 다른 프리스비 어트랙션들[A]은 시속 80km ~ 120km의 속력으로 360도를 돌거나, 90도 이상 둔각까지 올라가 120도가 한계인데, 허리케인만 겨우 시속 67km의 속력으로 예각인 83도에서 한계를 찍는 것이다. 국내의 타 프리스비 기종의 어트랙션들[A]과 비교하면 스윙 각도 및 속도, 높이 등이 열세이지만, 허리케인은 횡방향으로 돌아가는 속도가 훨씬 빠르다. 따라서 등과 내장이 좌석으로 붙는 느낌을 강하게 받으며, 어지럼증 유발도 더 심하다. 또다른 차이점으로는 타 프리스비 기종의 어트랙션들은 바닥이 없이 탑승객이 바깥쪽을 보도록 디자인 되어있지만, 허리케인은 바닥이 존재하고, 탑승객이 회전축을 보도록 디자인 되어있다.

에버랜드에서 피터팬, 렛츠 트위스트, 더블 락스핀의 캐스트들과 함께 입담이 좋은 캐스트들이 많은 것으로 유명하다.[7] 2023~2024년에 들어서는 멘트에 맞추어 꽹과리와 북을 쳐주기도 한다.

3. 이용 안내

신장 130cm 이상부터 이용할 수 있는 어트랙션으로, 챔피언쉽 로데오, T 익스프레스와 같은 수치다.

정원은 총 40명으로 회전율은 좋은 편. 다만 평소 한산할 때에는 항상 끝자리를 뺀 39명만 태우고 운행하는데, 왜인지는 불명이다.

또한 에버랜드 정문에서 가장 가까이 있는 어트랙션이기 때문에 손님들이 입장하자마자 허리케인을 타는 경우가 많아 대기시간은 T 익스프레스로스트 밸리 못지 않게 길다. 낮 시간대에는 많이 빠지는 편인데 밤에는 손님들이 나가기 전에 타고 나가자는 마음으로 몰리기 때문에 대기시간이 급속도로 늘어난다. 특히 문라이트 퍼레이드나 불꽃놀이가 종료된 이후 사람들이 크게 붐빈다.

처음 타는 사람들은 안전레버가 내려오자마자 고정되지 않아 무서워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직원들의 조작이 있어야 고정된다. (안전레버를 내리자마자 고정되는 건 대부분 롤러코스터의 이야기.) 이외에도 안전레버와 허벅지 사이를 연결하는 안전벨트가 없어 무서워 하는 사람들도 있는 편. 설계사의 말에 따르면 몸이 공중에 몇cm 뜬다고 한다. 이런 현상이 싫다면 안전레버를 더 세게 조이면 몸이 뜨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반대로 정말 스릴을 즐기고 싶다면 위험하지 않은 선에서 안전레버를 느슨하게 하자. 높이가 조금 더 높아질 경우 훨씬 스릴있을 것 같다는 말이 대부분이다.

탑승시 가방은 자율보관함 및 안전레버에 잘 걸어서 보관할 수 있다.

4. BGM


이전에는 따로 테마곡이 존재했다. 이 테마곡에 맞추어 "허~리케인! 허~리케인!"이라고 노래를 불러주는 이벤트도 있었으나 테마곡을 버린 2017년 즈음부터는 이 이벤트가 없어졌다.

2022년 10월 이후에는 SM엔터테인먼트와 콜라보하여 허리케인 뒷벽에 엔시티드림이라고 써져있고 엔시티드림이 직접 녹음한 안내방송, 어트랙션 운행 중에는 엔시티드림의 비트박스캔디가 나오기도 했다. 그리고 허리케인 앞에 엔시티드림의 사인이 되어있는 포토존도 있었다. 엔시티드림 버전의 캔디가 나온 이후 노래는 캔디가 더 많이 나왔지만 원래 테마는 비트박스였다. 비트박스나 캔디가 아닌 EDM도 가끔씩 나왔다. 엔시티드림이 ISTJ로 컴백한 이후에는 가끔 ISTJ가 나오기도 했다. 캔디가 나올때에는 캐스트들이 열심히 캔디춤을 따라 추는 모습들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손님들은 대기선에서 열심히 떼창을 하기도 했다. 그러나, 2024년이 되자 SM엔터테인먼트와의 콜라보가 종료되어 더 이상 캔디춤은 볼 수 없게 되었다.

그 이후로는 EDM으로 교체되어 운영중이며, 대표적인 노래는 VINAI의 The Wave. 대신 손님 입장 중에는 기존 허리케인 음악이 재생되며, 현재 재생되고 있는 BGM은 다음과 같다.

EDM
VINAI - The Wave
Tiesto, KSHMR - Secrets (Radio Edit)
DJ Hanmin - Show Me Your BBA SAE
R3hab&Headhunterz - Won't Stop Rocking
David Guetta - Where Them Girls At (feat. Nicki Minaj & Flo Rida)
Hardwell - Follow Me
David Guetta - Bad(Radio Edit) (Feat. Vassy)
Pitbull - Don't Stop The Party
R3hab, Kshmr - Karate
TJR - We Wanna Party

5. 운행 영상

주간
야간

6. 여담


[1] 공원 이름이 에버랜드로 바뀌기 2개월 전이므로 사실상 자연농원 시절에 마지막으로 지어진 것이라고 할 수 있다.[2] 한때는 72km/h까지 돌았으나 노후화 문제로 인해 속력이 줄었다. 자세한 것은 여담 문단 참조.[3] 한때는 90°까지도 올랐다. 지금은 노후화 문제로 인해 현재의 각도로 조정하고 운행 중인데 자세한 것은 여담 문단 참조.[A] 자이로스윙, 자이언트스윙, 토네이도, 크라크, 메가스윙 360 등.[A] [A] [7] 거의 멘트가 매번 바뀌고 작동 내내 캐스트가 멘트를 해주는 편이라, 힘들어서 2~3교대로 하는 듯 하다.[B] 정확하지 않음.[B] [10] 그래도 더블 락스핀에 비하면 낫다. 더블 락스핀은 현재 시속 24km, 약 1/3에 달하는 속도로 엄청나게 줄어들었기 때문이다.[11] 사실 허리케인의 스릴을 즐기러 온 것이라면 크게 실망한다.